신형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부여 세계관}} == 개요 ==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 필리핀 총독중 가장 재임 기간이 길며(15년) 필리핀을 근대화한 인물로 높이 평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부여 세계관}}
{{부여 세계관}}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border:2px solid #00468C; max-width:450px; float:right;"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07635E; color:#fff;" | 제10대 공관대신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br>{{large|신형진}}<br>申炯振 <nowiki>|</nowiki> Shin Hyeong-jin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사진.jpg|450px]]</div>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출생
| [[1864년]] [[9월 15일]]
|-
| [[부여]] [[조선 (부여)|조선]] [[함경도]] [[길주군]]<br>(現 [[조선 (부여)|조선]] [[함경도]] [[길주현]] [[길주시]])
|-
! rowspan="2"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사망
| [[1930년]] [[3월 7일]] (향년 65세)
|-
| [[부여]] [[조선 (부여)|조선]] [[천경도]] [[종로구]] [[삼청황립병원]]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국적
| [[파일:부여 국기.png|28px]] [[부여]]
|-
! rowspan="4"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재임 기간
| style="background:#f5f5f5;" | 제10대 공관대신
|-
| [[1897년]] [[9월 12일]] ~ [[1900년]] [[5월 1일]]
|-
| style="background:#f5f5f5;" |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
|-
| [[1904년]] [[3월 20일]] ~ [[1919년]] [[8월 23일]]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작위
| 신정백 <sub>(1887~1919)</sub><br>마용후 <sub>(1919~1930)</sub>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23423423423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font-size: 10.5pt"><div style="margin: -2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34234234234"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5px 0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left">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 width=25%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부모
| '''아버지''' [[신윤선]]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배우자
| [[최상주]]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자녀
| 슬하 5남 1녀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학력
| [[예문원]] <sub>(토공학 / 졸업)</sub><br>[[프린스턴 대학교]] <sub>(경제학 / [[학사|B.E.]])</sub>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종교
| [[불교]]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소속 정당
| {{무소속2}}
|-
! style="background:#00468C; color:#f6d251;" | 약력
| 특임대신 ([[부여 식민제국|해외영토 토건담당]])<br>공관부대신<br>제10대 공관대신<ref>현재의 [[국토개발부]] 장관직에 속한다.</ref><br>'''[[부여령 필리핀]] 총독'''<br>궁무청 궁내부 차장
|-
|}</div></div>
|}
{{목차}}
== 개요 ==
== 개요 ==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 필리핀 총독중 가장 재임 기간이 길며(15년) 필리핀을 근대화한 인물로 높이 평가되는 인물이다. 마찬가지로 높은 평가를 받는 [[박헌주]]와는 달리 필리핀인 인권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공정한 대우를 배풀었기에 현대 필리핀인들에게 있어서도 존경받는다.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 필리핀 총독중 가장 재임 기간이 길며(15년) 필리핀을 근대화한 인물로 높이 평가되는 인물이다. 마찬가지로 높은 평가를 받는 [[박헌주]]와는 달리 필리핀인 인권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공정한 대우를 배풀었기에 현대 필리핀인들에게 있어서도 존경받는다.

2022년 5월 28일 (토) 01:50 판

ⓒ Communist 1968, 2022 | CC-0
제10대 공관대신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
신형진
申炯振 | Shin Hyeong-jin
출생 1864년 9월 15일
부여 조선 함경도 길주군
(現 조선 함경도 길주현 길주시)
사망 1930년 3월 7일 (향년 65세)
부여 조선 천경도 종로구 삼청황립병원
국적 부여
재임 기간 제10대 공관대신
1897년 9월 12일 ~ 1900년 5월 1일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
1904년 3월 20일 ~ 1919년 8월 23일
작위 신정백 (1887~1919)
마용후 (1919~1930)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신윤선
배우자 최상주
자녀 슬하 5남 1녀
학력 예문원 (토공학 / 졸업)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 / B.E.)
종교 불교
소속 정당 무소속
약력 특임대신 (해외영토 토건담당)
공관부대신
제10대 공관대신[1]
부여령 필리핀 총독
궁무청 궁내부 차장

개요

제3대 부여령 필리핀 총독. 필리핀 총독중 가장 재임 기간이 길며(15년) 필리핀을 근대화한 인물로 높이 평가되는 인물이다. 마찬가지로 높은 평가를 받는 박헌주와는 달리 필리핀인 인권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공정한 대우를 배풀었기에 현대 필리핀인들에게 있어서도 존경받는다.

생애

중앙정치에서

필리핀 총독으로서

은퇴와 사망

평가

여담

  1. 현재의 국토개발부 장관직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