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분쟁 = <big>뚱람-중국 전쟁</big><br>반공호국전쟁<br>Chiến tranh chống cộng sản<br>Sino-Vietnamese War | |분쟁 = <big>뚱람-중국 전쟁</big><br>반공호국전쟁<br>Chiến tranh chống cộng sản<br>Sino-Vietnamese War | ||
|그림 = 중월전쟁.png | |그림 = 중월전쟁.png | ||
|날짜 = [[1979년]] [[4월 10일]] ~ [[1980년 1월 17일]] | |날짜 = [[1979년]] [[4월 10일]] ~ [[1980년]] [[1월 17일]] | ||
|장소 = [[베트남]] 북부 일대, [[중국]] [[윈난성]] | |장소 = [[베트남]] 북부 일대, [[중국]] [[윈난성]] | ||
|결과 = '''[[뚱람]] 정권의 승리<br>[[베트남 공산당]] 게릴라의 궤멸''' | |결과 = '''[[뚱람]] 정권의 승리<br>[[베트남 공산당]] 게릴라의 궤멸'''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뚱람-중국 전쟁'''({{llang|en|Sino-Vietnamese War}}), 혹은 '''반공호국전쟁'''({{llang|vi|Chiến tranh chống cộng sản}})은 [[뚱람]] 정권과 [[베트남 공산당]], [[중국]]이 벌인 전쟁이다. 공산당을 탄압하고 극보수주의적인 신정 체제를 건립하려 한 [[뚱람]] 정권과, 반대로 세속적인 공산주의 프롤레타리아 정권을 수립하려 한 베트남의 공산 세력이 충돌하여 일어난 전쟁이었다. 시각에 따라서는 '''제2차 베트남 내전'''<ref>1차는 자유 진영 대 민족 세력의 전쟁으로, 2차는 공산 진영 대 민족 세력의 전쟁으로 보는 것이다.</ref>으로 보기도 한다. | '''뚱람-중국 전쟁'''({{llang|en|Sino-Vietnamese War}}), 혹은 '''반공호국전쟁'''({{llang|vi|Chiến tranh chống cộng sản}})은 [[뚱람]] 정권과 [[베트남 공산당]], [[중국]]이 벌인 전쟁이다. 공산당을 탄압하고 극보수주의적인 신정 체제를 건립하려 한 [[뚱람]] 정권과, 반대로 세속적인 공산주의 프롤레타리아 정권을 수립하려 한 베트남의 공산 세력이 충돌하여 일어난 전쟁이었다. 시각에 따라서는 '''제2차 베트남 내전'''<ref>1차는 자유 진영 대 민족 세력의 전쟁으로, 2차는 공산 진영 대 민족 세력의 전쟁으로 보는 것이다.</ref>으로 보기도 한다. | ||
중국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중심 지도자가 없었던 [[베트남 공산당]] 세력의 지리멸렬함으로 인하여 제2의 [[베트남 전쟁 (여시아문)|베트남 전쟁]]이 될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전쟁은 일방적으로 베트남 공산당 게릴라의 패전으로 끝났고 공산군의 절대다수가 포로로 잡히거나 중국으로 도주하여 베트남 내에서 나름의 세력을 갖추고 있던 사회주의 세력은 무너져내렸다. 또한 이 일로 인해 중국 내에서도 [[화궈펑]]의 권력 기반이 약화되어, [[덩샤오핑]]에게 정권을 선양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크메르 루주]] 세력 역시 공산군을 지원했는데, 이에 [[뚱람]] 정부가 반발하면서 [[뚱람-캄보디아 전쟁]]이 발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 |||
한편 이 전쟁은 서구 지식인들에게 혼란을 불러 일으켰다. [[뚱람]]이 서방 민주주의와 다른 체제를 성립하여 나름의 정치를 풀어나갈 것으로 기대했던 서구의 많은 좌파 지식인들은 뚱람 정부의 무자비한 좌익 지식인 및 시민 학살, 고문, 숙청에 적잖이 실망하였다고 한다. |
2022년 10월 16일 (일) 08:35 판
![]() |
주의. 이 문서는 여시아문 세계관 문서입니다. 주의. 문서를 동의없이 함부로 수정할 경우 반달 사용자로 지목되어 불이익을 수 있습니다. 수정할 것이 있으다면 문서 작성자의 동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뚱람-중국 전쟁 반공호국전쟁 Chiến tranh chống cộng sản Sino-Vietnamese War | |||||||
---|---|---|---|---|---|---|---|
![]() | |||||||
| |||||||
교전국 | |||||||
![]() |
![]() ![]() 지원국 ![]() ![]() | ||||||
지휘관 | |||||||
![]() ![]() |
![]() ![]() ![]() ![]() | ||||||
병력 | |||||||
![]() |
![]() ![]() | ||||||
피해 규모 | |||||||
![]() |
![]() ![]() ![]() |
뚱람-중국 전쟁(영어: Sino-Vietnamese War), 혹은 반공호국전쟁(베트남어: Chiến tranh chống cộng sản)은 뚱람 정권과 베트남 공산당, 중국이 벌인 전쟁이다. 공산당을 탄압하고 극보수주의적인 신정 체제를 건립하려 한 뚱람 정권과, 반대로 세속적인 공산주의 프롤레타리아 정권을 수립하려 한 베트남의 공산 세력이 충돌하여 일어난 전쟁이었다. 시각에 따라서는 제2차 베트남 내전[1]으로 보기도 한다.
중국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중심 지도자가 없었던 베트남 공산당 세력의 지리멸렬함으로 인하여 제2의 베트남 전쟁이 될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전쟁은 일방적으로 베트남 공산당 게릴라의 패전으로 끝났고 공산군의 절대다수가 포로로 잡히거나 중국으로 도주하여 베트남 내에서 나름의 세력을 갖추고 있던 사회주의 세력은 무너져내렸다. 또한 이 일로 인해 중국 내에서도 화궈펑의 권력 기반이 약화되어, 덩샤오핑에게 정권을 선양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크메르 루주 세력 역시 공산군을 지원했는데, 이에 뚱람 정부가 반발하면서 뚱람-캄보디아 전쟁이 발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이 전쟁은 서구 지식인들에게 혼란을 불러 일으켰다. 뚱람이 서방 민주주의와 다른 체제를 성립하여 나름의 정치를 풀어나갈 것으로 기대했던 서구의 많은 좌파 지식인들은 뚱람 정부의 무자비한 좌익 지식인 및 시민 학살, 고문, 숙청에 적잖이 실망하였다고 한다.
- ↑ 1차는 자유 진영 대 민족 세력의 전쟁으로, 2차는 공산 진영 대 민족 세력의 전쟁으로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