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종교 == | == 종교 == | ||
태초에 [[집정관(웨이스트랜드)|네 집정관]]을 창조하고 그들과 함께 우주를 가꿨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는 [[신(웨이스트랜드)|미르베 신]]을 섬기는 미르베교를 믿고 있다. 하지만 웨이스트랜드 사람들은 신이 자신들을 버렸다고 생각해 종교를 믿지 않는다. | 태초에 [[집정관(웨이스트랜드)|네 집정관]]을 창조하고 그들과 함께 우주를 가꿨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는 [[신(웨이스트랜드)|미르베 신]]을 섬기는 미르베교를 믿고 있다. 하지만 웨이스트랜드 사람들은 신이 자신들을 버렸다고 생각해 종교를 믿지 않는다. | ||
== 지역 == | == 지역 == | ||
*지구 | *지구 | ||
**[[마안 대륙]] | **[[마안 대륙]] |
2023년 7월 18일 (화) 19:20 판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웨이스트랜드의 설정에 대해 서술한다.
정치
지난 600여년 동안 마안 대륙에는 전제군주제가 자리잡았으나, 최근 시대의 격변으로 인해 제한군주제와 공화주의 등 새로운 이념이 떠오르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두 나라의 정부는 다른 사상들을 적극적으로 탄압한다. 정치계는 몇몇 귀족 가문들이 독점하고 있으나 그들도 평민들의 지지도를 확보해야 하기에 정치계는 매번 귀족들의 한판 승부가 펼쳐지는 곳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
도심을 제외하고는 치안이 극도로 불안정하다. 심지어 국경지대 마저도. 대표적인 예가 소르다네 제국으로, 늘상 웨이스트랜드 저항군에게 국경이 공격받는다. 그래도 요즘은 과학 혁명의 영향으로 점차 안정된 치안이 도시 바깥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과학 혁명 이전에는 평민의 삶이 그리 행복하진 않았지만, 과학 혁명 이후 자원이 풍족해지며 평민들이 먹고 살 걱정은 하지 않게 되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정치계는 수백년을 성장해온 귀족 가문들이 독점하여 일반 시민들은 정치에 참여할 기회조차 없으며, 평민들 중에서도 취업에 실패해 길거리에 나앉은 빈민들이 수두룩하다. 그들은 주로 정부가 세워준 무료급식소에서 끼니를 때운다.
경제
온 시민이 하루에 최소 한끼는 먹을 수 있을 정도로 과학 혁명 이전보다는 경제가 발달해있다. 소르다네 제국의 렌 황제가 최초의 지폐를 만든 이후 화폐는 기존의 동전에서 점점 지폐로 바뀌어 왔다. 체제는 두 나라 모두 자본주의 계획경제를 추구하고 있지만 자본주의의 혜택은 거의 무조건 귀족에게만 돌아간다. 웨이스트랜드는 귀족 같은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에 저항군 지도자가 이끄는 완전한 계획경제를 채택했다.
언어
“ ”
웨이스트랜드,소르다네, 으루디우 세곳 모두 마안어를 쓰고 있다.
종교
태초에 네 집정관을 창조하고 그들과 함께 우주를 가꿨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는 미르베 신을 섬기는 미르베교를 믿고 있다. 하지만 웨이스트랜드 사람들은 신이 자신들을 버렸다고 생각해 종교를 믿지 않는다.
지역
능력과 세계
세계 | ||||||
---|---|---|---|---|---|---|
내세(우주) | 외세 | |||||
물질 | 초물질 | 극초물질 | ||||
대물질 | 소물질 | 긍정 | 부정 | 어둠 | ||
긍정 | 부정 | 긍정 | 부정 | 영혼, 지식, 마소, 국가, 이념, 신명, 성소 등 | ||
지구, 마안 대륙, 별, 성출운 등 | 성소에 대응되는 모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