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너비맞춤}} | | {{너비맞춤}} |
| |- | | |- |
| |최후의 시간이 다가온다. 우주가 차갑게 식어간다. 수없이 과거를 반복한 사상기계의 동력도 이제는 얼마남지 않았다. 모든 것에는 끝이 있듯, 사상기계가 마지막으로 과거를 반복한다. 더 이상 밤하늘을 채우던 별무리를 잃어버린 마지막 항성계. 밤 하늘에 오직 몇개의 별빛과 달빛만 의지하여 살아갈 땅. '''라시리온'''은 그렇게 탄생하였다. 사상기계는 마지막 태양계를 완성하고, 그 잔존사념들은 위성들이 되어 라시리온에 정주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기능을 멈춘다. 은은한 잔열과 몇 개의 조명을 달고 있던 위성들은 서서히 파괴되어 지구 주변을 공회전하는 고리가 되었다. 완성된 라시리온은 지구와 완전히 동일한 크기였다. | | |최후의 시간이 다가온다. 우주가 차갑게 식어간다. 수없이 과거를 반복한 사상기계의 동력도 이제는 얼마남지 않았다. 모든 것에는 끝이 있듯, 사상기계가 마지막으로 과거를 반복한다. 더 이상 밤하늘을 채우던 별무리를 잃어버린 마지막 항성계. 밤 하늘에 오직 몇개의 별빛과 달빛만 의지하여 살아갈 땅. '''라시리온'''은 그렇게 탄생하였다. 사상기계는 마지막 태양계를 완성하고, 그 잔존사념들은 위성들<ref>에너지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 속에서 마지막 위성에 집중하고자 위성화하였으며, 나아가 연산 수준을 낮춤으로서 의식체계가 지속되는 속도를 조정한 것이다. 이것은 사상기계에게도 마지막 임종의 순간과 다르지 않은 개념이었다.</ref>이 되어 라시리온에 정주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기능을 멈춘다. 은은한 잔열과 몇 개의 조명을 달고 있던 위성들은 서서히 파괴되어 지구 주변을 공회전하는 고리가 되었다. 완성된 라시리온은 지구와 완전히 동일한 크기였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left; max-width:383px; background:#FCFCFC;color:#000; text-align: justify; line-height:180%; border: 2px solid #fcfcfc;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ont-size:10pt" | | {| class="wikitable" style="float:left; max-width:383px; background:#FCFCFC;color:#000; text-align: justify; line-height:180%; border: 2px solid #fcfcfc;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ont-size:10p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