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1번째 줄: 71번째 줄:
==== [[농업 기지 반란]] ====
==== [[농업 기지 반란]] ====
{{상세 내용2|농업 기지 반란}}
{{상세 내용2|농업 기지 반란}}
방주가 형성된 이래로 지도부는 [[엑소더스 헌장]]을 통해 방주 내의 시민을 통제했다. 그러나 강압적인 헌장과 무조건적인 부유형,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피로감, [[메이슨 가문]]({{llang|en|Mason Family}})<ref>[[핵종말]] 이후 알파 정거장으로 대피한 {{블러4|[[일루미나티|광명회]]}} 소속 미국의 유력 기업, 정치 가문.</ref> 의 독재에 대한 불만이 누적되고 있었고, [[방주 대기근]] 당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지도부를 보며 강력한 불신이 정거장 전역에 퍼지기 시작했다. 통치에 대한 반발은 시위와 파업으로 이어졌고, 의회는 이를 반역 행위로 규정하며 대대적인 탄압을 반복했다.<ref>시위와 파업에 참가한 모든 인원은 [[엑소더스 헌장]] 제3조에 따라 부유형이 선고되었다.</ref>
방주가 형성된 이래로 지도부는 [[엑소더스 헌장]]을 통해 방주 내의 시민을 통제했다. 그러나 강압적인 헌장과 무조건적인 부유형,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피로감, [[메이슨 가문]]({{llang|en|Mason Family}})<ref>[[핵종말]] 이후 알파 정거장으로 대피한 미국의 유력 기업, 정치 가문.</ref> 의 독재에 대한 불만이 누적되고 있었고, [[방주 대기근]] 당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지도부를 보며 강력한 불신이 정거장 전역에 퍼지기 시작했다. 통치에 대한 반발은 시위와 파업으로 이어졌고, 의회는 이를 반역 행위로 규정하며 대대적인 탄압을 반복했다.<ref>시위와 파업에 참가한 모든 인원은 [[엑소더스 헌장]] 제3조에 따라 부유형이 선고되었다.</ref>


혼란이 가중되는 와중 농업 기지의 청소 노동자 이고리 이고예프를 중심으로 그 일행은 농업 기지를 점거하고 [[엑소더스 헌장]]의 폐지, 배급 체계 개선, 지도부의 교체를 요구하며 농성했다. 이들의 시위가 장기화 될 것을 우려한 의회는 즉시 군대를 파견하면서 대치 상황이 이어졌다. 당시 총리 [[앤드류 메이슨]]이 협상을 최종적으로 거부, 시위대를 반란군으로 규정하고 무력 진압을 강행했다. 모든 반란군의 사살로 사태는 일단락 되었으나, [[엘리자베스 시드니]]<ref>[[다이애나 시드니]]의 모친.</ref> 의원은 책임을 묻고 총리의 사임을 종용했다.<ref>당장이라도 혁명이 발생해 체제가 전복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분위기였다.</ref>
혼란이 가중되는 와중 농업 기지의 청소 노동자 이고리 이고예프를 중심으로 그 일행은 농업 기지를 점거하고 [[엑소더스 헌장]]의 폐지, 배급 체계 개선, 지도부의 교체를 요구하며 농성했다. 이들의 시위가 장기화 될 것을 우려한 의회는 즉시 군대를 파견하면서 대치 상황이 이어졌다. 당시 총리 [[앤드류 메이슨]]이 협상을 최종적으로 거부, 시위대를 반란군으로 규정하고 무력 진압을 강행했다. 모든 반란군의 사살로 사태는 일단락 되었으나, [[엘리자베스 시드니]]<ref>[[다이애나 시드니]]의 모친.</ref> 의원은 책임을 묻고 총리의 사임을 종용했다.<ref>당장이라도 혁명이 발생해 체제가 전복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분위기였다.</ref>


사태 이후 실각해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 메이슨 가문을 뒤로하고 [[엘리자베스 시드니]]가 제10대 방주 총리로 선출되면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여러 개혁을 실시하였다.
사태 이후 실각해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 메이슨 가문을 뒤로하고 [[엘리자베스 시드니]]가 제10대 방주 총리로 선출되면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여러 개혁을 실시하였다.

2024년 6월 15일 (토) 03:37 기준 최신판

[ 펼치기 · 접기 ]
네 가지 시대 인류사
IV Eras of Human History
[ 펼치기 · 접기 ]
인류 출현 이전
( ~ B.C. 6,000,000)
구세계
(B.C. 6,000,000 ~ A.D. 2,052)
지구-외계 전쟁 · 제3차 세계 대전 · 핵종말
방주 시대
(A.D. 2,052 ~ A.D. 2,149)
엑소더스 헌장 · 엑소더스 계획
지구 개척 시대
(A.D. 2,149 ~ A.D. 2,150)
아카디아-지상인 전쟁 · 에덴 전쟁 · 프라임파야
신세계
(A.D. 2,150 ~ )
방주
The Ark
상세 정보
유형 우주정거장
위치 지구 궤도
인구 2,659명
주요 정보
정치 운용 세력 인류
운용 목적 생존과 거주
정치 체제 과두공화정
지도자 텔로니우스 자하[1]
명칭
The Ark, 12 Station Federation

개요

옛날 옛적, 지구가 불타고 있었을 때, 우주에 12개의 우주 정거장이 홀로 떠다녔습니다. 하루는 미르가 신젠 옆으로 지나갔고 둘은 함께하는 삶이 더 낫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이것을 본 다른 정거장들도 함께하고 싶었습니다. 모든 정거장이 합쳐지자, 그들을 스스로를 일컬어….
단결의 날 행사에서 발췌

방주(영어: The Ark) 또는 12개 정거장 연합(영어: 12 Station Federation)은 핵종말 당시 대피한 인류가 엑소더스 헌장으로 연합해 형성한 인류의 거주지다.

역사

12개국 정거장

12개국 정거장 연합
[ 펼치기 · 접기 ]
알파 퀸 엘리자베스 시드니 인데버
아리안 리베르테 예지나야 브라질리아
누리 레이와 톈궁 찬드라

지금과 같은 모습의 거대한 방주가 형성되기 전, 신냉전으로 인한 군비 증강과 우주 개발이 경쟁적으로 지속되면서 2048년에 주요 12개국은 지구 궤도로 우주정거장을 발사했다.

핵종말과 정거장 연합

 자세한 내용은 엑소더스 헌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모든 국적과 인종의 구분은 단결을 위해 폐기한다. 이제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엑소더스 헌장 제12조

2052년 5월 10일, 제3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핵미사일이 전세계를 타격한 핵종말 당시 지구와의 통신이 최종적으로 끊기며 각국의 우주정거장 지도자[2]지구 인류가 완전히 멸망해버렸다고 판단해 각 정거장과 접촉을 시도한다.

논의 끝에 12개국의 각 정거장이 연합해 인류의 단일 거주지인 일명 방주(영어: The Ark)를 형성하기로 결의했다. 12개 정거장의 연합과 더불어 방주 전체를 통솔할 새로운 체계, 기존 정거장 요원들과 핵종말에 의해 각국의 정거장으로 대피한 인원들의 처우를 최종적으로 명시한 엑소더스 헌장(영어: Exodus Charter)을 공포했다. 이후 12개 정거장의 도킹이 2054년 10월 1일에 최종적으로 완료[3]되어 지금의 방주라고 불리는 거대한 생존 권역이 조성된다. 후대에 모든 정거장이 연합한 이 날을 단결의 날(영어: Unity Day)이라 칭하며 기념한다.

폴라리스

원래 정거장은 12개가 아니라 하나가 더 있었는데, 13번째 정거장인 폴라리스(영어: Polaris)[4]베카 프랑코는 도킹을 시작한 2054년까지 엑소더스 헌장을 거부하며 강압적인 헌장의 조항을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미 합의가 완료된 시점에서 헌장을 수정하라는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폴라리스의 도킹 거부에 다른 정거장들도 헌장을 폐기하고 도킹을 해제할 조짐이 보이자 가장 큰 정거장인 알파[5]는 폴라리스에 도킹을 거부하면 미사일로 격추시키겠다는 최후통첩을 보낸다. 폴라리스가 최후통첩을 받아들이지 않고 무응답으로 일관하자 알파는 이내 본보기로 폴라리스를 격추시켰다.[6]이후 엑소더스 헌장의 합의를 최종적으로 끝마치는데 성공한다.

사실 알파가 최후통첩을 보내기 전, 베카 프랑코는 엑소더스 헌장의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지구로 탈출할 준비를 모두 마쳤다. 그렇게 강하선을 타고 지구로 낙하한 베카 프랑코폴리스의 기원이되는 제2의 여명 벙커 위에 착륙한다.

역병 세대

 자세한 내용은 방주 대기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문득, 굶어 죽은 아이를 먹는 아버지를 보며 아들을 잡아 먹는 사투르누스가 떠올랐다. 고개를 돌려보니 모두가 사투르누스였다.
방주 대기근 당시 시민의 증언

2057년 4월 16일, 마름병(영어: Late Blight)[7]이 농업 기지 전역에서 창궐하면서 농작물 수확량의 절반 이상이 감소하는 흉작이 지속되었고 정거장 전역에 대기근이 발생해 수백 명이 아사했다. 이로 인해 배급 체계가 붕괴하자 일부 사람들은 식인을 선택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었다.[8] 5개월 동안 지속된 고통스러운 대기근은 마침내 의료 기지에서 마름병의 치료제를 개발하면서 끝난다.

이러한 재앙에도 인구수는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는데, 이를 우려한 지도부는 한 가구당 자녀를 한 명으로 제한하는 엄격한 산아 제한 정책을 실시했다. 해당 정책의 위반은 중범죄로 간주했고, 즉시 부유형을 선고했다.[9]

농업 기지 반란

 자세한 내용은 농업 기지 반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방주가 형성된 이래로 지도부는 엑소더스 헌장을 통해 방주 내의 시민을 통제했다. 그러나 강압적인 헌장과 무조건적인 부유형,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피로감, 메이슨 가문(영어: Mason Family)[10] 의 독재에 대한 불만이 누적되고 있었고, 방주 대기근 당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지도부를 보며 강력한 불신이 정거장 전역에 퍼지기 시작했다. 통치에 대한 반발은 시위와 파업으로 이어졌고, 의회는 이를 반역 행위로 규정하며 대대적인 탄압을 반복했다.[11]

혼란이 가중되는 와중 농업 기지의 청소 노동자 이고리 이고예프를 중심으로 그 일행은 농업 기지를 점거하고 엑소더스 헌장의 폐지, 배급 체계 개선, 지도부의 교체를 요구하며 농성했다. 이들의 시위가 장기화 될 것을 우려한 의회는 즉시 군대를 파견하면서 대치 상황이 이어졌다. 당시 총리 앤드류 메이슨이 협상을 최종적으로 거부, 시위대를 반란군으로 규정하고 무력 진압을 강행했다. 모든 반란군의 사살로 사태는 일단락 되었으나, 엘리자베스 시드니[12] 의원은 책임을 묻고 총리의 사임을 종용했다.[13]

사태 이후 실각해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 메이슨 가문을 뒤로하고 엘리자베스 시드니가 제10대 방주 총리로 선출되면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여러 개혁을 실시하였다.

  1. 제15대 방주 총리.
  2. 대부분 각국의 우주군 소속 지휘관.
  3. 엑소더스 헌장의 내용을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이며 각 정거장의 자원이 고갈될 때까지 파기와 합의를 반복했다.
  4. 연구 목적으로 만들어진 엘리지우스의 우주정거장.
  5. 미국 소속의 우주정거장.
  6. 확실히 효과가 있었다. 당장이라도 헌장을 폐기하려들었던 정거장들이 폴라리스가 파괴되는 모습을 지켜보자 어떤 이의도 없이 최종 헌장 합의에 동의했다.
  7. 역병이라고도 불리며, 노균류의 유주자가 침해하여 감염되는 식물에 매우 치명적인 질병이다.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 감자에 발병했던 질병이다.
  8. 식인을 거부한 사람들은 굶어 죽었고, 사람들은 그 모습을 지켜봐야 했다. 이후 이 최악의 기근 사태를 겪은 세대는 역병 세대로 불렸다.
  9. 엑소더스 헌장 제3조, 정거장 내에서 중범죄를 범했을 경우 무조건적으로 최고형인 부유형을 선고한다.
  10. 핵종말 이후 알파 정거장으로 대피한 미국의 유력 기업, 정치 가문.
  11. 시위와 파업에 참가한 모든 인원은 엑소더스 헌장 제3조에 따라 부유형이 선고되었다.
  12. 다이애나 시드니의 모친.
  13. 당장이라도 혁명이 발생해 체제가 전복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분위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