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 |- | ||
| <small>[[북한월역|북한월]] 방면</small> | | <small>[[북한월역|북한월]] 방면</small> | ||
|rowspan="2"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150px | {{colorlink|북월선|#fff}}</br>{{ | |rowspan="2"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150px | {{colorlink|북월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 <small>[[창전역|창전]] 방면</small> | | <small>[[창전역|창전]] 방면</small> | ||
|- |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rowspan="2" style="width: 120px | [[답리역|답 리]]</br>11.7km → | |rowspan="2" style="width: 120px | [[답리역|답 리]]</br>11.7km → | ||
|- | |- | ||
|rowspan="3"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150px | {{colorlink|청명선|#fff}}</br>{{ | |rowspan="3"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150px | {{colorlink|청명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 | |- | ||
| <small>[[동북전역|동북전]] 방면</small> | | <small>[[동북전역|동북전]] 방면</small> |
2024년 6월 25일 (화) 11:22 판
가성역 Gaseong Station | 佳城驛 | |||
---|---|---|---|
북한월 방면 | 북월선 무궁화호 |
창전 방면 | |
안 천 ← 28.7km |
답 리 11.7km → | ||
청명선 무궁화호 | |||
동북전 방면 | |||
청릉 방면 | 창전 방면 명 천 60.5km → | ||
주소 | |||
경월북도 가성군 가성읍 문대3길 89-8 (선죽리)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3급) (안천역 관리/현월철도공사 경북본부) | |||
운영기관 | |||
북월선 | 현월철도공사 | ||
개업일 | |||
북월선 | 2022년 12월 10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4선 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북한월 방면 갑 동 ← 4.3km |
북월선 가 성 |
월동 방면 대 봉 6.3km → |
개요
북월선의 철도역. 경월북도 가성군 가성읍 문대3길 89-8 (선죽리) 소재.
역 정보
북한월발 열차가 대부분 안천까지만 운행함에도 하루에 무궁화호가 상하행 각 5편씩 정차하는 역이다.
승강장
1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1번홈의 사용빈도는 그리 높지 않고 대부분 2번홈에 정차한다.
역 주변 정보
역이 가성군 중심지에 위치해있어 수요는 보장되는 편이다. 예전부터 이 역을 지나는 모든 여객열차는 이 역에 필수로 정차하였으며, 전역인 안천에서 승객이 쫙 빠져 텅텅 빈 객실이 이 역을 지나면 어느새 다시 가득차게 된다.
역사 입구 앞에는 파출소가 존재하며, 가성시외버스터미널이 도보로 5분 내외의 거리에 있어 시외버스로 환승하기에도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