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small>[[명주역|명주]] 방면</small></br>[[학창역|학 창]]</br>← 7.1km | | <small>[[명주역|명주]] 방면</small></br>[[학창역|학 창]]</br>← 7.1km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150px | {{colorlink|경북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150px | {{colorlink|경북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 |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창리역|창 리]]</br>8.9km → | ||
|- | |- | ||
|- | |-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철도거리표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철도거리표 | ||
|- | |- | ||
| style="width: 120px | <small>[[강천역|강천]] 방면</small></br>[[ | | style="width: 120px | <small>[[강천역|강천]] 방면</small></br>[[창리역|창 리]]</br>← 8.9km | ||
| style="width: 150px | '''[[경북선]]'''</br>경 동 | | style="width: 150px | '''[[경북선]]'''</br>경 동 | ||
| style="width: 120px | <small>[[명주역|명주]] 방면</small></br>[[여원역|여 원]]</br>8.4km → | | style="width: 120px | <small>[[명주역|명주]] 방면</small></br>[[여원역|여 원]]</br>8.4km → |
2024년 6월 26일 (수) 23:31 판
경동역 Gyeongdong Station | 庚洞驛 | |||
---|---|---|---|
청릉 방면 장 촌 ← 24.0km |
청명선 무궁화호 |
창산 방면 강 천 28.9km → | |
명주 방면 학 창 ← 7.1km |
경북선 무궁화호 |
창산 방면 창 리 8.9km → | |
주소 | |||
경월북도 경동시 동문1길 24 (원동동 621)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3급)[1] (장촌역 관리/현월철도공사 경북본부) | |||
운영기관 | |||
경북선 | 현월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북선 | 2022년 12월 2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6선 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강천 방면 창 리 ← 8.9km |
경북선 경 동 |
명주 방면 여 원 8.4km → |
개요
경북선의 철도역. 경월북도 경동시 동문1길 24 (원동동 621) 소재.
역 정보
2022년 12월 2일 경북선 강천~장촌구간의 개통과 동시에 관리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반년간 관리역의 지위를 유지하며 경북선 내 거의 모든 역을 관할하였으나, 2023년 6월 25일 당역의 관리역 기능이 장촌역으로 이전되면서 보통역으로 격하되었다.
그렇다한들 경동역이 경동시의 대표역이란 점은 변하지 않기에 경북선을 지나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하며, 일일 이용객 수 역시 기점역인 강천역과 종점역인 명주역을 제외하면 경북선에서 가장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