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 |
|||
112번째 줄: | 112번째 줄: | ||
== 계파 == | == 계파 == | ||
{{민주진보당의 계파 분류}} | {{민주진보당의 계파 분류}} | ||
당초 친민주당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시작한 새진보연합의 구성원들이 그대로 단일 정당으로 뭉쳤다는 점에서, 신좌파 성향이자 기본소득 의제를 전담하는 기본소득당계, 사회민주주의 우파 성향의 새시민당계, 친명 성향의 열린민주당계, 생태주의, 세계주의 성향의 더밝은미래당계가 현존해 있다. | |||
== 지지 기반 == | == 지지 기반 == |
2024년 7월 12일 (금) 15:40 판
★★★★★ 3.67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민주당계·진보정당 |
---|
[ 펼치기 · 접기 ]
|
※ 아래 정보는 해산 당시를 기준으로 함 | |
---|---|
민주진보당 | |
영문명 |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
표어 | 내일을 바꾸는 보랏빛 진보혁명 |
등록일 | 2024년 5월 2일 (민주진보당)[2] |
해산일 | 2025년 10월 25일 (민주당으로 흡수합당) |
당색 | 프로그레시브 마젠타 (#A000E9)
|
주소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민주진보당 당사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 23 여의도동)
| |
상임대표 | 오준호 |
공동대표 | 정호진 |
원내대표 | 한창민 / 초선 (22대) |
사무총장 | 문미정 |
정책연구소 | 민주진보정책연구소 |
위성정당 | |
국내 조직 | 민주개혁연석회의 (2024 ~ 2025) |
개요
민주진보당(Democratic Progressive Party)는 2025년 n월 n일까지 존재한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진보정당이었다.
상세
민주진보당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출범한 친민주당계 '선거연합정당'에서 시작해, 재창당 후 단일 정당으로서의 활동을 거쳐 해산에 이르기까지 무려 1년 5개월 간의 역사를 지냈다. 당의 기원은 22대 총선에 대비해 기본소득당이 먼저 당명을 바꾸고 참여 정당 구성원들이 개별 합류하는 형태인 새진보연합에서 시작되는데,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제3지대[3]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준비하고, 선거 이후 해산해 독자적인 정당들로 활동하나 공통의 개혁과제를 선거 이후에도 완수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후 2024년 2월 3일 명칭을 '새진보연합'으로 확정해 출범식을 가졌으며, 2월 13일, 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민주연합에 합류했다. 선거 결과, 지역구 단일 후보들이 모두 낙선한 반면 비례대표에서 서태성, 한창민이 당선되며 원내정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민주당의 총선 참패로 타격을 입으며 지도부를 중심으로 단일정당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에 새시민당과 더밝은미래당, 열린민주당 3당이 이견 없이 합당에 찬성했고, 4월 22일 4당 합동 당원총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률로 통합이 성사되었으며, 4월 29일 '민주진보당'으로 재창당되었다.
이후 민주당, 시대정신, 진보당과 함께 정당연합인 민주개혁연석회의를 결성하며 윤석열 정부 대항을 목적으로 야권 공조를 추진했다가, 10월 초를 기점으로 민생당과 함께 민주대통합에 따른 합당설이 돌기 시작했다. 일부 당원들은 당의 정체성을 상실할 것을 우려하며 합당설을 부정했으나, 10월 11일 양당 간의 통합 절차 작업을 거쳐 10월 25일 민주당과 합당을 수리하면서 공식적으로 해산하었다.
성향
새진보연합 시절에는 네 개 정당 모두 민주당에 호의적이기도 하고, 민주진보당으로 재창당된 이후에도 민주당과 공조했기에, 사실상 친민주당 진보 성향을 보인다. 다만 당 차원에서는 민주당의 우당이 아닌 민주당을 '견인'하고자 하는 세력이라 주장하기 때문에 주류 민주당과는 별개의 정체성을 띄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네 개 정당이 뭉쳤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보다 선명한 진보 노선이 아닌 빅 텐트에 가깝다는 의견이 많은데, 기본소득당의 창당 세력은 한국사회당 탈당파인데다 기본소득 외에는 별 다른 의제에 신경을 쓰지 못하였으며, 새시민당은 한국사회당의 우파 계열인 새로운진보 내지 참여계가 그 뿌리기 때문에 사회자유주의 쪽에 가까우며, 열린민주당도 합당 반대파를 중심으로 재창당한 것에 불과하다. 더밝은미래당 또한 민주당의 더밝은미래위원회의 이탈로 창당했다는 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면 한국사회당 탈당파들과 민주당 탈당파/흡수합당 반대파들이 모두 모이게 된 셈이다.
거기다 열린민주당계의 수장인 김상균은 훗날 국민혁명당의 명예대표인 송영길, 변희재, 최대집과 함께 좌우중도합작 윤석열 탄핵 운동에 참여한 바가 있고, 여성 인권이나 페미니즘 기조를 중요시하는 다른 계파들과는 다르게 유일하게 페미니즘에 부정적인 성향을 띄기도 한다. 때문에 당 내에서 여성 관련 의제를 놓고 충돌하기도 했다.
강령
파일:민주진보당 로고타입.svg 강령 전문 |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
당명
- 한국어: 민주진보당
- 영어: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 중국어
- 정체자(번체자): 民主進步黨
- 간체자: 民主进步党
- 표준중국어 발음
- 한어병음: Mínzhǔ Jìnbùdǎng
- 한글 표기: 민주진푸당
- 한글 한자음: 민주진보당
- 일본어
- 신자체: 民主進歩党
- 구자체: 民主進步黨
- 발음 표기
- 가나 표기: みんしゅしんぽとう
- 로마자 표기: Minshu Shinpoto
- 한글 표기: 민슈신포토
2024년 4월 22일, 새진보연합(기본소득당) 측은 공식 자료를 통해 신당의 명칭을 '민주진보당'으로 확정하였는데, 민주진보당이란 명칭은 "민주진보진영을 확실히 이끌 수 있는 진보정당으로서, 국민주권, 대의민주주의, 진보주의의 가치를 포함해 민주진보진영의 염원을 담아냈다"고 설명했다.
당색 및 로고
민주진보당의 로고 | |
---|---|
2024 | 2024 ~ 2025 |
민주진보당의 심볼은 '크고 작은 물결이 모여 이룬 파도'를 형상화한 것으로, 민주진보정치의 미래를 위한 '변화와 혁신'과 '하나 된 진보정치와 모두를 결집하고자 하는 힘'을 상징한다. 새진보연합 시절에는 하트를 형상화한 심볼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진보적 개혁을 열망하는 모두의 희망'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보라-분홍 그라데이션을 사용하는 본 색상과 각 당의 색깔에 맞는 그라데이션 전용 색상을 비공식적으로 사용하였었다.
당 색은 보라색(#A000E9)이며, 국민의 따뜻한 마음과 진보정치의 혁신을 상징한다. 새진보연합 시절에는 보라색이 좀 더 짙은 색을 사용했는데, 심볼에 사용된 보라-핑크색 그라데이션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준비를 담아냈다는 의미를 지닌다.
일각에서는 변화당의 당 색상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변경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전신인 기본소득당은 변화당에 당 색을 바꾸라고 항의한 적이 있었다가 별 다른 이유 없이 넘어갔다는 사례가 있다. 하지만 당 차원에서는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하며, 이미 변화당 측에서 다 반박된 내용이므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일부 새시민당 계열에서는 새진보연합 시절 해당 색상이 통합진보당을 연상시킨다며 당 색을 바꾸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송치용 측의 입장문을 통해 "특정 세력의 정치적 행동을 배격하는 민주진보진영의 연합정당임을 강조하기 위해서 채택된 것"이라며 반박했다.
계파
[ 펼치기 · 접기 ]
|
당초 친민주당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시작한 새진보연합의 구성원들이 그대로 단일 정당으로 뭉쳤다는 점에서, 신좌파 성향이자 기본소득 의제를 전담하는 기본소득당계, 사회민주주의 우파 성향의 새시민당계, 친명 성향의 열린민주당계, 생태주의, 세계주의 성향의 더밝은미래당계가 현존해 있다.
지지 기반
다른 정당과의 관계
역대 전당대회
지도부
역대 선거
산하 기관
민주진보정책연구소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