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92번째 줄: | 92번째 줄: | ||
== 자유당 체제의 붕괴와 입헌민주당으로서의 출범 == | == 자유당 체제의 붕괴와 입헌민주당으로서의 출범 == | ||
초기 대한국의 정계에서 미 통감청 기간동안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던 정당은 친미성향을 강하게 내비치던 우남 이승만의 자유당이었다. | 초기 대한국의 정계에서 미 통감청 기간동안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던 정당은 친미성향을 강하게 내비치던 우남 이승만의 자유당이었다. | ||
== 사회당과의 합작시도 == | == 사회당과의 합작시도 == | ||
== 합작성공, 그리고 | == 합작성공, 그리고 합당 == | ||
== | == 장기집권의 길 == | ||
</div> | </div>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 성향 = | = 성향 = | ||
스펙트럼이 굉장히 다양하기로 | 사회민주당이라는 간판을 단 정당 치고는 내부 스펙트럼이 굉장히 다양하기로 세계에도 유명한 정당이다. 신자유주의 수준의 내부적 극렬 우익 정당을 지지하는 정당원은 드문 편이나 국내 문제에 대한 중도~온건 성향의 우익들이 꽤 많이 가입해있으며, 그 외에는 오랜 시간동안 사민당의 중재자 세력으로서 존재해온 중도층, 사민당 창당 초기 진보주의 성향을 활발히 드러내던 온건층이 내부 파벌로서 존재한다 | ||
대외 정책에 대한 견해는 강경론부터 온건론까지 다양한 편이다. 통상적으로 온건파가 우위에 있던 노무현 내각 시기까지는 대외온건론이 주를 이루었지만, 경제 침체, 김종인 내각의 집권을 기점으로 시작된 우경화 이후에는 이인제 독트린을 시점으로 대외강경론이 대두되면서 기본적으로 친미, 친소, 반중공이라고 할 수 있는 행보를 보여주는 중이다. | |||
</div> | </div>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109번째 줄: | 110번째 줄: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 평가 = | = 평가 = | ||
현재 한국에서 가장 | 현재 한국에서 가장 장기집권하고 있는 거대 정당인만큼 많은 말들이 오가고 있으며, 긍정적인 평가의 경우 빅 텐트 정당이라는 구조적인 특성 탓에 당파싸움을 방지하고 한 당에서 다양한 성향의 인물을 배출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 ||
부정적인 평가의 경우 당 내에서의 파벌다툼이 정당다툼의 그것을 압도할 정도로 심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 부정적인 평가의 경우 당 내에서의 파벌다툼이 정당다툼의 그것을 압도할 정도로 심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워낙 장기집권헸다보니 초기의 중도주의 내지 진보주의 성향이 무색하게 한국 정치계의 보수화를 낳았다는 비판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들어서 한국 내에서 사민당에 회의적인 이들은 사민당을 가리켜 '''대한세도당''','''세도정당'''이라 부르는 경우도 존재한다. | ||
</div> | </div>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2024년 7월 24일 (수) 06:38 판


![]() | |
[ 국가 목록 ]
[ 소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