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력 분화) |
(→세력 분화)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colspan="6" style="color: white; background: #E4002B" | 한국사회당 | | colspan="6" style="color: white; background: #E4002B" | 한국사회당 | ||
|- | |- | ||
| rowspan=" | | rowspan="4" style="color: white; background: #E4002B; width: 16.67%; line-height: 20px; height: 55px;" | 한국사회당<br>{{small|(잔류파)}} | ||
| colspan="3" style="color: black; background: #FFED00; line-height: 20px; height: 55px;" | 대안신당당원모임<br>{{small|(제3지대파)}} | | colspan="3" style="color: black; background: #FFED00; line-height: 20px; height: 55px;" | 대안신당당원모임<br>{{small|(제3지대파)}} |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673AB7; width: 16.67%; line-height: 20px; height: 55px;" | 세 번째 권력<br>{{small|(제3지대파)}}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673AB7; width: 16.67%; line-height: 20px; height: 55px;" | 세 번째 권력<br>{{small|(제3지대파)}}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colspan="5" style="color: #191919; background: #F0F0F0" | ↓ | | colspan="5" style="color: #191919; background: #F0F0F0" | ↓ | ||
|- | |- | ||
| rowspan=" | | row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056B8; line-height: 20px; height: 55px;" | 한국농어민당<br>{{small|(박웅두)}} | ||
|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7A6E8; " | [[대안과전망 (변화)|{{color|white|대안과전망}}]] | |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7A6E8; " | [[대안과전망 (변화)|{{color|white|대안과전망}}]] |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1AD199; " | [[새로운선택 (변화)|{{color|white|새로운선택}}]]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1AD199; " | [[새로운선택 (변화)|{{color|white|새로운선택}}]] | ||
| row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 #F58400; " | [[새시민당 (변화)|{{color|white|새시민당}}]] | | row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 #F58400; " | [[새시민당 (변화)|{{color|white|새시민당}}]] | ||
|- | |- | ||
|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10CFC9; " | [[국민신당 (변화)|{{color|white|국민신당}}]] | ||
| | |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 #1CC362; line-height: 20px; height: 55px;" | [[희망의당 (변화)|{{color|white|희망의당}}]]<br>{{small|(제3지대 3자 통합)}} | ||
|- | |- | ||
| colspan="6" style="color: #191919; background: #F0F0F0" | ↓ | |||
|- |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E4002B" | 한국사회당 |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0056B8" | 한국농어민당 |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10CFC9" | 국민신당 | |||
|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 #1CC362" | 희망의당 |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 #A000E9" | [[민주진보당 (변화)|{{color|white|민주진보당}}]] | |||
|} | |} | ||
2024년 7월 26일 (금) 23:33 판
★★★★★ 3.67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본 문서는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일어난 한국사회당의 분당에 관한 문서로, 해당 사건은 대한민국 진보정당 사상 3번째 분당[1] 사건을 의미한다.
발단
한국사회당은 2007년 말, 민주사회연합이 새로운 진보정치 세력화를 위한 통합론을 시작으로, 2008년 NL 세력의 패권주의적 행보에 반발해 민주노동당을 탈당한 평등파 주축의 진보신당, PD 계열 학생운동과 소수자 운동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당, 개혁적 사회주의의 실현과 좌파정치의 변혁을 주도하는 정치단체 민주사회연합의 통합으로 창당했다. 세 집단의 공통 의견과 민주적 사회주의를 당의 공식 이념으로 정한 PD 성향의 진보정당인 만큼, 한 때 NL을 대표하는 민주노동당과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었다.
2011년 5월, 노심조를 중심으로 민주노동당과의 합당을 추진하기로 하자 진보신당계 일부와 사회당계, 민사련계 다수가 반대 의사를 표명했고, 9월 4일 열린 당대회에서 끝내 부결되었다. 이에 노심조를 비롯한 진보신당계 인사들이 대거 탈당해 '새진보통합연대'를 결성했고, 국민참여당, 민주노동당과 함께 통합진보당 창당을 도왔다. 이후 2012년 4월,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부정 경선 사건으로 비당권파들이 대거 이탈했는데, 이에 대한 이견 끝에 2012년 10월 22일 대거 복당했다.
2015년에는 국민모임, 노동정치연대와의 3자 합당이 11월 22일에 성사되면서 다양한 구성원을 확보하게 되었지만, 당의 초기 노선보다 애매한 정체성을 보이기 시작했다. 때문에 민주당과의 관계 설정, 각종 의제에 대한 노선 확립 등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여기에 당 내 페미니즘 논란, 정파 축출 모의 파동[2], 사회당계 비선실세 논란까지 겹치면서 탈당 사태를 불러일으켰다. 결국 2019년 9차 당직선거에서 당 내 좌파가 승리해 반민주당 자강론, 진보 정체성 강화를 통해 어느 정도 초기의 노선으로 돌아갔다.[3]
사회당의 3인 체제는 21대 총선을 지휘하면서 진보층과 노동자층을 결집시켜 그 성과를 거두었으나, 언론중재법·차별금지법·중대재해기업처벌법·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인한 민주당과의 갈등, 진보신당계의 핵심 인사로 꼽히던 김종철의 성추행 사건으로 당 내 책임론과 그 후폭풍을 겪었다. 하지만 보궐당직선거에서 승리한 민사련계가 단독 지도부를 꾸리면서 당 내 좌파의 영향력이 여전히 건재함을 보여주었지만, 3인 체제에 대한 책임론과 노선에 대한 불만이 남아있었다.
결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와 10차 당직선거 이후, 한국사회당은 향후 총선을 앞두고 현재의 노선을 설정해야 되는 과제로 이에 각 정파들이 노선 설정을 통한 방법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 현재의 노선을 포기하고, 민주당과의 연합정치를 위한 진보정치 노선을 분명히함 (새로운진보)
- 4대 원칙[4]에 기반한 노선 유지 (전환, 민주사회연합, 노동연대, 변혁투쟁)
- 현재의 노선을 대체하는 선명한 대안진보정당으로 재창당 (비상, 함께서울)
- 정체성 정치에 기반한 선명 진보 노선에서 제3지대 대안정당으로 노선 전환 (대안신당당원모임)
- 민주당, 민주노총과 거리를 두고 제3지대와 연대해서 중도층을 공략 (세 번째 권력)
전개
세력 분화
한국사회당 | |||||
한국사회당 (잔류파) |
대안신당당원모임 (제3지대파) |
세 번째 권력 (제3지대파) |
새로운진보 (참여계 + 통연 우파) | ||
↓ | |||||
한국농어민당 (박웅두) |
대안과전망 | 새로운선택 | 새시민당 | ||
국민신당 | 희망의당 (제3지대 3자 통합) | ||||
↓ | |||||
한국사회당 | 한국농어민당 | 국민신당 | 희망의당 | 민주진보당 |
세 번째 권력의 새로운선택 합류
대안신당당원모임의 대안과전망 합류
새로운진보의 새시민당 창당
전환, 민주사회연합 등 한국사회당 잔류파
세력 간 연대
결말
여담
둘러보기
각주
- ↑ 이전 사례로는 2008년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분당, 2020년 한국사회당-기본소득당 분당이 있으며, 2012년에 일어난 통합진보당 내부 분열의 경우 새진보통합연대, 참여계, 인천연합이 따로 정당을 창당하지 않고 한국사회당으로 이전한 것이기 때문에 분당으로 보기 어렵다.
- ↑ 정확히는 진신·사회당계 출신이 장악한 당 내 여성조직인 저스트 페미니스트가 주도한 사건으로, 동시에 성폭력 사건까지 일어나 당 내 좌파에 큰 타격을 입었다.
- ↑ 이러한 변화는 초기 노선에 따른 명확한 정체성으로 논쟁을 불식시켰다는 의의를 지녔으나, 참여계와 사회당계 내부에서는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이 중 탈당했던 사회당계 일부는 기본소득 의제와 신좌파 성향을 바탕으로 한 기본소득당을 창당했고, 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민주시민당에 합류한 것을 계기로 친민주당 성향 진보로 돌아섰다. 때문에 구좌파적 경향이 남아있는 한국사회당과는 공통 의제를 제외하면 선을 긋는 편.
- ↑ 당을 중심으로 진보정당 및 단체와의 연합, 현장과 권리 쟁취를 위한 노동조합과의 교섭 강화, 진보적 의제 우선 선점 및 당론화, 노선에 기반한 진보적 생활정치의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