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79번째 줄: | 79번째 줄: | ||
=== 통합정의당 === | === 통합정의당 === | ||
목표는 10석확보였으나 23대 국회의원 3인조차 모두재선에 실패하며 원외정당이 된다. | 목표는 10석확보였으나 23대 국회의원 3인조차 모두재선에 실패하며 원외정당이 된다. | ||
== 비례위성정당 == | |||
=== 한국선진당 === | |||
선진공화당만 참여했다. | |||
=== 민주개혁동맹 === | |||
더불어민주당-기본소득당. 더민주 16석, 기본소득당 1석. |
2024년 12월 7일 (토) 00:31 기준 최신판
| |||||||||
투표율 | 76.19% ![]() | ||||||||
선거 결과 | |||||||||
▼
| |||||||||
선진공화당 164석 (54.7%) (30.3%) 91석 더불어민주당
|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총합 | 비율 | |||||
선진공화당 | 136석 | 28석 | 164석 | 54.7% | |||||
더불어민주당 | 74석 | 17석 | 91석 | 30.3% | |||||
조국혁신당 | 22석 | 4석 | 26석 | 8.7% | |||||
중도미래연합 | 5석 | 1석 | 6석 | 2.0% | |||||
무소속 | 13석 | 0석 | 13석 | 4.3% |
11차 개헌으로 인하여 조기에 총선이 실시되었다. 임기는 2028년 1월 시작된다.
정당별
선진공화당
공화당의 목표는 180석 압승이였으나 10만원권 인물논란, 정부가 5.16을 정변에서 혁명으로 다시교체하려했다는 의혹, 박정희 동상 논란등으로 164석 확보에 그쳤다.
더불어민주당
민주당의 목표는 개헌저지선이 100석 확보였으나 공화당의 악재속에서도 조국혁신당에게 표과 분산되는바람에 91석밖에 확보하지못했다.
조국혁신당
목표는 원내교섭단체 조건인 20석확보였고 성공한다.
중도미래연합
목표는 원내교섭단체 조건인 20석확보였고 실패한다. 비례2번이였던 안철수마저도 재선에 실패했다.
통합정의당
목표는 10석확보였으나 23대 국회의원 3인조차 모두재선에 실패하며 원외정당이 된다.
비례위성정당
한국선진당
선진공화당만 참여했다.
민주개혁동맹
더불어민주당-기본소득당. 더민주 16석, 기본소득당 1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