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중경대교구: 두 판 사이의 차이

 
205번째 줄: 205번째 줄:
** 가톨릭영성교육원
** 가톨릭영성교육원
* 문화예술국
* 문화예술국
** 해월천주교출판국
** 해월천주교출판
*** 전해월가톨릭방송/신문
** 가톨릭오케스트라
** 가톨릭오케스트라
* 원목실
* 원목실

2025년 1월 11일 (토) 10:41 기준 최신판

천주교 중경대교구
Archdiocese of Jung'gyung
형태 가톨릭 교구
전례 로마 전례
교구설정 1833년 1월 22일
관할구역 중경부
수호성인 원죄 없으신 바다의 별이시며 천상의 모후이신 성모 마리아
교구청 소재지 중경부 내성구 내성1동 천주교중경대교구청 038-164_Æ
주교좌성당 내성성당
교구장 도수경 안드레아 대주교
총대리 안살명휘 빈첸시오 주교
보좌주교
교구장 대리
김진우 요한 주교(중앙지역 관할 겸 청소년교육사목)
박태성 베네딕토 주교(서부지역관할 겸 가정사법사목)
우재혁 루도비코 주교(남부지역관할 겸 공무사목)
전신국 테오필로 주교(동부지역관할 겸 사회사목)
신단필 베드로 주교(북부지역관할 겸 특수사목)
은퇴주교 전임 교구장 안살영석 테오도로 추기경
교구현황 추기경 1명

대주교 1명
주교 6명
몬시뇰 8명
사제 1,812명
본당 529개
신자수 3,305,591명 (행정 인구의 32.8% 가량)

|
주교좌 내성성당(언덕 위)과 중경대교구청(언덕 아래)

천주교 중경대교구(Archidioecesis Catholica Junggyungensis)는 가톨릭교회의 대교구로, 해월국 수도 행정구역이자 최대도시인 중경부를 관할하며 해월 최초의 가톨릭 교구이자 최대 규모의 신자가 소속되어 있다.

현임 교구장은 도수경 안드레아 대주교이다.

역대 교구장

  • 초대 오귀스트마리 블랑샤르 (Auguste-Marie Blanchard) 마태오, 재임 1833 ~ 1838[1]
  • 제2대 앙리오귀스트 들라크루아 (Henri-Auguste Delacroix) 그레고리오 재임 1838 ~ 1840
  • 제3대 프랑수아자비에 몽티니 (François-Xavier Montigny) 루카 재임 1840 ~ 1853
  • 제4대 샤를앙리 뒤프렌 (Charles-Henri Dufresne) 라우렌시오 재임 1853 ~ 1859
  • 제5대 알퐁스마리 뒤플레시 (Alphonse-Marie Duplessis) 토마스 재임 1859 ~ 1862
  • 제6대 장 세자르 알렉시스 마르셀 (Jean-César Alexis Marcel) 야고보 재임 1862 ~ 1868
  • 제7대 레옹 노아 마르탱 티메오 (Léon Noah Martin Timéo) 아나스타시오 재임 1868 ~ 1878
  • 제8대 안살정훈 바르톨로메오 재임 1878 ~ 1907 [2]
  • 제9대 성도신우 요한 추기경 재임 1907 ~ 1927[3]
  • 제9대 신병진 비오 추기경 재임 1927 ~ 1937[4]
  • 제10대 박한수 펠라지오 재임 1937 ~ 1949
  • 제11대 김성경 베네딕토 재임 1949 ~ 1957
  • 제12대 양세환 클레멘스 재임 1957 ~ 1975 추기경[5]
  • 제13대 이경래 빈첸시오 추기경 재임 1975 ~ 2001[6]
  • 제14대 윤재호 암브로시오 재임 2001 ~ 2008
  • 제15대 안살영석 테오도로 추기경 재임 2008 ~ 2024[7]
  • 제16대 도수경 안드레아 재임 2024 ~, 2024년 5월 19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테오도로 대주교의 후임이자 중경의 대주교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었으며 6월 29일 교구장으로 착좌했다.

역사

가톨릭 자체는 이미 청나라 강희제 재위시절에 청에 파견한 사신단이 알게 된 바 있으며, 당시 가톨릭 사제들과 만남을 가지는 등 해월에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격적인 전교는 파리 외방선교회가 조선에 선교사를 파견한 직후인 1833년 시작되었다. 조선에서 주교가 배출되며 동아시아 국가 복음화에 더 큰 관심을 가진 교황청의 지원으로 1860년대 이후 천주교는 중경에 "서학 천주교"라는 이름으로 전격 진출했는데, 이때 황실에서 일본에 자극을 받아 세례를 받는 종친이 생겼다. 천주교를 국내에 도입하여 서구 국가들의 국력에 의해 망하지 않고 서방화하자는 서구론과, 전통 문화를 보전해야 한다는 국호론으로 당파가 갈려 국론이 분열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중략,설정 작성예정)

교세가 확장되자 교황 비오 9세는 1878년 1월 해월대목구에 1개의 관구와 그 산하에 3개 교구를 설정하였는데, 이때 중경교구가 설립되었다. 1920년에는 교황 베네딕토 15세가 관구를 다시 3개로 나누고 기존 3개 교구를 1개 대교구와 8개 교구로 설정했다.

교계행정 (지역, 지구 및 지구장)

관할 지역

중앙구(536,954명) 내성구(339,159명) 형원구(396,598명) | 경선구(393,876명) 평덕구(235,575명) 서향구(404,617명) 정단온구(493,950명) | 자목구(404,697명) 남구(479,901명) 호벌구(402,084명) 소명구(393,508명) | 나들구(411,842명) 강성구(254,570명) 재화구(476,429명) | 안천구(391,495명) | 신덕구(454,341명) 고원구(411,758명) 대진구(439,311명) | 유장구(342,255명) | 공양구(416,068명)

중앙지역

직책 이름
교구장 대리 김진우 요한 주교

제1 중앙지구

지구 중심 본당
중앙성당
본당명 설립 연도 주소 주임 신부 부주임 신부 보좌 신부
가명동성당 1968년 중경부 중앙구 가명02동 008-461 강소형 (요한) - -
표2
본당명 설립 연도 주소 주임 신부 부주임 신부 보좌 신부
중앙성당 중앙성당 중앙성당 중앙성당 중앙성당 중앙성당

제2 내성지구

제3 형원지구

제4 경선지구

서부지역

직책 이름
교구장 대리 박태성 베네딕토 주교

제5 평덕지구

제6 서향지구

제7 정단온지구

제8 자목지구

남부지역

직책 이름
교구장 대리 우재혁 루도비코 주교

제9 남 지구

제10 호벌지구

제11 소명지구

제12 나들지구

동부지역

직책 이름
교구장 대리 전신국 테오필로 주교

제13 강성지구

제14 재화지구

제15 안천지구

제16 신덕지구

북부지역

직책 이름
교구장 대리 신단필 베드로 주교

제17 고원지구

제18 대진지구

제19 유장지구

제20 공양지구

|- |}

기관 및 산하 법인

  • 가톨릭법인 천주교 중경대교구 유지재단
    • 해월천주교교육협의회 (Consilium Catholicum Educationis Haewolense)
      • 교황청립 바르톨로메오 해월가톨릭 대학(Pontificial Bartholomew Catholic University of Haewol, Universitas Catholica Bartholomaea Pontificia Haewolensis)대신학교
        • 성 요셉 모스카티 의료원 (Pontificial Bartholomew Catholic University of Haewol Moscati Medical Centre)
      • 신양고등학교소신학교
      • 신양중학교

산하 행정 및 기관

천주교 중경대교구

  • 교구사무처
  • 행정총괄국
  • 재무관리국
  • 교육사목국
    • 청소년사목
    • 청년사목
    • 중년사목
    • 노인사목
    • 영유아부
    • 초등부
    • 중고등부
    • 대학부
    • 청년부
    • 피정지원부
  • 해외사목국
  • 사회사목국
    • 군종사목위원회
    • 경찰소방사목위원회
    • 병원사목위원회
    • 노동사목위원회
    • 교정사목위원회
    • 상설고해
    • 빈민구제위원회
  • 성소지원국
    • 가톨릭영성교육원
  • 문화예술국
    • 해월천주교출판
      • 전해월가톨릭방송/신문
    • 가톨릭오케스트라
  • 원목실
  1. 초대 대목구장 명의주교.
  2. 초대 교구장 주교.
  3. 초대 교구장 대주교, 1920년 중경대교구장 대주교좌 착좌, 1921년 베네딕토 15세 추기경 서품.
  4. 1928년 비오 11세 추기경 서품
  5. 1958년 요한 23세 추기경 서품
  6. 1977년 요한 바오로 2세 추기경 서품
  7. 2008년 베네딕토 16세 추기경 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