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커피와 사탕4: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커피와 사탕 관련문서}}
{{커피와 사탕 관련문서}}
= [[위망지매영매]] =
= [[위망매영재]] =
기여자:[[UserWiki:금태자|금태자]], Kelifonium, 키르  
기여자:[[UserWiki:금태자|금태자]], Kelifonium, 키르  


'''[[위망지매영매]]'''는 '''만약 신라가 봉건 체제로서 2천년 간 이어졌다면?'''이라는 질문에서 개화한, 신라의 정세를 봉건화시킨 특유의 세정 체제와 그로 인한 역사적 개변을 주요 소재로 삼은 제이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위망매영재]]'''는 '''만약 신라가 봉건 체제로서 2천년 간 이어졌다면?'''이라는 질문에서 개화한, 신라의 정세를 봉건화시킨 특유의 세정 체제와 그로 인한 역사적 개변을 주요 소재로 삼은 제이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통일 시대 말기, 실제보다 큰 규모로 일어난 적고적의 난으로부터 금씨 왕을 구해낸 진훤(견훤)은 일찍이 자신이 주장한 관직의 정통성을 확립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진훤이 신라의 권신으로 거듭나며 후백제는 탄생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왕건과의 밀담으로 태봉을 평정한 진훤은 당나라로부터 신라의 새로운 국호인 계림을 하사받고, 호족과 백제왕작, 그리고 자신의 씨족인 진씨가 군림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인 '''세정'''의 병마도원수로서 등극하며 역사의 축은 뒤바뀌었고, 이후 신라는 실권 없이 구름 위로 떠받들어진 금씨의 종묘신궁을 뒤로 한 채, 귀족과 무가들이 난립하는 또 다른 역사의 장으로 쓸려내려갔다.
통일 시대 말기, 실제보다 큰 규모로 일어난 적고적의 난으로부터 금씨 왕을 구해낸 진훤(견훤)은 일찍이 자신이 주장한 관직의 정통성을 확립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진훤이 신라의 권신으로 거듭나며 후백제는 탄생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왕건과의 밀담으로 태봉을 평정한 진훤은 당나라로부터 신라의 새로운 국호인 계림을 하사받고, 호족과 백제왕작, 그리고 자신의 씨족인 진씨가 군림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인 '''세정'''의 병마도원수로서 등극하며 역사의 축은 뒤바뀌었고, 이후 신라는 실권 없이 구름 위로 떠받들어진 금씨의 종묘신궁을 뒤로 한 채, 귀족과 무가들이 난립하는 또 다른 역사의 장으로 쓸려내려갔다.
136번째 줄: 136번째 줄: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성황'''</center><small>(국가 원수)</small>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성황'''</center><small>(국가 원수)</small>
| [[정개제 금표 (위망지매영재)|정개제]]<ref>2025년 기준</ref>
| [[정개제 금표 (위망매영재)|정개제]]<ref>2025년 기준</ref>
|-
|-
| colspan="1" width="15%" rowspan="4"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colspan="1" width="15%" rowspan="4"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계림국 내각총리대신 (위망지매영재)|{{color|#1b1a51ff|내각총리대신}}]]<div>(정부수반)'''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계림국 내각총리대신 (위망매영재)|{{color|#1b1a51ff|내각총리대신}}]]<div>(정부수반)'''
| [[류승민 (위망지매영재)|류승민]]
| [[류승민 (위망매영재)|류승민]]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참의원 의장'''</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참의원 의장'''</center>
155번째 줄: 155번째 줄: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여당'''</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여당'''</center>
| colspan="2" align="left" | [[민주자유당 (위망지매영재)|민주자유당]]
| colspan="2" align="left" | [[민주자유당 (위망매영재)|민주자유당]]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왕조'''</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왕조'''</center>
220번째 줄: 220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법정 연호</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법정 연호</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정개 시대 (개항의 정석)|정개]] (正開)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정개 시대 (위망매영재)|정개]] (正開)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시간대</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36347d; color:#fff;" | <center>시간대</center>
290번째 줄: 290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위치'''</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위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제남목 (위망지매영재)|제남목]], [[대마현 (위망지매영재)|대마세마]]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제남목 (위망매영재)|제남목]], [[대마현 (위망매영재)|대마세마]]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수도'''</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수도'''</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무근군 (위망지매영재)|무근향]]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무근군 (위망매영재)|무근향]]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정치체제'''</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정치체제'''</center>
299번째 줄: 299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국가원수'''</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국가원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통제사 (위망지매영재)|통제사]]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통제사 (위망매영재)|통제사]]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통제사'''</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통제사'''</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신헌 (위망지매영재)|신헌]]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신헌 (위망매영재)|신헌]]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언어'''</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언어'''</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계림어 (위망지매영재)|계림어]]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계림어 (위망매영재)|계림어]]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문자'''</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문자'''</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언문 (위망지매영재)|언문 문자]], 한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언문 (위망매영재)|언문 문자]], 한자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민족'''</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민족'''</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지매영재)|계림인]], [[제남인 (위망지매영재)|제남인]], [[야마토 민족 (위망지매영재)|일본인]] 등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매영재)|계림인]], [[제남인 (위망매영재)|제남인]], [[야마토 민족 (위망매영재)|일본인]] 등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주요 사건'''</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주요 사건'''</center>
317번째 줄: 317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현재 국가'''</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c03040ff;" | <center>'''현재 국가'''</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파일:신라국 국기.svg|30px|border]] [[계림국 (위망지매영재)|계림국]]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파일:신라국 국기.svg|30px|border]] [[계림국 (위망매영재)|계림국]]
|-
|-
|}</div>  
|}</div>  
{{-}}
{{-}}
== 개요 ==
== 개요 ==
1867년에서 1868년 사이 [[계림국 (위망지매영재)|계림]] [[제남목 (위망지매영재)|제남목]] 일대에 세정수군통제사 [[신헌 (위망지매영재)|신헌]]의 주도로 덕문세정의 삼별초를 필두로 세워졌던 정권이다. '''계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 공화국'''이기도 하다.
1867년에서 1868년 사이 [[계림국 (위망매영재)|계림]] [[제남목 (위망매영재)|제남목]] 일대에 세정수군통제사 [[신헌 (위망매영재)|신헌]]의 주도로 덕문세정의 삼별초를 필두로 세워졌던 정권이다. '''계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 공화국'''이기도 하다.
</div>
</div>
{{clearfix}}
{{clearfix}}
391번째 줄: 391번째 줄: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민족 구성'''</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민족 구성'''</center>
| colspan="2" align=left | [[한족 (개항의 정석)|동녕인]] 94.5%<br/>고산포족 2.1%<br/>대륙인 2%<br/>평포족 1.4%<br/>기타 1%
| colspan="2" align=left | [[한족 (위망매영재)|동녕인]] 94.5%<br/>고산포족 2.1%<br/>대륙인 2%<br/>평포족 1.4%<br/>기타 1%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인구밀도'''</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인구밀도'''</center>
423번째 줄: 423번째 줄: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군대'''</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군대'''</center>
| colspan="2" align=left | [[동녕 국방군 (위망지매영재)|동녕 국방군]]  
| colspan="2" align=left | [[동녕 국방군 (위망매영재)|동녕 국방군]]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인간개발지수'''</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인간개발지수'''</center>
448번째 줄: 448번째 줄: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황제'''</center><small>(국가 원수)</small>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황제'''</center><small>(국가 원수)</small>
| [[주훈 (위망지매영재)|평청황제]]<ref>2025년 기준</ref>
| [[주훈 (위망매영재)|평청황제]]<ref>2025년 기준</ref>
|-
|-
| colspan="1" width="15%" rowspan="4"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colspan="1" width="15%" rowspan="3"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동녕국 정성공 (위망지매영재)|{{color|#28537fff|정성공}}]]<div>(의례수반)'''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동녕국 재상 (위망매영재)|{{color|#28537fff|재상}}]]<div>(정부수반)'''
| [[정오창 (위망지매영재)|정오창]]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동녕국 재상 (위망지매영재)|{{color|#28537fff|재상}}]]<div>(정부수반)'''
| [[라이칭더 (위망지매영재)|라이칭더]]
| [[라이칭더 (위망지매영재)|라이칭더]]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자경원 의장'''</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자경원 의장'''</center>
| [[정샤오젠 (위망지매영재)|정샤오젠]]
| [[정샤오젠 (위망매영재)|정샤오젠]]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법률원판장'''</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법률원판장'''</center>
| [[셰밍얀 (위망지매영재)|셰밍얀]]
| [[셰밍얀 (위망매영재)|셰밍얀]]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민주주의 지수'''</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민주주의 지수'''</center>
467번째 줄: 464번째 줄: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여당'''</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여당'''</center>
| colspan="2" align="left" | [[동녕자강회 (위망지매영재)|동녕자강회]]
| colspan="2" align="left" | [[동녕자강회 (위망매영재)|동녕자강회]]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국성'''</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국성'''</center>
532번째 줄: 529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법정 연호</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법정 연호</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평청 시대 (위망지매영매)|평청]] (平青)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평청 시대 (위망매영)|평청]] (平青)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시간대</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ac53aff; color:#28537fff"  | <center>시간대</center>
585번째 줄: 582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d13a43ff; font-size:10.5pt; float:right"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d13a43ff; font-size:10.5pt; float:right"
|-
|-
! colspan="4"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background:#fff; color:#d13a43ff" | {{글씨 색|#d13a43ff|{{large|일본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br>{{글씨 색|#d13a43ff|日本民主主義人民共和国<nowiki>|</nowiki>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Japan}}
! colspan="4"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background:#fff; color:#d13a43ff" | {{글씨 색|#d13a43ff|{{large|일본본 농민노동자공화국}}}}<br>{{글씨 색|#d13a43ff|日本農民労働者民共和国<nowiki>|</nowiki>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Japan}}
|-
|-
! colspan="3 "style="height:150px" | {{테두리|[[파일: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위망지매영매).svg|170px]]}}
! colspan="3 "style="height:150px" | {{테두리|[[파일: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위망지매영매).svg|170px]]}}
643번째 줄: 640번째 줄: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민족 구성'''</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민족 구성'''</center>
| colspan="2" align=left | [[야마토 민족 (개항의 정석)|일본인]] 96.6%<br/>중국인 1.5%<br/>계림인 0.9%<br/>동녕인 0.55%<br/>베트남인 0.41%<br/>태국인 0.09%<br/>기타 0.95%
| colspan="2" align=left | [[야마토 민족 (위망매영재)|일본인]] 96.6%<br/>중국인 1.5%<br/>계림인 0.9%<br/>동녕인 0.55%<br/>베트남인 0.41%<br/>태국인 0.09%<br/>기타 0.95%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인구밀도'''</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인구밀도'''</center>
669번째 줄: 666번째 줄: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군대'''</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군대'''</center>
| colspan="2" align=left | [[일본 인민공화국군 (위망지매영재)|일본 인민공화국군]]  
| colspan="2" align=left | [[일본 공민군 (위망지매영재)|일본 공민군]]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인간개발지수'''</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인간개발지수'''</center>
697번째 줄: 694번째 줄:
|-
|-
| colspan="1" width="15%" rowspan="3"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colspan="1" width="15%" rowspan="3"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위원장 (위망지매영재)|{{color|#d13a43ff|정무위원장}}]]<div>(정부수반)'''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일본 농민노동자공화국 정무위원장 (위망매영재)|{{color|#d13a43ff|정무위원장}}]]<div>(정부수반)'''
| [[스가 요시히데 (위망지매영재)|스가 요시히데]]
| [[스가 요시히데 (위망매영재)|스가 요시히데]]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국회의장'''</center>
| colspan="1"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국회의장'''</center>
710번째 줄: 707번째 줄: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여당'''</center>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여당'''</center>
| colspan="2" align="left" | [[일본 공산당 (위망지매영재)|일본 공산당]]
| colspan="2" align="left" | [[일본 공산당 (위망매영재)|일본 공산당]]
|}</div></div>
|}</div></div>
|-
|-
772번째 줄: 769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법정 연호</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법정 연호</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서력기원 ([[주체기년법 (위망지매영매)|주체]] 병기)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서력기원 ([[주체기년법 (위망매영재)|주체]] 병기)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시간대</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fff; color:#d13a43ff"  | <center>시간대</center>
840번째 줄: 837번째 줄:
! colspan="1" width="50%"  style="background:#01316bff; color:#fff;" | '''멸망 이후'''
! colspan="1" width="50%"  style="background:#01316bff; color:#fff;" | '''멸망 이후'''
|-
|-
! colspan="3" width="50%" style="background:#8a001b; color:#fbe673 | [[후삼국시대 (위망매영재)|{{글씨 색|#fbe673|후삼국시대}}]]
! colspan="3" width="50%" style="background:#8a001b; color:#fbe673 | [[전국시대 (위망매영재)|{{글씨 색|#fbe673|전국시대}}]]
! style="background:#670000; color: #f9d537 | [[파일:십자사륜황문 (위망지매영매).svg|20px]] [[고려세정 (위망매영재)|{{글씨 색|#fedc89|고려세정}}]]
! style="background:#670000; color: #f9d537 | [[파일:십자사륜황문 (위망지매영매).svg|20px]] [[고려세정 (위망매영재)|{{글씨 색|#fedc89|고려세정}}]]
|-
|-
847번째 줄: 844번째 줄: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수도'''</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수도'''</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위망지매영재)|동경부]])<br>세정:[[남원경 (위망지매영재)|남원경]] (현 [[진남도 (위망지매영재)|진남도]] [[남원시 (위망지매영재)|남원시]])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위망매영재)|동경부]])<br>세정:[[남원경 (위망매영재)|남원경]] (현 [[진남도 (위망매영재)|진남도]] [[남원시 (위망매영재)|남원시]])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정치 체제'''</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정치 체제'''</center>
853번째 줄: 850번째 줄: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국가원수'''</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국가원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성황 (위망지매영재)|임금]]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성황 (위망매영재)|임금]]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정부 수장'''</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정부 수장'''</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병마도원수 (위망지매영재)|병마도원수]], [[섭관청정사 (위망지매영재)|섭관청정사]]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병마도원수 (위망매영재)|병마도원수]], [[섭관청정사 (위망매영재)|섭관청정사]]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제후왕작'''</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제후왕작'''</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백제왕 (위망지매영재)|백제왕]]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백제왕 (위망매영재)|백제왕]]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1316bff;color:#fff;" | <center>주요 병마도원수</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01316bff;color:#fff;" | <center>주요 병마도원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킹왕짱}}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킹왕짱}}
  <center>937년 ~ 941년 - [[진훤 (위망지매영재)|진훤]] 도원수<br>965년 ~ 995년 - [[진미언 (위망지매영재)|진미언]] 도원수<br>1067년 ~ 1097년 - [[진개자 (위망지매영재)|진개자]] 도원수</center>
  <center>937년 ~ 941년 - [[진훤 (위망매영재)|진훤]] 도원수<br>965년 ~ 995년 - [[진미언 (위망매영재)|진미언]] 도원수<br>1067년 ~ 1097년 - [[진개자 (위망매영재)|진개자]] 도원수</center>
|-
|-
|}
|}
874번째 줄: 871번째 줄: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언어'''</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언어'''</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중세 [[계림어 (위망지매영재)|계림어]]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중세 [[계림어 (위망매영재)|계림어]]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문자'''</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문자'''</center>
880번째 줄: 877번째 줄: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민족'''</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민족'''</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지매영재)|삼한족]]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매영재)|삼한족]]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종교'''</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01316bff;color:#fff" | <center>'''종교'''</center>
895번째 줄: 892번째 줄:
{{-}}
{{-}}
== 개요 ==
== 개요 ==
[[진훤 (위망지매영재)|진훤]]이 937년에 개창한 계림 최초의 세정.  
[[진훤 (위망매영재)|진훤]]이 937년에 개창한 계림 최초의 세정.  


실질적으로 세정이 개막된 시기는 여러 관직들을 겸직하고 있던 [[진훤 (위망지매영재)|진훤]]이 신라 조정에 입조하여 병마도원수에 임명된 시기인 937년이지만, 그 이전부터 896년에 일어난 [[적고적의 난 (위망지매영재)|적고적의 난]]을 진압한 견훤의 권세는 여전히 커지고 있었기에, 실질적으론 그가 신라 서면도통에 임명된 뒤 [[태봉국 (위망지매영재)|태봉]]을 평정한 918년부터를 실질적인 진씨세정의 시작으로 본다.
실질적으로 세정이 개막된 시기는 여러 관직들을 겸직하고 있던 [[진훤 (위망매영재)|진훤]]이 신라 조정에 입조하여 병마도원수에 임명된 시기인 937년이지만, 그 이전부터 896년에 일어난 [[적고적의 난 (위망매영재)|적고적의 난]]을 진압한 견훤의 권세는 여전히 커지고 있었기에, 실질적으론 그가 신라 서면도통에 임명된 뒤 [[태봉국 (위망매영재)|태봉]]을 평정한 918년부터를 실질적인 진씨세정의 시작으로 본다.


계림사 역사상 최초의 세정인 동시에 국호의 개칭, 금성 금씨 종묘신궁의 종주의 명칭을 성황으로 하는 한편 병마도원수의 종씨들이 대대로 왕작을 하사받도록 하는 등, 훗날 이어질 계림의 문화적 제도들을 정비하였으나 말대에 이르러 고려왕을 겸직한 병마도원수들 섭관청정사들의 종횡이 이어지던 중, 결국 또 다른 유력가인 개성 왕씨 출신의 섭관청정사이자 무인인 [[왕희 (위망지매영재)|왕희]]가 정변을 통해 임금에게 왕작을 하사받아 고려왕으로서 등극한 뒤, 고려세정을 개막하면서 1097년에 멸망했다.
계림사 역사상 최초의 세정인 동시에 국호의 개칭, 금성 금씨 종묘신궁의 종주의 명칭을 성황으로 하는 한편 병마도원수의 종씨들이 대대로 왕작을 하사받도록 하는 등, 훗날 이어질 계림의 문화적 제도들을 정비하였으나 말대에 이르러 고려왕을 겸직한 병마도원수들 섭관청정사들의 종횡이 이어지던 중, 결국 또 다른 유력가인 개성 왕씨 출신의 섭관청정사이자 무인인 [[왕희 (위망매영재)|왕희]]가 정변을 통해 임금에게 왕작을 하사받아 고려왕으로서 등극한 뒤, 고려세정을 개막하면서 1097년에 멸망했다.
</div>
</div>
{{clearfix}}
{{clearfix}}
934번째 줄: 931번째 줄: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수도'''</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수도'''</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위망지매영재)|동경부]])<br>세정:[[남원경 (위망지매영재)|남원경]] (현 [[진남도 (위망지매영재)|진남도]] [[남원시 (위망지매영재)|남원시]])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위망매영재)|동경부]])<br>세정:[[남원경 (위망매영재)|남원경]] (현 [[진남도 (위망매영재)|진남도]] [[남원시 (위망매영재)|남원시]])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정치 체제'''</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정치 체제'''</center>
950번째 줄: 947번째 줄: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주요 병마도원수</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주요 병마도원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왕킹수}}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왕킹수}}
  <center>937년 ~ 941년 - [[진훤 (위망지매영재)|진훤]] 도원수<br>965년 ~ 995년 - [[진미언 (위망지매영재)|진미언]] 도원수<br>1067년 ~ 1097년 - [[진개자 (위망지매영재)|진개자]] 도원수</center>
  <center>937년 ~ 941년 - [[진훤 (위망매영재)|진훤]] 도원수<br>965년 ~ 995년 - [[진미언 (위망매영재)|진미언]] 도원수<br>1067년 ~ 1097년 - [[진개자 (위망매영재)|진개자]] 도원수</center>
|-
|-
|}
|}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언어'''</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언어'''</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중세 [[계림어 (위망지매영재)|계림어]]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중세 [[계림어 (위망매영재)|계림어]]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문자'''</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문자'''</center>
961번째 줄: 958번째 줄: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민족'''</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민족'''</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지매영재)|계림인]]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매영재)|계림인]]  
|-
|-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종교'''</center>
! colspan="1" width="3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670000; color:#fedc89" | <center>'''종교'''</center>
976번째 줄: 973번째 줄:
{{-}}
{{-}}
== 개요 ==
== 개요 ==
[[개경 시대 (위망지매영재)|개경 시대]]에 계림을 통치한 세정.  
[[개경 시대 (위망매영재)|개경 시대]]에 계림을 통치한 세정.  


[[무진 시대 (위망지매영재)|진문세정]]이나 [[무진 시대 (위망지매영재)|덕문세정]]의 이름처럼 도원수 가문의 국성을 딴 데 반해, 고려 세정의 경우 도원수 가문이 하사받은 제후왕작이였던 고려왕(高麗王)에서 명칭이 유래했다. 삼국시대의 삼국 중 하나인 고려와 무관하게, 이 제후왕작의 이름을 딴 돌다리인 고려교(高麗橋)등 개경의 몇몇 이름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무진 시대 (위망매영재)|진문세정]]이나 [[무진 시대 (위망매영재)|덕문세정]]의 이름처럼 도원수 가문의 국성을 딴 데 반해, 고려 세정의 경우 도원수 가문이 하사받은 제후왕작이였던 고려왕(高麗王)에서 명칭이 유래했다. 삼국시대의 삼국 중 하나인 고려와 무관하게, 이 제후왕작의 이름을 딴 돌다리인 고려교(高麗橋)등 개경의 몇몇 이름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한편 이 시대에는 개경이 도시로서 성장한 시기이기도 하였던 탓에, 정묘개화 이후 천수 시대에 설립된 동북면의 사립 구제대학인 [[수창대학 (위망지매영재)|수창대학]]의 캠퍼스가 자리잡고 있다.  
한편 이 시대에는 개경이 도시로서 성장한 시기이기도 하였던 탓에, 정묘개화 이후 천수 시대에 설립된 동북면의 사립 구제대학인 [[수창대학 (위망매영재)|수창대학]]의 캠퍼스가 자리잡고 있다.  
</div>
</div>
{{clearfix}}
{{clearfix}}
1,018번째 줄: 1,015번째 줄:
|-
|-
! colspan="3" style="background:#565055ff; color: #ffff | [[파일:지화근문 흰색.svg|20px]] [[신권 시대 (위망매영재)|{{글씨 색|#fff|권씨 정권}}]]
! colspan="3" style="background:#565055ff; color: #ffff | [[파일:지화근문 흰색.svg|20px]] [[신권 시대 (위망매영재)|{{글씨 색|#fff|권씨 정권}}]]
! colspan="3" style="background:#c03040ff; color: #ffff | [[파일:제주대도독문 흰색 (위망지매영재).svg|20px]] [[탐라 민주국 (위망매영재)|{{글씨 색|#fff|탐라 민주국}}]]
! colspan="3" style="background:#c03040ff; color: #ffff | [[파일:제주대도독문 흰색 (위망매영재).svg|20px]] [[탐라 민주국 (위망매영재)|{{글씨 색|#fff|탐라 민주국}}]]
|-
|-
! colspan="1" width="40%" style=" 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영토'''</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 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영토'''</center>
1,024번째 줄: 1,021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수도'''</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수도'''</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조정:[[한성 (위망지매영재)|한성]]부 → 금성부 (현 [[동경부 (위망지매영재)|동경부]])<br>세정:[[한성 (위망지매영재)|한성]]부 (현 [[중경부 (위망지매영재)|중경부]])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조정:[[한성 (위망매영재)|한성]]부 → 금성부 (현 [[동경부 (위망매영재)|동경부]])<br>세정:[[한성 (위망매영재)|한성]]부 (현 [[중경부 (위망매영재)|중경부]])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접경국'''</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접경국'''</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청나라 (위망지매영재)|대청]]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청나라 (위망매영재)|대청]]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정치 체제'''</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정치 체제'''</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도호제 (위망지매영재)|도호]] 체제 (계림식 봉건제)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도호제 (위망매영재)|도호]] 체제 (계림식 봉건제)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국가원수'''</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국가원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성황 (위망지매영재)|임금]]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성황 (위망매영재)|임금]]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정부 수장'''</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정부 수장'''</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병마도원수 (위망지매영재)|병마도원수]]<ref>대외적으로는 병마도원수 집안이 대대로 임금에게 하사받은 왕작을 근거삼아 계림의 국왕(國王)을 자처했다. 다만 세정 말기에 이르러 본가의 종통 단절과 병약한 도원수의 취임 등이 이어졌으며, 이 탓에 도원수를 보좌하여 정무를 담당하는 체찰사들의 권력이 커지는 현상이 벌어졌다.</ref>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병마도원수 (위망매영재)|병마도원수]]<ref>대외적으로는 병마도원수 집안이 대대로 임금에게 하사받은 왕작을 근거삼아 계림의 국왕(國王)을 자처했다. 다만 세정 말기에 이르러 본가의 종통 단절과 병약한 도원수의 취임 등이 이어졌으며, 이 탓에 도원수를 보좌하여 정무를 담당하는 체찰사들의 권력이 커지는 현상이 벌어졌다.</ref>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제후왕작'''</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제후왕작'''</center>
1,043번째 줄: 1,040번째 줄: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a52a2a;color:#fff;" | <center>주요 병마도원수</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a52a2a;color:#fff;" | <center>주요 병마도원수</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킹왕짱}}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킹왕짱}}
  <center>1603년 ~ 1621년 - [[덕순 (위망지매영재)|덕순]] 도원수 (초대)<br>1865년 ~ 1867년 - [[덕홍섭 (위망지매영재)|덕홍섭]] 도원수 (말대)</center>
  <center>1603년 ~ 1621년 - [[덕순 (위망매영재)|덕순]] 도원수 (초대)<br>1865년 ~ 1867년 - [[덕홍섭 (위망매영재)|덕홍섭]] 도원수 (말대)</center>
|-
|-
|}
|}
1,049번째 줄: 1,046번째 줄: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a52a2a;color:#fff;" | <center>주요 실권자</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a52a2a;color:#fff;" | <center>주요 실권자</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실권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펼접|id=실권자}}
  <center>[[이만복 (위망지매영재)|이만복]]<br>[[덕사광 (위망지매영재)|덕사광]]<br>[[금좌근 (위망지매영재)|금좌근]]</center>
  <center>[[이만복 (위망매영재)|이만복]]<br>[[덕사광 (위망매영재)|덕사광]]<br>[[금좌근 (위망매영재)|금좌근]]</center>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군사'''</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군사'''</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세정육군 (위망지매영재)|세정육군]], [[세정수군 (위망지매영재)|세정수군]]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세정육군 (위망매영재)|세정육군]], [[세정수군 (위망매영재)|세정수군]]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언어'''</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언어'''</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근대 [[계림어 (위망지매영재)|계림어]] → 현대 [[계림어 (위망지매영재)|계림어]]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근대 [[계림어 (위망매영재)|계림어]] → 현대 [[계림어 (위망매영재)|계림어]]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문자'''</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문자'''</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언문 (위망지매영재)|언문 문자]], 한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언문 (위망매영재)|언문 문자]], 한자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민족'''</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민족'''</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지매영재)|삼한족]], [[여진족 (위망지매영재)|여진족]] 등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삼한민족 (위망매영재)|삼한족]], [[여진족 (위망매영재)|여진족]] 등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종교'''</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종교'''</center>
1,069번째 줄: 1,066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비공인 종교'''</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비공인 종교'''</center>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가톨릭([[가톨릭/계림 (위망지매영재)|천주교]])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가톨릭([[가톨릭/계림 (위망매영재)|천주교]])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통화'''</center>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background-color:#a52a2a;color:#fff" | <center>'''통화'''</center>
1,079번째 줄: 1,076번째 줄:
{{-}}
{{-}}
== 개요 ==
== 개요 ==
[[한성 시대 (위망지매영재)|한성 시대]]에 [[계림국 (위망지매영재)|계림]]을 통치했던 [[세정 (위망지매영재)|세정]]으로, 계림사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세정인 한편, 최후의 무신정권이다. 이 시대를 호칭할 때에는 주로 당대 중심지였던 [[한성 (위망지매영재)|한성]]의 이름을 따서 한성세정으로 부르지만, 당시 덕풍왕이자 병마도원수였던 인물들의 성씨인 [[새당 덕문 (위망지매영재)|덕씨]]를 따 [[덕문세정 (위망지매영재)|덕문세정]]이라고도 부른다.  
[[한성 시대 (위망매영재)|한성 시대]]에 [[계림국 (위망매영재)|계림]]을 통치했던 [[세정 (위망매영재)|세정]]으로, 계림사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세정인 한편, 최후의 무신정권이다. 이 시대를 호칭할 때에는 주로 당대 중심지였던 [[한성 (위망매영재)|한성]]의 이름을 따서 한성세정으로 부르지만, 당시 덕풍왕이자 병마도원수였던 인물들의 성씨인 [[새당 덕문 (위망매영재)|덕씨]]를 따 [[덕문세정 (위망매영재)|덕문세정]]이라고도 부른다.  
</div>
</div>
{{clearfix}}
{{clearfix}}
1,107번째 줄: 1,104번째 줄:
| <div style="margin: -5.0px -9.0px>{{#multimaps: 37.5687281,126.9719221 | zoom = 15 | height = 150px}}</div>
| <div style="margin: -5.0px -9.0px>{{#multimaps: 37.5687281,126.9719221 | zoom = 15 | height = 150px}}</div>
|-
|-
| [[계림국 (위망지매영매)|계림국]] [[중경부 (위망지매영매)|중경부]] 북궐방 돈의문로 2가-12<br>민주자유당 중앙당사
| [[계림국 (위망매영재)|계림국]] [[중경부 (위망매영재)|중경부]] 북궐방 돈의문로 2가-12<br>민주자유당 중앙당사
|-
|-
! rowspan="3"; style="color:#000080" | 이념
! rowspan="3"; style="color:#000080" | 이념
| 보수주의 ([[계림의 보수주의 (위망지매영매)|계림]])
| 보수주의 ([[계림의 보수주의 (위망매영재)|계림]])
|-
|-
| '''내부 계파'''<br>• 경제적 자유주의<br>• 사회보수주의<br>• 보수자유주의<br>• 가부장적 보수주의<br>• 온건 보수주의<br>• 우익대중주의<br>• 자유보수주의<br>• 국수주의  
| '''내부 계파'''<br>• 경제적 자유주의<br>• 사회보수주의<br>• 보수자유주의<br>• 가부장적 보수주의<br>• 온건 보수주의<br>• 우익대중주의<br>• 자유보수주의<br>• 국수주의  
1,120번째 줄: 1,117번째 줄:
|-
|-
! style="color:#000080" | 총임  
! style="color:#000080" | 총임  
| [[류승민 (위망지매영매)|류승민]]
| [[류승민 (위망매영재)|류승민]]
|-
|-
! style="color:#000080" | 참임
! style="color:#000080" | 참임
| [[정병국 (위망지매영매)|정병국]]
| [[정병국 (위망매영재)|정병국]]
|-
|-
! style="color:#000080" | 사무총장  
! style="color:#000080" | 사무총장  
| [[나전경원 (위망지매영매)|나전경원]]
| [[나전경원 (위망매영재)|나전경원]]
|-
|-
! style="color:#000080" | 정책위원장
! style="color:#000080" | 정책위원장
| [[오신환 (위망지매영매)|오신환]]
| [[오신환 (위망매영재)|오신환]]
|-
|-
! style="color:#000080" | 역대 내각총리대신
! style="color:#000080" | 역대 내각총리대신
| [[류승민 (위망지매영매)|류승민]] <small>제 NN대(2021년 4월 5일)</small>
| [[류승민 (위망매영재)|류승민]] <small>제 NN대(2021년 4월 5일)</small>
|-
|-
! style="color:#000080" | <div style="margin: 0 -10px">참의원</div>
! style="color:#000080" | <div style="margin: 0 -10px">참의원</div>
1,166번째 줄: 1,163번째 줄:
|-
|-
! style="color:#183072" | 당보   
! style="color:#183072" | 당보   
| [[민자일보 (위망지매영재)|민자일보]](民自日報)
| [[민자일보 (위망매영재)|민자일보]](民自日報)
|-
|-
! style="color:#183072" | 청년조직
! style="color:#183072" | 청년조직
| [[전국 민주 청년단 (위망지매영재)|전국 민주 청년단]](全国 民主 青年團)  
| [[전국 민주 청년단 (위망매영재)|전국 민주 청년단]](全国 民主 青年團)  
|-
|-
! style="color:#183072" | 당원 수
! style="color:#183072" | 당원 수
1,195번째 줄: 1,192번째 줄:
{{-}}
{{-}}
== 개요 ==
== 개요 ==
'''[[민주자유당 (위망지매영재)|민주자유당]](民主自由党)'''은 [[계림국 (위망지매영재)|계림]]의 빅텐트 보수정당으로, 현재 총리대신을 배출한 국회의 '''집권여당'''이다. 연립정당인 [[조청당 (위망지매영재)|조청당]]과 함께 내각을 구성하고 있다. 현 총임(당수)은 민자당 공치계 출신의 유승민이다.
'''[[민주자유당 (위망매영재)|민주자유당]](民主自由党)'''은 [[계림국 (위망매영재)|계림]]의 빅텐트 보수정당으로, 현재 총리대신을 배출한 국회의 '''집권여당'''이다. 연립정당인 [[조청당 (위망매영재)|조청당]]과 함께 내각을 구성하고 있다. 현 총임(당수)은 민자당 공치계 출신의 유승민이다.


약칭은 '''민자당(民自党)'''<ref>보통 계림, 일본, 동녕의 언론에선 해당 명칭으로 더 자주 불린다.</ref>, 영문 약칭은  Democratic Liberal Party (DLP)다. 1955년 [[안산창호 (위망지매영재)|안산창호]], [[송진우 (위망지매영재)|송진우]], [[금병로 (위망지매영재)|금병로]] 등(통칭 안송금)을 중심으로 한 [[삼당합당 (위망지매영재)|삼당합당]]의 결실로서 창당되었으며, 창당한 이래로 대부분 기간 동안<ref>[[노양 신드롬 (위망지매영재)|노양 신드롬]]이라고 불린 [[노양무현 (위망지매영재)|노양무현]]에 대한 지지세 상승으로 인해 그를 내세웠던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수평적 정권 교체의 결과로서 정권을 빼앗긴 적이 있다. 이 시기에 대해서 비공식적으로 붙은 별명이 바로 ´융흥 36년의 정변´(...)</ref> 계림의 집권 정당으로 역할했다.  
약칭은 '''민자당(民自党)'''<ref>보통 계림, 일본, 동녕의 언론에선 해당 명칭으로 더 자주 불린다.</ref>, 영문 약칭은  Democratic Liberal Party (DLP)다. 1955년 [[안산창호 (위망매영재)|안산창호]], [[송진우 (위망매영재)|송진우]], [[금병로 (위망매영재)|금병로]] 등(통칭 안송금)을 중심으로 한 [[삼당합당 (위망매영재)|삼당합당]]의 결실로서 창당되었으며, 창당한 이래로 대부분 기간 동안<ref>[[노양 신드롬 (위망매영재)|노양 신드롬]]이라고 불린 [[노양무현 (위망매영재)|노양무현]]에 대한 지지세 상승으로 인해 그를 내세웠던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수평적 정권 교체의 결과로서 정권을 빼앗긴 적이 있다. 이 시기에 대해서 비공식적으로 붙은 별명이 바로 ´융흥 36년의 정변´(...)</ref> 계림의 집권 정당으로 역할했다.  


오랜 기간 계림의 내각에서 연달아 정권을 차지한 정당이다보니<ref>사실상 계림의 정치계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접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이는 [[중국 (위망지매영재)|중국]]의 [[중국 국민당 (위망지매영재)|중국 국민당]], 일본의 [[자유민주당 (위망지매영재)|자유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동아시아 정치에서 다당제가 활발한 편인 [[동녕국 (위망지매영재)|동녕국]]을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ref>, 계림의 정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위치를 접하고 있으며, 민자당 산하의 파벌들과 그 파벌의 인사들을 파악하면 계림 정계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랜 기간 계림의 내각에서 연달아 정권을 차지한 정당이다보니<ref>사실상 계림의 정치계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접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이는 [[중국 (위망매영재)|중국]]의 [[중국 국민당 (위망매영재)|중국 국민당]], 일본의 [[자유민주당 (위망매영재)|자유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동아시아 정치에서 다당제가 활발한 편인 [[동녕국 (위망매영재)|동녕국]]을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ref>, 계림의 정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위치를 접하고 있으며, 민자당 산하의 파벌들과 그 파벌의 인사들을 파악하면 계림 정계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 상징 ==
== 상징 ==
== 기원 ==
== 기원 ==
1,240번째 줄: 1,237번째 줄:
| <div style="margin: -5.0px -9.0px>{{#multimaps: 37.5687281,126.9719221 | zoom = 15 | height = 150px}}</div>
| <div style="margin: -5.0px -9.0px>{{#multimaps: 37.5687281,126.9719221 | zoom = 15 | height = 150px}}</div>
|-
|-
| [[계림국 (위망지매영매)|계림국]] [[중경부 (위망지매영매)|중경부]] 영등포방 양평로 70가-23<br>입헌민정당 당사
| [[계림국 (위망매영재)|계림국]] [[중경부 (위망매영재)|중경부]] 영등포방 양평로 70가-23<br>입헌민정당 당사
|-
|-
! rowspan="3"; style="color:#FFD700" | 이념
! rowspan="3"; style="color:#FFD700" | 이념
| 자유주의 ([[계림의 자유주의 (위망지매영매)|계림]])
| 자유주의 ([[계림의 자유주의 (위망매영재)|계림]])
|-
|-
| '''내부 계파'''<br>• 경제적 자유주의<br>
| '''내부 계파'''<br>• 경제적 자유주의<br>
1,253번째 줄: 1,250번째 줄:
|-
|-
! style="color:#FFD700" | 총임  
! style="color:#FFD700" | 총임  
| [[노회찬 (위망지매영매)|노회찬]]
| [[노회찬 (위망매영재)|노회찬]]
|-
|-
! style="color:#FFD700" | 참임
! style="color:#FFD700" | 참임
| [[문전재인 (위망지매영매)|문전재인]]
| [[문전재인 (위망매영재)|문전재인]]
|-
|-
! style="color:#FFD700" | 사무총장  
! style="color:#FFD700" | 사무총장  
| [[평광재 (위망지매영매)|평광재]]
| [[평광재 (위망매영재)|평광재]]
|-
|-
! style="color:#FFD700" | 정책위원장
! style="color:#FFD700" | 정책위원장
| [[항진규 (위망지매영매)|항진규]]
| [[항진규 (위망매영재)|항진규]]
|-
|-
! style="color:#FFD700" | 역대 내각총리대신
! style="color:#FFD700" | 역대 내각총리대신
| [[노양무현 (위망지매영매)|노양무현]] <small>제 NN대(2003년 7월 21일)</small>
| [[노양무현 (위망매영재)|노양무현]] <small>제 NN대(2003년 7월 21일)</small>
|-
|-
! style="color:#FFD700" | <div style="margin: 0 -10px">참의원</div>
! style="color:#FFD700" | <div style="margin: 0 -10px">참의원</div>
1,297번째 줄: 1,294번째 줄:
|-
|-
! style="color:#FFD700" | 당보   
! style="color:#FFD700" | 당보   
| [[입헌신문 (위망지매영재)|입헌신문]](立憲新聞)
| [[입헌신문 (위망매영재)|입헌신문]](立憲新聞)
|-
|-
! style="color:#FFD700" | 청년조직
! style="color:#FFD700" | 청년조직
| [[청년호헌위원회 (위망지매영재)|청년호헌위원회]](靑年護憲委員會)  
| [[청년호헌위원회 (위망매영재)|청년호헌위원회]](靑年護憲委員會)  
|-
|-
! style="color:#FFD700" | 당원 수
! style="color:#FFD700" | 당원 수
1,351번째 줄: 1,348번째 줄:
| width="33%" style="background:#808080;padding:8px" | [[파일:중화민국 국민정부 국기.svg|50px|border|link=중국 (위망지매영매)]]
| width="33%" style="background:#808080;padding:8px" | [[파일:중화민국 국민정부 국기.svg|50px|border|link=중국 (위망지매영매)]]
|-
|-
| width="33%" | [[류큐 (위망지매영매)|{{글씨 색|#000|류큐}}]]<ref>영토의 일부가 미크로네시아, 동남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width="33%" | [[류큐 (위망매영재)|{{글씨 색|#000|류큐}}]]<ref>영토의 일부가 미크로네시아, 동남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width="33%" | [[계림국 (위망지매영매)|{{글씨 색|#000|계림}}]]
| width="33%" | [[계림국 (위망매영재)|{{글씨 색|#000|계림}}]]
| width="33%" | [[중국 (위망지매영매)|{{글씨 색|#000|중국}}]]<ref>영토의 일부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width="33%" | [[중국 (위망매영재)|{{글씨 색|#000|중국}}]]<ref>영토의 일부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
| width="33%" style="background:#808080;padding:8px" | [[파일: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위망지매영매).svg|60px|border|link=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망지매영매)]]
| width="33%" style="background:#808080;padding:8px" | [[파일: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위망지매영매).svg|60px|border|link=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망지매영매)]]
1,359번째 줄: 1,356번째 줄:
| width="33%" style="background:#808080;padding:8px" | [[File:몽골 국기 고퀄.svg|60px|border|link=몽골 (개항의 정석)]]
| width="33%" style="background:#808080;padding:8px" | [[File:몽골 국기 고퀄.svg|60px|border|link=몽골 (개항의 정석)]]
|-
|-
| width="33%" | [[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망지매영매)|{{글씨 색|#000|일본}}]]<ref>영토의 일부가 북아시아, 동남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width="33%" | [[일본 농민노동자공화국 (위망매영재)|{{글씨 색|#000|일본}}]]<ref>영토의 일부가 북아시아, 동남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width="33%" | [[동녕국 (위망지매영매)|{{글씨 색|#000|동녕}}]]
| width="33%" | [[동녕국 (위망매영재)|{{글씨 색|#000|동녕}}]]
| width="33%" | [[몽골 (위망지매영매)|{{글씨 색|#000|몽골}}]]<ref>중앙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width="33%" | [[몽골 (위망매영재)|{{글씨 색|#000|몽골}}]]<ref>중앙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ref>
|-
|-
| colspan="4" | {{펼접|id=영토의 일부|}}
| colspan="4" | {{펼접|id=영토의 일부|}}

2025년 7월 13일 (일) 03:46 판

커피와 사탕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창작 세계관 아침해의 원유관 (운영중) · 벚꽃이 질때까지 (휴재) · 정족지세:무쇠솥 아래에서 (예정) · 광목성대 (운영중) · 고천원:반천년의 종막 (예정) · 대명천지 (단편선) · 도리만천하 (예정) · ??? (예정)
참여 세계관 빌레펠트 (참여) · 아침의 나라 (참여) · 주홍빛 잔물결 (참여) · 엘리시온 프로젝트 (참여) · 신질서의 황혼 (일부 지원) · 위망지매영매 · ZEROCELL (참여)
관련 단체 원유관 팀 (팀장) · 빌레펠트 제작진 (회원) · 네겐트로피 (회원)
연습장 1 · 2 · 3 · 4 · 5· 6
기타 여담 · 성향 및 사상

위망매영재

기여자:금태자, Kelifonium, 키르

위망매영재만약 신라가 봉건 체제로서 2천년 간 이어졌다면?이라는 질문에서 개화한, 신라의 정세를 봉건화시킨 특유의 세정 체제와 그로 인한 역사적 개변을 주요 소재로 삼은 제이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통일 시대 말기, 실제보다 큰 규모로 일어난 적고적의 난으로부터 금씨 왕을 구해낸 진훤(견훤)은 일찍이 자신이 주장한 관직의 정통성을 확립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진훤이 신라의 권신으로 거듭나며 후백제는 탄생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왕건과의 밀담으로 태봉을 평정한 진훤은 당나라로부터 신라의 새로운 국호인 계림을 하사받고, 호족과 백제왕작, 그리고 자신의 씨족인 진씨가 군림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인 세정의 병마도원수로서 등극하며 역사의 축은 뒤바뀌었고, 이후 신라는 실권 없이 구름 위로 떠받들어진 금씨의 종묘신궁을 뒤로 한 채, 귀족과 무가들이 난립하는 또 다른 역사의 장으로 쓸려내려갔다.

작성예정 리스트

  • 동녕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류큐 > 작성준비 > 문서화
  • 일본 > 작성준비✔ > 문서화
  • 중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진씨세정 > 작성준비✔ > 문서화
  • 왕씨세정 > 작성준비 > 문서화
  • 덕씨세정 > 작성준비✔ > 문서화
  • 대계림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국 내각총리대신 > 작성준비 > 문서화
  • 구 금성부 현 동경부 > 작성준비 > 문서화

계림

콩코드
계림국
鷄林国 |Keilin
국기 국장
網羅四方
망라사방
상징
국가
月金歌(월금가) (법률상)
국화
진달래 (관습상)
국조
역사
[ 펼치기 · 접기 ]
정묘개화 1867년 5월 18일
내외칭제의 대호령 및 대계림제국 출범 1868년 1월 15일
폐주구도(藩州具道)령 반포 1870년 6월 4일
대계림제국 국헌 시행 1890년 7월 17일
연합군의 점령 1945년 9월 3일
계림국 국헌 공표 1946년 10월 3일
계림국 국헌 시행 및 계림국 출범 1947년 8월 15일
국권회복 1952년 4월 18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중경부
북위 37°34′00″ 동경 126°58′41″
최대도시
면적
279,678km²| 세계 84위
내수면비
3.4%
위치
동북아시아 계림반도
주변국
중화민국
러시아
류큐
일본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141,254,275명 (2025년)| 세계 10위
민족 구성
계림인 96.5%
중국인 0.54%
일본인 0.5%
동녕인 0.46%
필리핀인 0.26%
베트남인 0.24
기타 1.5%
인구밀도
125.1명/km²
출산율
1.53명
기대수명
84.5(2025년 기준)
언어
공용어
계림어, 계림 수어
공용문자
언문 문자, 한자(신자체)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종교 분포
불교(대승 불교) 34.2%
기독교 15.1%
• 가톨릭 10.1%
• 개신교 4%
• 정교회 1%
천도교 1.2%
기타 3%
무종교 51.5%
군대
계림국 국군
인간개발지수
0.929(2022년)| very high | 세계 19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경목부도
5경(京) 1목(牧) N부(部) 23 도(道)
시방향
?시(市) ?방(坊) ?현(縣) 125향(鄕)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양원제, 다당제, 지방자치
성황
(국가 원수)
정개제[1]
정부
요인
내각총리대신
(정부수반)
류승민
참의원 의장
?
민의원 의장
?
평리원 재판장
?
민주주의 지수
8.45점, 완전한 민주주의
(163개국 중 16위, 아시아 1위)
여당
민주자유당
왕조
계림왕조(鷄林王朝)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GDP
4조 725억$ |세계 3위(2025년 기준)
1인당 GDP
54,036$ |세계 36위(2025년 기준)
GDP
(PPP)
전체 GDP
6조 4,570억$ |세계 4위(2025년 기준)
1인당 GDP
39,345$ |세계 30위(2025년 기준)
국부
26조 7,330억$ |세계 7위(2025년 기준)
수출입액
수출
6,782억$|세계 4위(2025년 기준)
수입
6,451억$(2024년 기준)
외환보유액
1조 2,343억$(2024년 기준)
신용등급
무디스 A1

S&P 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계림 원(圓,₩)
ISO 4217
KW
국가예산
1년 세입
1조 6,578억$(2024년 기준)
1년 세출
1조 4,137억$(2024년 기준)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정개 (正開)
시간대
UTC+9(계림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운전석(통행 방향)
오른쪽(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UN 가입
1956년 7월 25일 (68주년)
연합국회원국 승인여부
198개국 승인
수교국
198개국
ccTLD
.ki, .계림
국가코드
408, kin
국제전화 코드
+82

개요

계림국(鷄林国), 통칭 계림(鷄林)은 동아시아의 신라반도 및 그 부속도서에 위치한 입헌군주국이다.


삼별초의 난 시즌 2

아원

탐라 민주국
耽羅民主國
제남대도독인
濟南大都督印
1867년 ~ 1868년
건국 이전 멸망 이후
덕문세정
탐라번
대계림제국
제남목
위치
제남목, 대마세마
수도
무근향
정치체제
공화제
국가원수
통제사
통제사
신헌
언어
계림어
문자
언문 문자, 한자
민족
계림인, 제남인, 일본인
주요 사건
1867년 9월 9일 건국
1868년 11월 21일 계탐전쟁, 멸망
현재 국가
계림국

개요

1867년에서 1868년 사이 계림 제남목 일대에 세정수군통제사 신헌의 주도로 덕문세정의 삼별초를 필두로 세워졌던 정권이다. 계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 공화국이기도 하다.

통닝

아원
동녕국
東寧國|State of Tungning
국기 국장
順遂正德
순수정덕
상징
국가
萬友歌(만우가)
국화
매화 (관습상)
국조
봉황
역사
[ 펼치기 · 접기 ]
건국 1661년
남방진출 NNNN년
불동전쟁 발발 1870년 7월 13일
일본군의 점령 1939년 3월 3일
동녕국 국헌 개정 1947년 12월 4일
계림국 국헌 공표 1946년 5월 18일


12.3 사건 발발 1959년 12월 3일
4.15 호헌항쟁 발발 1976년 4월 3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솅티엔부(承天府)
북위 23°00′00″ 동경 120°19′38″
최대도시
면적
70,097km²| 세계 120위
내수면비
2.8%
위치
동북아시아 타이완 섬, 하이난 섬
주변국
중화민국
류큐
일본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35,053,245‬‬명 (2025년)| 세계 44위
민족 구성
동녕인 94.5%
고산포족 2.1%
대륙인 2%
평포족 1.4%
기타 1%
인구밀도
312.1명/km²
출산율
1.32명
기대수명
80.7(2025년 기준)
언어
공용어
동녕 중국어(사실상)
인정 언어
대만어(민남어), 객가어, 표준 중국어
지역 언어
민동어, 대만 제어, 광둥어
공용문자
한자(구자체)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종교 분포
불교(대승 불교) 30.1%
도교 28.9%
일관도 4.2%
기타 7.6%
무종교 30.2%
군대
동녕 국방군
인간개발지수
0.838(2022년)| very high | 세계 41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부현급 행정구역
3성(省) 5부(府) 17현(縣)
군진향급 행정구역
57군(郡) 92진(縣) 148향(鄕)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다당제, 단일국가, 성문법주의(대륙법계)
황제
(국가 원수)
평청황제[2]
정부
요인
재상
(정부수반)
라이칭더
자경원 의장
정샤오젠
법률원판장
셰밍얀
민주주의 지수
여당
동녕자강회
국성
강시 주씨 (江西 朱氏)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GDP
4조 725억$ |세계 3위(2025년 기준)
1인당 GDP
54,036$ |세계 36위(2025년 기준)
GDP
(PPP)
전체 GDP
6조 4,570억$ |세계 4위(2025년 기준)
1인당 GDP
39,345$ |세계 30위(2025년 기준)
국부
26조 7,330억$ |세계 7위(2025년 기준)
수출입액
수출
6,782억$|세계 4위(2025년 기준)
수입
6,451억$(2024년 기준)
외환보유액
1조 2,343억$(2024년 기준)
신용등급
무디스 A1

S&P 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동녕 옌(圆,Jen)
ISO 4217
TJ
국가예산
1년 세입
1조 6,578억$(2024년 기준)
1년 세출
1조 4,137억$(2024년 기준)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평청 (平青)
시간대
UTC+8(계림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척관법
운전석(통행 방향)
왼쪽(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UN 가입
1955년 11월 21일
연합국회원국 승인여부
195개국 승인
수교국
193개국
ccTLD
.tn, .東寧
국가코드
158, TN, TUN
국제전화 코드
+886

개요

동녕국(東寧國), 통칭 동녕(東寧)은 동아시아의 타이완, 하이난 섬 및 그 부속도서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북괴

아원
일본본 농민노동자공화국
日本農民労働者民共和国|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Japan
국기 국장
万国の労働者よ、団結せよ!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상징
국가
メーデー歌(메이데이가)
국조
두루미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도쿄도(東京都)
북위 35°67′62″ 동경 139°65′03″
최대도시
면적
374,995km²| 세계 63위
내수면비
3.5%
위치
동북아시아 일본 열도
주변국
류큐
계림
중화민국
러시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115,672,479명 (2025년)| 세계 13위
민족 구성
일본인 96.6%
중국인 1.5%
계림인 0.9%
동녕인 0.55%
베트남인 0.41%
태국인 0.09%
기타 0.95%
인구밀도
323.4명/km²
출산율
1.41명
기대수명
80.7(2025년 기준)
언어
공용어
일본어
공용문자
가나 문자, 한자(신자체)
종교
국교
없음(국가 무신론)
종교 분포
불교(대승 불교) 19.7%
그리스도쿄 1.3%
무종교 79%
군대
일본 공민군
인간개발지수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도도부현
1도(都) 1도(道) 2부(府) 42현(県)
시정촌
23지구 780시 732정 177촌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인민민주주의, 민주집중제, 공화제, 단원제, 다당제, 단일국가
중앙국무회의 의장
(국가 원수)
정부
요인
정무위원장
(정부수반)
스가 요시히데
국회의장
최고재판소 장관
민주주의 지수
여당
일본 공산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사회주의적 계획경제(부분적 자본주의 및 사유재산제)
명목 GDP
전체GDP
4조 725억$ |세계 3위(2025년 기준)
1인당 GDP
54,036$ |세계 36위(2025년 기준)
GDP
(PPP)
전체 GDP
6조 4,570억$ |세계 4위(2025년 기준)
1인당 GDP
39,345$ |세계 30위(2025년 기준)
국부
26조 7,330억$ |세계 7위(2025년 기준)
수출입액
수출
6,782억$|세계 4위(2025년 기준)
수입
6,451억$(2024년 기준)
외환보유액
1조 2,343억$(2024년 기준)
신용등급
무디스 A1

S&P 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일본 엔(円,¥)
ISO 4217
JY
국가예산
1년 세입
1조 6,578억$(2024년 기준)
1년 세출
1조 4,137억$(2024년 기준)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주체 병기)
시간대
UTC+9 (일본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운전석(통행 방향)
오른쪽(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계수교현황
UN 가입
연합국회원국 승인여부
수교국
ccTLD
.jp, .東寧
국가코드
392, DPJ, PJ
국제전화 코드
+81

개요

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日本民主主義人民共和国), 또는 일공(日共)은 동아시아의 일본 열도에 위치한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망탁조의 희망편

아원
계림
진문세정 | 甄紋勢政
계림어기 가인
937년 ~ 1097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전국시대 고려세정
국호
신라 → 계림
수도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세정:남원경 (현 진남도 남원시)
정치 체제
무가정권
국가원수
임금
정부 수장
병마도원수, 섭관청정사
제후왕작
백제왕
주요 병마도원수
[ 펼치기 · 접기 ]
937년 ~ 941년 - 진훤 도원수
965년 ~ 995년 - 진미언 도원수
1067년 ~ 1097년 - 진개자 도원수
주요 섭관청정사
[ 펼치기 · 접기 ]
1085년 ~ 1097년 - 왕희 섭관청정사
언어
중세 계림어
문자
한자, 구결
민족
삼한족
종교
대승 불교 (선종 우위), 신교, 유교
화폐
정(錠)
주요 사건
세정 설립

개요

진훤이 937년에 개창한 계림 최초의 세정.

실질적으로 세정이 개막된 시기는 여러 관직들을 겸직하고 있던 진훤이 신라 조정에 입조하여 병마도원수에 임명된 시기인 937년이지만, 그 이전부터 896년에 일어난 적고적의 난을 진압한 견훤의 권세는 여전히 커지고 있었기에, 실질적으론 그가 신라 서면도통에 임명된 뒤 태봉을 평정한 918년부터를 실질적인 진씨세정의 시작으로 본다.

계림사 역사상 최초의 세정인 동시에 국호의 개칭, 금성 금씨 종묘신궁의 종주의 명칭을 성황으로 하는 한편 병마도원수의 종씨들이 대대로 왕작을 하사받도록 하는 등, 훗날 이어질 계림의 문화적 제도들을 정비하였으나 말대에 이르러 고려왕을 겸직한 병마도원수들 섭관청정사들의 종횡이 이어지던 중, 결국 또 다른 유력가인 개성 왕씨 출신의 섭관청정사이자 무인인 왕희가 정변을 통해 임금에게 왕작을 하사받아 고려왕으로서 등극한 뒤, 고려세정을 개막하면서 1097년에 멸망했다.

카이징 토겐스이

아원
계림
고려세정 | 高麗勢政
계림어기 가인
1098년 5월 27일 ~ 1355년 8월 13일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진문세정 권문정치
언어
전기
원 간섭기
광무 신정
후기
정권
개경 왕문 → 예케 몽골 올로스 → 계림 황실 → 개경 왕문
수도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세정:남원경 (현 진남도 남원시)
정치 체제
무가정권, 봉건제
국가원수
임금
정부 수장
병마도원수
제후왕작
고려왕
주요 병마도원수
[ 펼치기 · 접기 ]
937년 ~ 941년 - 진훤 도원수
965년 ~ 995년 - 진미언 도원수
1067년 ~ 1097년 - 진개자 도원수
언어
중세 계림어
문자
한자, 구결
민족
계림인
종교
삼교합일 (三敎合一, 불유신(佛儒神)의 습합)
화폐
정(錠)
주요 사건
세정 설립

개요

개경 시대에 계림을 통치한 세정.

진문세정이나 덕문세정의 이름처럼 도원수 가문의 국성을 딴 데 반해, 고려 세정의 경우 도원수 가문이 하사받은 제후왕작이였던 고려왕(高麗王)에서 명칭이 유래했다. 삼국시대의 삼국 중 하나인 고려와 무관하게, 이 제후왕작의 이름을 딴 돌다리인 고려교(高麗橋)등 개경의 몇몇 이름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한편 이 시대에는 개경이 도시로서 성장한 시기이기도 하였던 탓에, 정묘개화 이후 천수 시대에 설립된 동북면의 사립 구제대학인 수창대학의 캠퍼스가 자리잡고 있다.

전 국무총리 막부

아원
계림
덕문세정 | 德紋勢政
국기(사실상)
상선기 가인
1603년 ~ 1867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무가정란기 대계림제국
권씨 정권 파일:제주대도독문 흰색 (위망매영재).svg 탐라 민주국
영토
삼한, 동북, 간요, 탐라지방
수도
조정:한성부 → 금성부 (현 동경부)
세정:한성부 (현 중경부)
접경국
대청
정치 체제
도호 체제 (계림식 봉건제)
국가원수
임금
정부 수장
병마도원수[3]
제후왕작
보덕왕
주요 병마도원수
[ 펼치기 · 접기 ]
1603년 ~ 1621년 - 덕순 도원수 (초대)
1865년 ~ 1867년 - 덕홍섭 도원수 (말대)
주요 실권자
[ 펼치기 · 접기 ]
군사
세정육군, 세정수군
언어
근대 계림어 → 현대 계림어
문자
언문 문자, 한자
민족
삼한족, 여진족
종교
대승 불교 (선종 우위), 유교, 신교, 도교
비공인 종교
가톨릭(천주교)
통화
계림중보, 상평통보, 저화

개요

한성 시대계림을 통치했던 세정으로, 계림사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세정인 한편, 최후의 무신정권이다. 이 시대를 호칭할 때에는 주로 당대 중심지였던 한성의 이름을 따서 한성세정으로 부르지만, 당시 덕풍왕이자 병마도원수였던 인물들의 성씨인 덕씨를 따 덕문세정이라고도 부른다.

K-노론

아원
민주자유당
民主自由党 | Democratic Liberal Party
약칭 민자당(民自党), 민자(民自), DLP
표어 번영과 국민의 계림
繁榮乙哥 国民之 鷄林
창당일 1955년 9월 18일
통합 정당 계림민주당,자유당,민주공치당
(1955년 9월 18일 신설합당)
연립여당 조청당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계림국 중경부 북궐방 돈의문로 2가-12
민주자유당 중앙당사
이념 보수주의 (계림)
내부 계파
• 경제적 자유주의
• 사회보수주의
• 보수자유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자유보수주의
• 국수주의
역사적 계파
• 고전적 자유주의
• 보수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 자유주의
• 국가조합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우익 빅 텐트
총임 류승민
참임 정병국
사무총장 나전경원
정책위원장 오신환
역대 내각총리대신 류승민 제 NN대(2021년 4월 5일)
참의원
112석 / 230석 (48.6%)
민의원
274석 / 456석 (60.1%)
경목부도의장
21석 / 51석 (42.1%)
시방현향의장
892석 / 2547석 (35.4%)
경목부도의원
980석 / 5327석 (18.4%)
시방현향의원
503석 / 7852석 (6.4%)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당색 청색 (#000080)
하늘색 (#0095DA)
흰색 (#FFFFFF)
정책연구소 여의도연구원
당보 민자일보(民自日報)
청년조직 전국 민주 청년단(全国 民主 青年團)
당원 수 1,056,639명
(2025년 기준)
정당 보조금 14,715,342,000원
(2025년 중반기)
당비수익 913,620,000원
(2025년 기준)
재산총액 913,620,000원
(2025년 기준)
당가 조국찬가 (듣기)
국민과 하나되어 (듣기)
당기
공식 사이트

개요

민주자유당(民主自由党)계림의 빅텐트 보수정당으로, 현재 총리대신을 배출한 국회의 집권여당이다. 연립정당인 조청당과 함께 내각을 구성하고 있다. 현 총임(당수)은 민자당 공치계 출신의 유승민이다.

약칭은 민자당(民自党)[4], 영문 약칭은 Democratic Liberal Party (DLP)다. 1955년 안산창호, 송진우, 금병로 등(통칭 안송금)을 중심으로 한 삼당합당의 결실로서 창당되었으며, 창당한 이래로 대부분 기간 동안[5] 계림의 집권 정당으로 역할했다.

오랜 기간 계림의 내각에서 연달아 정권을 차지한 정당이다보니[6], 계림의 정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위치를 접하고 있으며, 민자당 산하의 파벌들과 그 파벌의 인사들을 파악하면 계림 정계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징

기원

성립

현황

민자당 강세의 이유

정강·정책

파벌

당가

지지기반

타 정당들과의 관계

역대 중앙지도부 임원 목록

역대 선거 결과

출신 총리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K-소론

아원
입헌민정당
立憲民政党 | The Constitutional Civil Rights Party
약칭 입민당(立民党), 입헌(立憲), CCRP
표어 저물가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低物價 社會乙 作成
창당일 2014년 8월 23일
통합 정당 계림자유당, 혁신민주당
(1955년 9월 18일 신설합당)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계림국 중경부 영등포방 양평로 70가-23
입헌민정당 당사
이념 자유주의 (계림)
내부 계파
• 경제적 자유주의
역사적 계파
• 고전적 자유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총임 노회찬
참임 문전재인
사무총장 평광재
정책위원장 항진규
역대 내각총리대신 노양무현 제 NN대(2003년 7월 21일)
참의원
112석 / 230석 (48.6%)
민의원
274석 / 456석 (60.1%)
경목부도의장
21석 / 51석 (42.1%)
시방현향의장
892석 / 2547석 (35.4%)
경목부도의원
980석 / 5327석 (18.4%)
시방현향의원
503석 / 7852석 (6.4%)
국제조직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당색 노란색 (#FFD700)
프러시안색 (#012136)
정책연구소 입헌연구소
당보 입헌신문(立憲新聞)
청년조직 청년호헌위원회(靑年護憲委員會)
당원 수 8,125,975명
(2025년 기준)
정당 보조금 11,261,735,000원
(2025년 중반기)
당비수익 897,742,000원
(2025년 기준)
재산총액 900,135,000원
(2025년 기준)
당가 우리들 (듣기)
공식 사이트

개요

상징

기원

성립

현황

정강·정책

파벌

당가

지지기반

타 정당들과의 관계

역대 중앙지도부 임원 목록

역대 선거 결과

출신 총리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대동아주의 온국들

아원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류큐[7] 계림 중국[8]
일본[9] 동녕 몽골[10]
[ 펼치기 · 접기 ]
  1. 2025년 기준
  2. 2025년 기준
  3. 대외적으로는 병마도원수 집안이 대대로 임금에게 하사받은 왕작을 근거삼아 계림의 국왕(國王)을 자처했다. 다만 세정 말기에 이르러 본가의 종통 단절과 병약한 도원수의 취임 등이 이어졌으며, 이 탓에 도원수를 보좌하여 정무를 담당하는 체찰사들의 권력이 커지는 현상이 벌어졌다.
  4. 보통 계림, 일본, 동녕의 언론에선 해당 명칭으로 더 자주 불린다.
  5. 노양 신드롬이라고 불린 노양무현에 대한 지지세 상승으로 인해 그를 내세웠던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수평적 정권 교체의 결과로서 정권을 빼앗긴 적이 있다. 이 시기에 대해서 비공식적으로 붙은 별명이 바로 ´융흥 36년의 정변´(...)
  6. 사실상 계림의 정치계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접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으며, 이는 중국중국 국민당, 일본의 자유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동아시아 정치에서 다당제가 활발한 편인 동녕국을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7. 영토의 일부가 미크로네시아, 동남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8. 영토의 일부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9. 영토의 일부가 북아시아, 동남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10. 중앙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내각상대시중

아원

鷄林国 歷代 内閣総理大臣
[ 펼치기 · 접기 ]
천수 시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종표정양
평덕 시대
제N대 제N대 제N대 제N대
양화 시대 전전
제N대 제N대 제N대 제N대
양화 시대 전시
제N대 제N대 제N대 제N대
양화 시대 전후
제N대 제N대 제N대 제N대
융흥 시대
제N대 제N대 제N대 제N대
정개 시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류승민
상대시중

고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 태봉 · 무진 · 개경
총추 · 강화 · 한성 · 총무시중 · 내각총리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