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Streams:E04e0071fd449ba8963244d22d5f486f: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r>
의문점 글에 등장하는 섭리 라는 용어에 대해 부가 설명을 적어 둡니다.  
의문점 글에 등장하는 섭리 라는 용어에 대해 부가 설명을 적어 둡니다.  
섭리 라는 것이 살아있는 생물 인지, 실제로 존재하는 시스템 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섭리 라는 것이 살아있는 생물 인지, 실제로 존재하는 시스템 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2025년 7월 13일 (일) 23:09 판


의문점 글에 등장하는 섭리 라는 용어에 대해 부가 설명을 적어 둡니다. 섭리 라는 것이 살아있는 생물 인지, 실제로 존재하는 시스템 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1. 섭리는 하위 원리 이다. 만약 순리가 하위 원리 라고 한다면, 이는 정신체가 자신 만의 자체적인 세상에서 이래야만 한다- 라는 비이성적 논리를 통해 나타나게 된 비과학적인 현상 으로서, 지구 에서의 과학을 대체하는 일종의 법칙 이라는 것 입니다. 아무리 자체적인 공간 이라고는 해도, 정신체가 어떻게 혼자 만의 섭리를 정할 수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는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해결 될 수 있는 문제 입니다. 2. 섭리는 상위 원리 이다. 만약 순리가 상위 원리 라고 한다면, 이러한 시스템이 실제로 존재 한다기 보다는 이는 위계 의식으로 인해 일어난 일일 수 있습니다. 정신체는 생활의 문제로 인해서 종이 매우 낮아져서, 특정 종 이라고 할 수 없는 상태 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추악한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어서 심미성을 추구 하는데, 문제는 심미성 에는 엄청난 위계 의식이 존재 한다는 것 입니다. 이들은 반발 심리로 인해 자유로움을 얻었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치 농락 되는듯한 삶을 살고는 합니다. 그래서 이는 심미성으로 인해 위계 의식에 얽매이게 됨으로서 일어난 일일 수 있습니다. 이때 격의 문제 또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미 추악한 현실 이지만 그럼에도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중요시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