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테 왕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24번째 줄: 424번째 줄:
[[플라니아 왕국]]과 함께 [[아슈트카이트 연방국가연합|연합]]의 서북부 경계에서 [[라이파이족]], [[쾨르족]], [[프라이멘족]] 등의 침입을 격퇴하는 역할을 맡았다. [[620년]], [[쾨르족]]의 [[발데마르 1세 (쾨르 공국)|발데마르]]로부터 항복을 받아내어 [[아슈트카이트 황제교|황제교]]로 개종시키고 동시에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에 충성을 맹세하게 했으며, [[625년]]에는 [[라이파이족]]의 [[폴크리히 (라이파이 공국)|폴크리히]] 또한 그렇게 했다. [[쾨르 공국]]이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연합]]에 가입한 후 [[발데마르 1세 (쾨르 공국)|쾨르의 발데마르]]와 [[메다르트 1세 (리테 왕국)|메다르트 1세]]는 자식 간 정략결혼을 맺었다. [[658년]], [[메다르트 1세 (리테 왕국)|메다르트 1세]]의 손자인 [[발데마르 3세 (쾨르 공국)|쾨르의 발데마르 3세]]가 [[쾨르의 공작]]에 오르자, 그의 사촌인 [[헤르만 1세 (리테 왕국)|헤르만]]은 [[쾨르의 공작]]의 작위를 요구하며 전쟁을 선포해 [[660년]] [[쾨르 공국]]을 합병한다. 그 후 [[플라니아 왕국]]의 [[페테르 1세 (플라니아 왕국)|페테르]]와 함께 [[프라이멘족]]을 공격해 현 [[프로엘]] 인근을 점령한 뒤 [[조네나우의 공작]]을 칭했다.
[[플라니아 왕국]]과 함께 [[아슈트카이트 연방국가연합|연합]]의 서북부 경계에서 [[라이파이족]], [[쾨르족]], [[프라이멘족]] 등의 침입을 격퇴하는 역할을 맡았다. [[620년]], [[쾨르족]]의 [[발데마르 1세 (쾨르 공국)|발데마르]]로부터 항복을 받아내어 [[아슈트카이트 황제교|황제교]]로 개종시키고 동시에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에 충성을 맹세하게 했으며, [[625년]]에는 [[라이파이족]]의 [[폴크리히 (라이파이 공국)|폴크리히]] 또한 그렇게 했다. [[쾨르 공국]]이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연합]]에 가입한 후 [[발데마르 1세 (쾨르 공국)|쾨르의 발데마르]]와 [[메다르트 1세 (리테 왕국)|메다르트 1세]]는 자식 간 정략결혼을 맺었다. [[658년]], [[메다르트 1세 (리테 왕국)|메다르트 1세]]의 손자인 [[발데마르 3세 (쾨르 공국)|쾨르의 발데마르 3세]]가 [[쾨르의 공작]]에 오르자, 그의 사촌인 [[헤르만 1세 (리테 왕국)|헤르만]]은 [[쾨르의 공작]]의 작위를 요구하며 전쟁을 선포해 [[660년]] [[쾨르 공국]]을 합병한다. 그 후 [[플라니아 왕국]]의 [[페테르 1세 (플라니아 왕국)|페테르]]와 함께 [[프라이멘족]]을 공격해 현 [[프로엘]] 인근을 점령한 뒤 [[조네나우의 공작]]을 칭했다.


[[헤르만 1세 (리테 왕국)|헤르만]]의 [[프라이멘족]] 원정 이후 서부 국경은 안정화되었으나, 지속적으로 왕위주장자 혹은 봉신들에 의해 반란이 발생했다. 반란과 서부에 대한 방비가 약해짐에 따라 [[8세기]] 초 서부 [[나엔족]]의 침공에 [[쾨르 공작령]]과 [[돔벨 후작령]]을 잃었다. [[743년]] [[리테의 왕]]에 오른 [[헤르만 2세 (리테 왕국)|헤르만 2세]]는 [[나엔족]]의 침공을 일시적으로 격파하고 부족 소왕국 시절 전통을 혁파해 내분을 잠재웠다. [[쾨르 공작령]]을 되찾기 위해 궁전을 [[마로부르크]]로 옮기고, [[핀첼 왕국]]과 함께 [[나엔족]]을 공격해 [[쾨르 공작령]]을 되찾았다.
[[헤르만 1세 (리테 왕국)|헤르만]]의 [[프라이멘족]] 원정 이후 서부 국경은 안정화되었으나, 지속적으로 왕위주장자 혹은 봉신들에 의해 반란이 발생했다. 반란과 서부에 대한 방비가 약해짐에 따라 [[8세기]] 초 서부 [[아트렌족]]의 침공에 [[쾨르 공작령]]과 [[돔벨 후작령]]을 잃었다. [[743년]] [[리테의 왕]]에 오른 [[헤르만 2세 (리테 왕국)|헤르만 2세]]는 [[아트렌족]]의 침공을 일시적으로 격파하고 부족 소왕국 시절 전통을 혁파해 내분을 잠재웠다. [[쾨르 공작령]]을 되찾기 위해 궁전을 [[마로부르크]]로 옮기고, [[핀첼 왕국]]과 함께 [[아트렌족]]을 공격해 [[쾨르 공작령]]을 되찾았다.


[[헤르만 2세 (리테 왕국)|헤르만 2세]] 사후 리테 왕국은 다시금 [[아를렌가]] 구성원 간의 지속적인 반란이 발생했다. 그러던 [[808년]], [[플라니아 왕국]]의 [[이제베르트 (플라니아 왕국)|이제베르트]]가 붕어하자, [[이제베르트 (플라니아 왕국)|이제베르트]]의 측근이자 [[엔브라 왕국]]의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는 [[하이드리히 2세 (플라니아 왕국)|하이드리히 2세]]가 서자이고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이유로 그의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최고왕]] 즉위를 반대했다.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와 사촌 관계였던 [[헬무트 (리테 왕국)|헬무트]]는 과거 내전에서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의 도움을 받았기에 이에 동조해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가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최고왕]]으로 즉위한다. 그러나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와 [[구스타프 3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3세]]가 [[프레니아 왕국]], [[포디아 왕국]], [[고첼부르크 왕국]], [[핀첼 왕국]] 등을 공격하는 등 팽창 행보를 보이자, [[플라니아 왕국]]의 [[오토 4세 (플라니아 왕국)|오토 4세]]를 중심으로 반엔브라 세력이 형성되었다. 결국 [[이제브레히트 2세 (엔브라 왕국)|이제브레히트 2세]]가 즉위한 [[833년]], [[오토 4세 (플라니아 왕국)|오토 4세]]는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최고왕]]의 작위를 주장하며 [[루티지-크라델부르크 전쟁]]이 발발한다. [[헬무트 (리테 왕국)|헬무트]]에 이어 [[리테의 왕]]으로 즉위한 [[메다르트 6세 (리테 왕국)|메다르트 6세]]는 [[엔브라 왕국]]의 편에 서 참전했으나, [[엔브라 왕국]]이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푸리스 조약]]에 의해 [[하이트도르프 공작령]]은 [[핀첼 왕국]]에, 나머지는 [[플라니아 왕국]]에 합병되면서 멸망한다.
[[헤르만 2세 (리테 왕국)|헤르만 2세]] 사후 리테 왕국은 다시금 [[아를렌가]] 구성원 간의 지속적인 반란이 발생했다. 그러던 [[808년]], [[플라니아 왕국]]의 [[이제베르트 (플라니아 왕국)|이제베르트]]가 붕어하자, [[이제베르트 (플라니아 왕국)|이제베르트]]의 측근이자 [[엔브라 왕국]]의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는 [[하이드리히 2세 (플라니아 왕국)|하이드리히 2세]]가 서자이고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이유로 그의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최고왕]] 즉위를 반대했다.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와 사촌 관계였던 [[헬무트 (리테 왕국)|헬무트]]는 과거 내전에서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의 도움을 받았기에 이에 동조해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가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최고왕]]으로 즉위한다. 그러나 [[구스타프 2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와 [[구스타프 3세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3세]]가 [[프레니아 왕국]], [[포디아 왕국]], [[고첼부르크 왕국]], [[핀첼 왕국]] 등을 공격하는 등 팽창 행보를 보이자, [[플라니아 왕국]]의 [[오토 4세 (플라니아 왕국)|오토 4세]]를 중심으로 반엔브라 세력이 형성되었다. 결국 [[이제브레히트 2세 (엔브라 왕국)|이제브레히트 2세]]가 즉위한 [[833년]], [[오토 4세 (플라니아 왕국)|오토 4세]]는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최고왕]]의 작위를 주장하며 [[루티지-크라델부르크 전쟁]]이 발발한다. [[헬무트 (리테 왕국)|헬무트]]에 이어 [[리테의 왕]]으로 즉위한 [[메다르트 6세 (리테 왕국)|메다르트 6세]]는 [[엔브라 왕국]]의 편에 서 참전했으나, [[엔브라 왕국]]이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푸리스 조약]]에 의해 [[하이트도르프 공작령]]은 [[핀첼 왕국]]에, 나머지는 [[플라니아 왕국]]에 합병되면서 멸망한다.
453번째 줄: 453번째 줄:
|-
|-
| style=" border: 1px solid #fa3; " | 3
| style=" border: 1px solid #fa3; " | 3
| style=" border: 1px solid #fa3; " | [[쾨르 공작령]], [[8세기]] 초 [[나엔족]] 침공에 상실
| style=" border: 1px solid #fa3; " | [[쾨르 공작령]], [[8세기]] 초 [[아트렌족]] 침공에 상실
|-
|-
| style=" border: 1px solid #fa3; " | 4
| style=" border: 1px solid #fa3; " | 4

2025년 7월 25일 (금) 22:48 판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국가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국가
키르수스 제국 게파르토 제국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베른하이어 베른하이어 공국  ·  에르미니아 에르미니아 합중국  ·  마그니우스 마그니우스 제국  ·  프리슬란드 프리슬란드 자유국  ·  그란치프 그란치프 국민국  ·  코르보날 코르보날 연합국  ·  크래스터프 크레스터프 왕국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연표


-546
1423
고전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1423
1664
근대
현대


보편전기
연표
-546
1483
1664
고전 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근대
현대














보편전기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차량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차량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리테 왕국
Hofigreich Litte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협약국 및 구성국
수도 아렐른 (611년-744년)
마로부르크 (744년-835년)
611년 - 627년 메다르트 1세 (초대)
648년-671년 헤르만 1세
743년-760년 헤르만 2세
819년 - 835년 메다르트 6세 (마지막)
슈트롬강 협약 611년 5월 18일
멸망 835년
인문 환경
공용어 중세 키르수스어
공용 문자 슈베린 문자
종교 아슈트카이트 황제교
정치
정치 체제 봉건제
경제
경제 체제 그룬트헤어샤프트
화폐 공식 화폐 우니온굴덴
외교
현재 국가 키르수스 키르수스

리테 왕국(키르수스어: Hofigreich Litte 호피히라이히 리테)은 611년부터 835년까지 존속한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의 왕국이다. 611년, 교황 프리드리히 1세슈트롬강 협약에 서명한 협약국메다르트를 포함한 네 지도자에게 사성자 호칭을 수여하면서 설립되었다.

협약 초기 리테 왕국은 연합의 첨병으로서 최북단에서 아슈트카이트 황제교를 수호했다. 쾨르 공국라이파이 공국연합의 아래 복종시키는 등 괄목할 전공을 올렸다. 이후 쾨르 공국을 합병하고 조네나우의 공작을 칭하는 등 연합의 서부에서 영향력을 떨쳤으나, 루티지-크라델부르크 전쟁에서 당시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이었던 엔브라 왕국의 편으로 참전했다 패배하며 플라니아 왕국에 합병돼 멸망한다.

1 역사

슈베로니아 제국 멸망 이후 구 슈베로니아 제국 유력자와 게이만족 부족이 뒤섞인 비셴란트의 두 강 사이 구릉지에 아렐른족이 정착했다. 아렐른족의 두번째 지도자인 메다르트무리나 주변 아미시아강까지 영토를 넓히고 스스로를 라우이스의 공작이라 칭하였다. 607년, 메다르트플라니아를 정복하기 위해 남진했으나 데미눔 전투에서 플라니아의 오토에게 패하며 포로로 잡혔다. 포로 생활 중 오토와 친분을 쌓고 그로부터 황제교를 전파받는다. 이후 플라니아 공국과 동맹을 맺은 대가로 풀려난 메다르트아렐른으로 돌아가 반대파를 제거하고 황제교로 개종한다. 611년, 메다르트오토로부터 호출을 받아 하시우스까지 원정헤 동행했다. 폐허가 된 하시우스 너머의 강가에서 일곱 지도자들은 황제교의 수호자의 될 것과 그를 위해 연합을 구성할 것을 서약했다. 이 소식에 교황 프리드리히 1세메다르트에게 사성자의 호칭을 수여하자 메다르트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Liudiz에서 따와 리테 왕국을 선포한다.

플라니아 왕국과 함께 연합의 서북부 경계에서 라이파이족, 쾨르족, 프라이멘족 등의 침입을 격퇴하는 역할을 맡았다. 620년, 쾨르족발데마르로부터 항복을 받아내어 황제교로 개종시키고 동시에 아슈트카이트 최고왕에 충성을 맹세하게 했으며, 625년에는 라이파이족폴크리히 또한 그렇게 했다. 쾨르 공국연합에 가입한 후 쾨르의 발데마르메다르트 1세는 자식 간 정략결혼을 맺었다. 658년, 메다르트 1세의 손자인 쾨르의 발데마르 3세쾨르의 공작에 오르자, 그의 사촌인 헤르만쾨르의 공작의 작위를 요구하며 전쟁을 선포해 660년 쾨르 공국을 합병한다. 그 후 플라니아 왕국페테르와 함께 프라이멘족을 공격해 현 프로엘 인근을 점령한 뒤 조네나우의 공작을 칭했다.

헤르만프라이멘족 원정 이후 서부 국경은 안정화되었으나, 지속적으로 왕위주장자 혹은 봉신들에 의해 반란이 발생했다. 반란과 서부에 대한 방비가 약해짐에 따라 8세기 초 서부 아트렌족의 침공에 쾨르 공작령돔벨 후작령을 잃었다. 743년 리테의 왕에 오른 헤르만 2세아트렌족의 침공을 일시적으로 격파하고 부족 소왕국 시절 전통을 혁파해 내분을 잠재웠다. 쾨르 공작령을 되찾기 위해 궁전을 마로부르크로 옮기고, 핀첼 왕국과 함께 아트렌족을 공격해 쾨르 공작령을 되찾았다.

헤르만 2세 사후 리테 왕국은 다시금 아를렌가 구성원 간의 지속적인 반란이 발생했다. 그러던 808년, 플라니아 왕국이제베르트가 붕어하자, 이제베르트의 측근이자 엔브라 왕국구스타프 2세하이드리히 2세가 서자이고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이유로 그의 최고왕 즉위를 반대했다. 구스타프 2세와 사촌 관계였던 헬무트는 과거 내전에서 구스타프 2세의 도움을 받았기에 이에 동조해 구스타프 2세최고왕으로 즉위한다. 그러나 구스타프 2세구스타프 3세프레니아 왕국, 포디아 왕국, 고첼부르크 왕국, 핀첼 왕국 등을 공격하는 등 팽창 행보를 보이자, 플라니아 왕국오토 4세를 중심으로 반엔브라 세력이 형성되었다. 결국 이제브레히트 2세가 즉위한 833년, 오토 4세최고왕의 작위를 주장하며 루티지-크라델부르크 전쟁이 발발한다. 헬무트에 이어 리테의 왕으로 즉위한 메다르트 6세엔브라 왕국의 편에 서 참전했으나, 엔브라 왕국이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푸리스 조약에 의해 하이트도르프 공작령핀첼 왕국에, 나머지는 플라니아 왕국에 합병되면서 멸망한다.

2 군주
3 영토
1 라우이스 공작령
2 쾨르 공작령
3 쾨르 공작령, 8세기아트렌족 침공에 상실
4 조네나우 공작령
5 쾨르 공작령, 헤르만 2세의 원정으로 점령
6 쾨르 공작령, 푸리스 조약에 의해 하이트도르프 공작령으로 분리돼 핀첼 왕국에 합병
4 같이 보기
파일:Icon of Aschtkeit.png 아슈트카이트의 영방국가 파일:Icon of Aschtkeit.png
쿠스톨프조 시대 플라니아 왕국  · 알덴부르크 왕국  · 아스크라리아 왕국  · 엔브라 왕국  · 포디아 공국  · 포디아 왕국  · 프레니아 왕국  · 고첼부르크 왕국  · 쿠르마르크 왕국  · 라우지츠부르크 왕국  · 라이흐란트제발테 왕국  · 리테 왕국  · 마인 왕국  · 오타카레 왕국  · 핀첼 왕국  · 바인란트 왕국  · 안지아 공국  · 엘스터 공국  · 포디아 공국  · 프레니아 공국  · 쾨르 공국  · 쿠르마르크 공국  · 쿠스트 공국  · 라우지츠부르크 공국  · 라이파이 공국  · 마인 공국  · 오타카레 공국  · 라덴도르프 공국  · 잘렌 공국
플라니아 최고왕 시대 플라니아 왕국  · 엔브라 왕국  · 알레마니아 왕국  · 안지아 왕국  · 아스크라리아 왕국  · 포디아 왕국  · 프레니아 왕국  · 고첼부르크 왕국  · 라우지츠부르크 왕국  · 라이흐란트제발테 왕국  · 라이흐란트플로렌 왕국  · 리테 왕국  · 마인 왕국  · 마르한트 왕국  · 오타카레 왕국  · 핀첼 왕국  · 지틀란트 왕국  · 바인란트 왕국
삼왕국 최고왕 시대 알레마니아 왕국  · 핀첼 왕국  · 지틀란트 왕국  · 아미시아란트 왕국  · 안지아 왕국  · 아스크라리아 왕국  · 엔브라 왕국  · 플라니아 왕국  · 프레니아 왕국  · 고첼부르크 왕국  · 라우치즈부르크 왕국  · 라이흐란트플로렌 왕국  · 마르한트 왕국  · 오타카레 왕국  · 지틀란트 왕국  · 바인란트 왕국
분고 시대 알레마니아 왕국  · 프레니아 왕국  · 오타카레 왕국  · 핀첼 왕국  · 아미시아란트 왕국  · 아스크라리아 왕국  · 엔브라 왕국  · 플라니아 왕국  · 라우지츠부르크 왕국  · 라이흐란트모이네 왕국  · 지틀란트 왕국
굴욕 시대 플라니아 왕국  · 알레마니아 왕국  · 아미시아란트 왕국  · 안지아 왕국  · 아스크라리아 왕국  · 엔브라 왕국  · 프레니아 왕국  · 라그렌센트-아미시아란트 동군연합  · 라우지츠부르크 왕국  · 오타카레 왕국  · 핀첼 왕국  · 라인스트-알레마니아-아스크라리아 동군연합  · 라인스트-아스크라리아 동군연합  · 지틀란트 왕국  · 페스트부르크 공국
부흥 시대 플라니아 왕국  · 알레마니아 왕국  · 아미시아란트 왕국  · 안지아 왕국  · 아스크라리아 왕국  · 드라이히 왕국  · 엔브라 왕국  · 프레니아 왕국  · 호피히스부르크 왕국  · 퀴스테 왕국  · 라그렌센트-아미시아란트 동군연합  · 라우지츠부르크 왕국  · 오타카레 왕국  · 핀첼 왕국  · 제발테 왕국  · 지틀란트 왕국  · 페스트부르크 공국
무황 시대 알레마니아 왕국  · 아미시아란트 왕국  · 안지아 왕국  · 아스크라리아 왕국  · 드라이히 왕국  · 엔브라 왕국  · 프레니아 왕국  · 라우지츠부르크 왕국  · 오타카레 왕국  · 지틀란트 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