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영남고속선|#fff|영남선}}</br>[[파일:ESTOM New logo2.png|100px|링크=ESTOM]]</br>{{글씨 크기|9|(태원 경유)}}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영남고속선|#fff|영남선}}</br>[[파일:ESTOM New logo2.png|100px|링크=ESTOM]]</br>{{글씨 크기|9|(태원 경유)}} | ||
| style="width: 33%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동북전역|동북전]]</br>127.2km → | | style="width: 33%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동북전역|동북전]]</br>127.2km → | ||
|- | |||
| style="width: 33% | <small>[[신서역|신서]] 방면</small></br>[[오성역|오 성]]</br>← 35.1km | |||
| style="background: #AF1634;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영남고속선|#fff|영남선}}</br>[[파일:LUNEX logo2.png|100px|링크=LUNEX]] | |||
| style="width: 33%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강천한산역|강천한산]]</br>73.8km → | |||
|- | |- | ||
|} | |} | ||
97번째 줄: | 101번째 줄: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 [[파일:ESTOM New logo2.png|80px|링크=ESTOM]]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 [[파일:ESTOM New logo2.png|80px|링크=ESTOM]] | ||
| colspan="3"|[[2024년]] [[3월 17일]] | | colspan="3"|[[2024년]] [[3월 17일]] | ||
|- | |||
|style="background: #AF1634; color: #FFF | [[파일:LUNEX logo2.png|80px|링크=LUNEX]] | |||
| colspan="3"|[[2025년]] [[7월 26일]] | |||
|- | |- | ||
|style="background: #5288f5; color: #FFF | {{cl|새마을호 (대현월국)|#fff|새마을호}} | |style="background: #5288f5; color: #FFF | {{cl|새마을호 (대현월국)|#fff|새마을호}} | ||
133번째 줄: | 140번째 줄: | ||
[[2022년]] [[11월 12일]] [[영남선]]의 개통과 동시에 관리역으로 개업하였다. 개업 당시엔 '''진덕역'''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2023년]] [[8월 11일]]엔 평천역으로, 이후 [[2024년]] [[5월 16일]]부터 현재의 역명인 덕전역이란 역명을 사용하고 있다. | [[2022년]] [[11월 12일]] [[영남선]]의 개통과 동시에 관리역으로 개업하였다. 개업 당시엔 '''진덕역'''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2023년]] [[8월 11일]]엔 평천역으로, 이후 [[2024년]] [[5월 16일]]부터 현재의 역명인 덕전역이란 역명을 사용하고 있다. | ||
[[영남선]]의 주요 철도역 중 하나인 만큼 [[영남선]], [[영남고속선]], [[화북선]], [[덕전선]]을 경유하는 '''모든''' [[ESTOM]]과 [[새마을호 (대현월국)|새마을호]],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영남선]]의 주요 철도역 중 하나인 만큼 [[영남선]], [[영남고속선]], [[화북선]], [[덕전선]]을 경유하는 '''모든''' [[ESTOM]]과 [[LUNEX]], [[새마을호 (대현월국)|새마을호]],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
원래는 화물취급도 담당했지만 [[2024년]] [[3월 17일]] [[ESTOM]]의 개통을 대비해 [[2024년]] [[1월 1일]]부로 덕전조차장역으로 화물업무를 옮겼다. | 원래는 화물취급도 담당했지만 [[2024년]] [[3월 17일]] [[ESTOM]]의 개통을 대비해 [[2024년]] [[1월 1일]]부로 덕전조차장역으로 화물업무를 옮겼다. | ||
191번째 줄: | 198번째 줄: | ||
| style="width: 45%| [[서덕전역|서덕전]]·[[임산역|임산]]·[[금성역|금성]] 방면 | | style="width: 45%| [[서덕전역|서덕전]]·[[임산역|임산]]·[[금성역|금성]] 방면 | ||
|- | |- | ||
|style="background: #BBB; color: #fff; style="width: 5% | 3·4 | |rowspan="2" style="background: #BBB; color: #fff; style="width: 5% | 3·4 | ||
|[[영남고속선]]</br>[[신동해선]] | |[[영남고속선]]</br>[[신동해선]]</br>[[덕진선]]</br>[[신경서선]] | ||
|[[파일:ESTOM New logo.png|100px|링크=ESTOM]] | |[[파일:ESTOM New logo.png|100px|링크=ESTOM]] | ||
|[[월평영산역|월평영산]]·[[한월역|한월]]·[[하신역|하신]] 방면 | |[[월평영산역|월평영산]]·[[한월역|한월]]·[[하신역|하신]] 방면 | ||
|- | |||
|[[영남고속선]] | |||
|[[파일:LUNEX logo.png|100px|링크=LUNEX]] | |||
|[[월평영산역|월평영산]]·[[서탄역|서탄]]·[[신서역|신서]] 방면 | |||
|- | |- | ||
| style="background: #BBB; color: #fff; style="width: 5% | 5·6 | | style="background: #BBB; color: #fff; style="width: 5% | 5·6 | ||
216번째 줄: | 227번째 줄: | ||
|rowspan="2" style="background: #BBB; color: #fff; style="width: 5% | 11·12 | |rowspan="2" style="background: #BBB; color: #fff; style="width: 5% | 11·12 | ||
|[[영남고속선]] | |[[영남고속선]] | ||
|rowspan="2"|[[파일:ESTOM New logo.png|100px|링크=ESTOM]] | |rowspan="2"|[[파일:ESTOM New logo.png|100px|링크=ESTOM]]</br>[[파일:LUNEX logo.png|100px|링크=LUNEX]] | ||
|[[동북전역|동북전]]·[[서권천역|서권천]]·[[창산역|창산]] 방면 | |[[동북전역|동북전]]·[[서권천역|서권천]]·[[창산역|창산]] 방면 | ||
|- | |- | ||
232번째 줄: | 243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style="width: 10%| 연도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style="width: 10%| 연도 |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width=15%| [[파일:ESTOM New logo2.png|400px|링크=ESTOM]]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width=15%| [[파일:ESTOM New logo2.png|400px|링크=ESTOM]] | ||
! style="background: #AF1634; color: #fff" |[[파일:LUNEX logo2.png|100px|링크=LUNEX]] | |||
! style="background: #5288f5; color: #fff style="width: 15%| {{cl|새마을호 (대현월국)|#fff|새마을호}} | ! style="background: #5288f5; color: #fff style="width: 15%| {{cl|새마을호 (대현월국)|#fff|새마을호}}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colorlink|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colorlink|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241번째 줄: | 253번째 줄: | ||
|2022년 | |2022년 | ||
|rowspan="2" style="width: 15%|미개통 | |rowspan="2" style="width: 15%|미개통 | ||
|rowspan="3" |미개통 | |||
|14,309명 | |14,309명 | ||
|4,614명 | |4,614명 |
2025년 7월 29일 (화) 08:33 판
덕전역 Deokjeon Station | 德田驛 | |||
---|---|---|---|
고속열차 노선 보기 | |||
일반열차 노선 보기 | |||
주소 | |||
덕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15 (장동) | |||
역 코드 | |||
현월철도공사 | 049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 / 1급 (현월철도공사 덕전화남본부) | |||
운영기관 | |||
영남선 | 현월철도공사 | ||
덕전선 | |||
영남고속선 | |||
개업일 | |||
영남선 | 2022년 11월 12일 | ||
덕전선 | 2022년 11월 18일 | ||
영남고속선 | 2024년 3월 17일 | ||
![]() |
2024년 3월 17일 | ||
![]() |
2025년 7월 26일 | ||
새마을호 | 2022년 11월 12일 | ||
무궁화호 | 2022년 11월 12일 | ||
역사 구조 | |||
지상 4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6면 15선 복합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한월 방면 덕전조차장 ← 4.7km |
영남선 덕 전 |
창산 방면 새 천 7.3km → | |
상흥 방면 오 성 ← 35.1km |
영남고속선 덕 전 |
창산 방면 강천한산 73.8km → | |
기점 | 덕전선 덕 전 |
서덕전 방면 서덕전 5.7km → |
개요
영남선과 영남고속선, 덕전선, 화북선[1]의 철도역. 덕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15 (장동) 소재.
역 정보
2022년 11월 12일 영남선의 개통과 동시에 관리역으로 개업하였다. 개업 당시엔 진덕역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2023년 8월 11일엔 평천역으로, 이후 2024년 5월 16일부터 현재의 역명인 덕전역이란 역명을 사용하고 있다.
영남선의 주요 철도역 중 하나인 만큼 영남선, 영남고속선, 화북선, 덕전선을 경유하는 모든 ESTOM과 LUNEX,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원래는 화물취급도 담당했지만 2024년 3월 17일 ESTOM의 개통을 대비해 2024년 1월 1일부로 덕전조차장역으로 화물업무를 옮겼다.
승강장
서덕전 ↑ | 오성 ↑ | 덕전조차장 ↑ | ↓ 덕전조차장 | ↓ 오성 | ||||||||||||||||||||||
ㅣ | 1 | 2 | ㅣ | ㅣ | ㅣ | 3 | 4 | ㅣ | ㅣ | 5 | 6 | ㅣ | ㅣ | ㅣ | 7 | 8 | ㅣ | ㅣ | 9 | 10 | ㅣ | ㅣ | ㅣ | 11 | 12 | ㅣ |
시종착역 | 강천한산 ↑ | 새천 ↑ | ↓ 새천 | ↓ 강천한산 |
1 | 덕전선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
2 | 무궁화호 | 서덕전·임산·금성 방면 | |
3·4 | 영남고속선 신동해선 덕진선 신경서선 |
![]() |
월평영산·한월·하신 방면 |
영남고속선 | ![]() |
월평영산·서탄·신서 방면 | |
5·6 | 영남선 | 새마을호 무궁화호 |
월평·태원·한월 방면 |
7·8 | 화북선 | 무궁화호 | 화주·재천·명주 방면 |
9·10 | 영남선 | 새마을호 무궁화호 |
동북전·창산·청운대 방면 |
경서선 | 동북전·무산·진월 방면 | ||
11·12 | 영남고속선 | ![]() ![]() |
동북전·서권천·창산 방면 |
신동해선 | 동북전·신동항 방면 |
역 주변 정보
광장
철도기관 공동사옥
일평균 이용객
연도 | ![]() |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비둘기호 | 총합 | 비고 |
---|---|---|---|---|---|---|---|---|
2022년 | 미개통 | 미개통 | 14,309명 | 4,614명 | 7,017명 | 7,614명 | 33,554명 | |
2023년 | 17,607명 | 4,309명 | 7,176명 | 7,831명 | 36,923명 | |||
2024년 | 26,203명 | 2,928명 | 15,554명 | [2] | 44,685명 |
연계 교통
기타
둘러보기
영남고속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
영남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
덕전선의 철도역 | |||
[펼치기 ·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