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Ripper11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236번째 줄: | 236번째 줄: |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2 제병집단사령부 상징 1 (CLBI).svg|16px|link=]] 본부 및 본부기능단, 제2 제병집단사령부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2 제병집단사령부 상징 1 (CLBI).svg|16px|link=]] 본부 및 본부기능단, 제2 제병집단사령부 |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3 국립군단 상징 1 (CLBI).svg|16px|link=]] 제3 국립군단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3 국립군단 상징 1 (CLBI).svg|16px|link=]] 제3 국립군단 |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본부 및 본부기능단, 제3 국립군단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3 국립군단 상징 1 (CLBI).svg|16px|link=]] 본부 및 본부기능단, 제3 국립군단 | ||
</div><div class="tree-node">제8 국립기갑사단 | </div><div class="tree-node">제8 국립기갑사단 | ||
</div><div class="tree-node">제9 국립기갑사단 | </div><div class="tree-node">제9 국립기갑사단 | ||
252번째 줄: | 252번째 줄: | ||
</div><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선두작전지원대대 "볼크" 상징 1 (CLBI).svg|16px|link=]] 선두작전지원대대 "볼크" | </div><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선두작전지원대대 "볼크" 상징 1 (CLBI).svg|16px|link=]] 선두작전지원대대 "볼크" | ||
</div><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1933 공병중대 상징 1 (CLBI).svg|16px|link=]] 1933 공병중대 | </div><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1933 공병중대 상징 1 (CLBI).svg|16px|link=]] 1933 공병중대 | ||
</div></div></div></div></div><div class="tree-node">제5 증원군단<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제29 보병사단 "킬 체이니"</div><div class="tree-node">제30 보병사단 "림니그"</div><div class="tree-node">제31 보병사단 "이브 알리"</div><div class="tree-node">제32 보병사단 "에르 마나크"</div><div class="tree-node">제33 보병사단 "로스 코만"</div></div></div> | </div></div></div></div></div><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5 증원군단 상징 1 (CLBI).svg|16px|link=]] 제5 증원군단<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제29 보병사단 "킬 체이니"</div><div class="tree-node">제30 보병사단 "림니그"</div><div class="tree-node">제31 보병사단 "이브 알리"</div><div class="tree-node">제32 보병사단 "에르 마나크"</div><div class="tree-node">제33 보병사단 "로스 코만"</div></div></div> | ||
</div> | </div> | ||
</div> | </div> | ||
270번째 줄: | 270번째 줄: |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제2 야전군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제2 야전군 |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제3 제병집단사령부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제3 제병집단사령부 |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제6 군단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6 군단 상징 1 (CLBI).svg|16px|link=]] 제6 군단 |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2 국립기갑사단 상징 1 (CLBI).svg|16px|link=]] 제2 국립기갑사단</div><div class="tree-node">제11 기계화사단 | <div class="tree-container"><div class="tree-node">[[파일:에이레 켈틱 연방군 제2 국립기갑사단 상징 1 (CLBI).svg|16px|link=]] 제2 국립기갑사단</div><div class="tree-node">제11 기계화사단 | ||
</div><div class="tree-node">제12 보병사단 | </div><div class="tree-node">제12 보병사단 |
2025년 7월 30일 (수) 03:25 판
[ 펼치기 · 접기 ]
|
---|
프로젝트 디스코드 • ![]() |
Tooltip text

|
개요
Leis an talamh seo, atá á chosaint ag eagna ár sinsear agus fuil ár sinsir, geallaimid mar Óglaigh na hÉireann. Is sinne an chéad líne cosanta ar son na cosanta náisiúnta agus leas na tíre. Cuimhnímid ar náire na staire. Táimid dílis agus tiomanta do threoracha agus do chinntí na mbuanrialtóirí stáit agus an rialtais. Dearbhaímid go seasfaimid i gcónaí, réidh chun dul i ngleic i gcomhrac uasal ar son saoirse buan agus ceannasacht ár muintire, agus is é seo an onóir is mó atá againn. 선조들의 지혜와 선배들의 피로 지켜진 이 땅에서 국립군은 선서한다. 우리는 국방과 국익의 최선봉이다. 우리는 역사의 치욕을 기억한다. 우리는 국가결정기구와 정권의 지시에 순종적이고 명령 이행에 총력을 다 한다. 우리는 민족의 항구적 자유와 주권의 보전을 위해 언제든 숭고한 전투에 투입될 수 있음을 견지하고 이것이 우리의 가장 영광스러운 명예임을 상기한다. |
- 국립군의 선서 |
에이레 켈틱 연방군(아일랜드어: Arm na Cónaidhme Ceiltí Éireann)은 에이레 켈틱 연방의 국군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군대이자, 세계 최초로 고정밀 디지털 통신을 기반으로한 정찰 위성을 운용하며, 궤도 폭격을 실행할 수 있는 유일한 집단이다. 독일로부터 핵 무기를 전수받아 이후에는 자체 연구소에서 역설계를 성공하며 고도 핵 무장을 갖추었다.
러시아의 '근위' 같은 명예성 칭호로 '국립'이 있다. 사단 단위는 제1 야전군에 배속된 열 개의 사단 이외에는 더 이상 수여되지 않으며 아메리카 연합국과 미정합국를 비롯한 국가에서 수여하는 '레인저', '코만도' 같은 성질로 연대 이하 규모의 정예부대에 관례적으로 지상군에 편제된 부대에게만 수여된다.
국립이라는 칭호는 1940년 아일랜드국 건국 이후 아일랜드 공화국군을 국군으로 편입하면서 이들은 국립군이라고 부르는 전통에서 유례되었다.
연방군은 건국 이래로 꾸준히 높은 수준의 군비 증강을 시행해왔다. 에이레 켈틱 연방군의 핵심 기조는 '가장 크고, 많으며, 고도로 무장되어 있는 최소 500만 명의 상비군으로 이뤄진 전쟁수행군을 전 세계 어디로든 신속히 투입해 국익에 유리한 상황을 창조'함에 있다.
수뇌부
전쟁부장/전쟁대원수 | 전쟁부부장/제1 전쟁원수 | 전쟁평의회장/제2 전쟁원수 | |||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
(내용) | (내용) | (내용) | |||
지상군사령관 | 해군사령관 | 공군사령관 | 전략군사령관 | 특수병과군사령관 | 전자전군사령관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이미지 없음 |
(내용) | (내용) | (내용) | (내용) | (내용) | (내용) |
역사
1978년,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각 국 군 완전 통합
1981년, 각 국 군 정보기관 및 군법집행기구 완전 통합으로 오이픽이네랄터 창설
2003년, 대대적인 특수부대 편제 개편과 인사 이동 진행, 특수병과군 창설
2013년, 장거리 및 대량살상무기 운용 부대를 확장 개편하여 전략군 창설
2015년, 자체 수소폭탄 양산화 성공
2022년, 정찰 위성 최초 발사
2025년, 궤도정찰사령부 창설
2028년, 전자전군 창설
2034년, 콩고 침공 개시
관계 및 대적관
러시아 공화국 연방 ◉
>< 북극과 남극 전체에 대한 영유권 주장티콤 ◉
> 태평양 전역에서의 어업 독점 주장
< 주장 철회 요구
중화협정연합 ◉
> 홍콩 및 남중국해, 필리핀해 영유권 주장
< 동아시아 해군 및 싱가포르 주둔군 철회 요구아세안 ◉
> 남중국해, 필리핀해 영유권 주장
< 동아시아 해군 및 싱가포르 주둔군 철회 요구
아메리카 연합국 ◎
>< 북대서양 분쟁프랑스국 제7 헌정 ◎
>< 해협 분쟁대일본제국 ◎
> 태평양 및 남양 군도 영유권 주장
< 태평양 해군 철군 요구서아프리카 연방 ◎
> 서아프리카 연안 및 콩고 핵심 지역 영유권 주장
< 콩고 침공 종식 및 해안으로부터 200해리 해상 영유권 보장 요구
편제
- 최고전쟁평의회[1]
에이레 지상군
지상군사령부에이레 해군
- 해군사령부
- 제1 해병사령부
- 대서양해군사령부
- 제1 함대
- 제2 함대
- 대륙해군사령부
- 제3 함대
- 지중해해군부사령부
- 제5 함대
- 인도양해군부사령부
- 제4 함대
- 태평양해군사령부
- 제6 함대
- 제7 독립극동함대
- 원정함대공군집단
- 싱가포르해역경비사령부
- 제52 독립해양작전집단
- 제2 해병사령부
- 홍콩해역경비사령부
- 제727 독립해양작전집단
- 제3 해병사령부
- 제4 해병사령부
- 북극해해군사령부
- 제11 함대
- 남극해해군사령부
- 제12 함대
에이레 공군
항공전략자산사령부
에이레 전략군
에이레 특수병과군
- 특수병과사령부
- 육상특수임무연합부대
- 제7 산악연대
- 제135 산악연대
- 해상특수임무연합부대
특수주정작전단
- 항공특수임무연합부대
제3 공수작전사령부
- 제1 공정연대
- 제2 공정연대
- 제3 공정연대
- 제4 공정연대
- 제5 군수지원연대
야전과학전사령부
- 제1 화학전사령부
- 제2 화학전사령부
- 제3 화학전사령부
- 제5 화학전사령부
제6 화학전사령부
- 전투공학부대
제220 전투공학여단
제320 전투공학여단
- 육상특수임무연합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