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98번째 줄: | 98번째 줄: | ||
|- | |-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f5f5f5" align=middle | '''성급행정구'''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f5f5f5" align=middle | '''성급행정구'''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직할시,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직할시, 15성, 1자치구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f5f5f5" align=middle | '''지급행정구'''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f5f5f5" align=middle | '''지급행정구'''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201개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f5f5f5" align=middle | '''현급행정구'''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95; color: #f5f5f5" align=middle | '''현급행정구''' |
2025년 8월 2일 (토) 13:33 판
중화민국[1] 中華民國[2] Republic of China | |||||||||||||||||||||||||||||
![]() | |||||||||||||||||||||||||||||
국기 | 국장 | ||||||||||||||||||||||||||||
民族,民權,民生 민족, 민권, 민생 | |||||||||||||||||||||||||||||
상징 | |||||||||||||||||||||||||||||
국가 | 《振興中華》(진흥중화) | ||||||||||||||||||||||||||||
국조 | 학 (두루미, 鶴)[3] | ||||||||||||||||||||||||||||
역사 | |||||||||||||||||||||||||||||
신해혁명 1911년 10월 10일 • 쑨원의 임시정부 수립 1912년 1월 1일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 사실 실생활에서 이렇게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약칭인 "남중국"이라는 이름이 더 많이 쓰인다.
- ↑ 간체자와 번체자 모두 똑같이 쓴다.
- ↑ 1912년, 임시정부 수립 당시에 국조를 정하기 위해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여기서 크게 세가지 후보가 올랐다. 학, 백로, 봉황(...)이 그 세 후보였는데 봉황은 비현실적이라면서 탈락당하고, 사실상 학으로 정하자는 파와 백로로 정하자는 파가 경쟁했다. 학으로 정하자는 파는 학은 중국 회화나 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길조(吉鳥)로써 그 의미가 크다고 주장했고, 백로로 정하자는 파는 민족의 뿌리와 민본주의적 정권을 강조하며 밀어붙였다. 결국 투표 결과는 76 : 75로 학이 국조로 당첨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