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노르웨이 왕국}} | {{노르웨이 왕국}} | ||
---- |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 55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6px; border: 0px" | |||
! colspan="5" style="background: #00205b; color: #fff;" | [[파일:노르웨이 국장.svg|15px|링크=노르웨이 총리]] [[노르웨이 왕국|{{글씨 색|#fff|노르웨이}}]]의 여당 | |||
|- | |||
| colspan="3" style="font-size: 9pt; background: #004EA2;" | <div style="margin: -5px -10px;">[[박춘식 내각|{{글씨 색|#FFF|박춘식 내각}}]] | |||
| rowspan="2" style="width: 5%;" | → | |||
| style="font-size: 9pt; background: #003E98;" | <div style="margin: -5px -10px;">[[제3차 이승배 내각|{{글씨 색|#FFF|제3차 이승배 내각}}]] | |||
|- | |||
| width="30%" style="height: 55px; line-height: 145%;" | <div style="margin:0px -10px">[[정치개혁연합|{{글씨 색|#004EA2|정치개혁연합}}]]<br>{{글씨 크기|9|(2020.5.22. ~ 5.25.)}}</div> | |||
| width=5% | → | |||
| width="30%" style="line-height: 145%;" | '''[[기본소득당|{{글씨 색|#FE8871|기본소득당}}]]<br>{{글씨 색|#FE8871|{{글씨 크기|9|(2020.5.25. ~ 6.10.)}}}}''' | |||
| width="30%" style="line-height: 145%;" | [[열린민주당 (노르웨이)|{{글씨 색|#003E98|열린민주당}}]]<br>{{글씨 크기|9|(2020.6.10. ~ 6.21.)}} | |||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ont-size:1.05em; max-width:550px; 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ont-size:1.05em; max-width:550px; text-align:center" | ||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D, #FFFFF0); width:550px; color:#fff" | {{글씨 색|#fff|노르웨이의 진보·단일쟁점정당}} | ! colspan="5"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D, #FFFFF0); width:550px; color:#fff" | {{글씨 색|#fff|노르웨이의 진보·단일쟁점정당}} |
2025년 8월 2일 (토) 18:25 기준 최신판
| ||||
[ 주요 문서 ]
[ 국가 소개 ]
당신의 달 같은 국가, 노르웨이
밴드 가상국가 지성의 총집인 노르웨이, 그 중심엔 국민이, 여러분이 - 모든면에서 다른 국가를 압도하는 파워가 다릅니다. Since. 2020 |
이 문서는 가상국가 노르웨이 왕국의 공식문서입니다.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 자제 부탁드립니다. |
→ | ||||
→ | 기본소득당 (2020.5.25. ~ 6.10.) |
열린민주당 (2020.6.10. ~ 6.21.) |
노르웨이의 진보·단일쟁점정당 | ||||
---|---|---|---|---|
정치개혁연합 (당명 변경) |
→ | 기본소득당
|
→ | 해산 |
Per grunninntekt | |
---|---|
한글명칭 | 기본소득당 |
슬로건 | 모든 것을 모두에게 |
창당일 | 2020년 4월 26일 |
당명 변경 | 2020년 5월 25일 (기본소득당) |
해산일 | 2020년 6월 10일 |
이념 | 기본소득 진보 빅텐트 |
스펙트럼 | 단일쟁점정당 (중도좌파) |
대표 | 김명박, 백제 |
원내최고위원장 | 로시 조반니 |
당원 수 | 10명 |
의석수
|
56석 / 285석 (2대 의회, 해산 직전) |
당색 | 선홍색 (#FE8871) |
링크 | ![]() |
2020.6.10. 기준 |
개요
노르웨이의 기본소득 단일쟁점 중심 진보정당. 기존 정치개혁연합의 지도부 중 한명인 이현지가 대영계 정당으로 이탈하면서 김명박과 김사부, 마크롱를 중심으로 민족진영을 재편하였다.
역사
노르웨이의 정당(2020년 ~ 2022년) |
---|
[ 펼치기 · 접기 ]
|
2020년 5월 25일 총선 패배에 대한 쇄신 차원에서 정치개혁연합이 기본소득당으로 당명을 변경한다. 기존 정치개혁연합의 정치적 스펙트럼인 범진보 빅텐트에서 기본소득을 위한 진보 단일쟁점정당으로 정치적 스펙트럼을 좁혔다.
당시 로시 조반니[1]는 오슬로시장 선거에서 서지애와 맞붙게 되었는데, 열린민주당은 로시 조반니의 3.15 군사반란에 대한 개입 의혹과 함께 김사부 전 검찰총장이 이승배의 권력남용에 대한 혐의 체포영장 발부와 관련하여 '무법검찰'이라는 타이틀로 공세에 나섰고,
김명박은 2020년 6월 10일 예정된 지방선거 선거일 전 당의 해체를 공식적으로 알리면서 기존 후보들은 모두 후보직 사퇴 수순을 밟았으며
그 결과, 2020년 6월 13일 열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민주당에 참패하며 정치개혁연합시절 열린민주당에 패한 경험을 극복하지 못하고 중앙정계 뿐 아니라 지방자치에도 주도권을 내주며 당 중앙인사들이 거의 정계 퇴출 수준의 타격을 입게되었다.
이로써 국민의당 - 정치개혁연합의 계보를 이은 노르웨이 민족 세력 중심 정당인 기본소득당은 최종적으로 열린민주당의 대영계에 완전히 정국주도권을 내어주며 정당사속으로 사라졌다.
역대 지도부
![]() |
---|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노르웨이의 여당 |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 ↑ 김재오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