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div style="margin-top:4px;"><div style="color:#c9a440;background:rgba(0,0,0,0.3);border-top:1px solid rgba(201,164,64,0.2);line-height:200%;width:calc(100% + 6px);margin:0px -3px -1px;padding:20px 50px 0px;text-align:center;font-family:GmarketSansMedium;">{{개행 금지 시작}}<div style="opacity:0.85;letter-spacing:1px;font-size:90%;display:inline-block;vertical-align:middle;width:49%;min-width:350px;"> | <div style="margin-top:4px;"><div style="color:#c9a440;background:rgba(0,0,0,0.3);border-top:1px solid rgba(201,164,64,0.2);line-height:200%;width:calc(100% + 6px);margin:0px -3px -1px;padding:20px 50px 0px;text-align:center;font-family:GmarketSansMedium;">{{개행 금지 시작}}<div style="opacity:0.85;letter-spacing:1px;font-size:90%;display:inline-block;vertical-align:middle;width:49%;min-width:350px;"> | ||
후안무치한 간신들에{{V|5}} | 후안무치한 간신들에{{V|5}} | ||
오얏꽃은 즈려밟히고{{V|5}} | |||
허무맹랑한 소문들에{{V|5}} | 허무맹랑한 소문들에{{V|5}} | ||
종묘사직 흔들리는가{{V|35}} | 종묘사직 흔들리는가{{V|35}} |
2025년 8월 3일 (일) 03:45 판

1. 개요
《구국지요》 또는 《구국요》는 계묘정난 시기에 작곡되어 구국회(救國會)에서 사용했던 군가로 말그대로 구국의 마음을 담은 노래라는 뜻이다. 혼란의 시기에 쓰여 경희지절 체제로의 복귀와 국가안정의 염원이 담겨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