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한지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도화 조선 스킨}}
{{도화 조선 스킨}}
{{도화 머릿말}}
{{조선 관련 문서}}
{{조선의 연호/건헌}}
{{세한요}}
{{css|JObattle}}{{css|JOtax}}<div style="margin:0px auto 0px;max-width:100%;min-width:320px;width:100%;border-radius:10px;overflow:hidden;box-shadow:0px 0px 3px rgba(0,0,0,0.5);border:2px solid #3b000a;"><div style="background:none; border:none;">
<div class="JOB-BM2" style="position:relative;overflow:hidden;width:700px;height:700px;transform: translate(0%, -20%);margin:0px 0px -700px auto;user-select:none;opacity:0.3;"><div style="opacity:0.25;transform: translate(10%, 0%);">[[파일:조선 왕 문양2.png|700px|link=|가운데]]</div></div>
{| style="width:100%;text-align:center;background:#9e0821;color:#fff;font-size:12.5px;line-height:120%;overflow:hidden;"
|- style="background:#87041a;font-weight:500;font-size:12px;line-height:12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0,0,0,0.3) 20%, rgba(0,0,0,0) 100%);"
| class="JO-tax-trigger4" style="padding:2px 3px 0px;color:#c9a440;border-top:1px solid rgba(0,0,0,0.1);opacity:0.95;" | <div style="display:inline-block;vertical-align:middle;margin:5px 1px;vertical-align:middle;text-align:center;text-shadow:0px 0px 8px rgba(235,193,82,0.15);"><span style="letter-spacing:8px;font-size:11px;font-weight:bold;">세한지요<span>{{V|14}}<span style="font-weight:bold;letter-spacing:5px;font-size:35px;">歲寒之謠</span></div>
{{V|1}}<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vertical-align:middle;opacity:0.7;font-size:11px;text-align:left;text-align:center;">'''악장지사'''{{V|1}}<span style="opacity:0.95;font-size:80%;">'''樂章之詞'''</span></div>
<div style="margin-top:4px;"><div style="color:#c9a440;background:rgba(0,0,0,0.3);border-top:1px solid rgba(201,164,64,0.2);line-height:200%;width:calc(100% + 6px);margin:0px -3px -1px;padding:20px 50px 0px;text-align:center;font-family:GmarketSansMedium;">{{개행 금지 시작}}<div style="opacity:0.85;letter-spacing:1px;font-size:90%;display:inline-block;vertical-align:middle;width:49%;min-width:350px;">
遼河강 강가에서 滿洲를 보니{{V|5}}
甲申년 조상도화 조선 스킨}}
{{도화 머릿말}}
{{도화 머릿말}}
{{조선 관련 문서}}
{{조선 관련 문서}}

2025년 8월 3일 (일) 14:34 판

이 문서는 도화 프로젝트의
대체역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체역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관련 문서
경희지절 · 경성조선국제 · 조선대동지곡 · 국왕 시호 · 광종 · 인종 · 성종 · 현종 · 혜종 · 경종 · 명종 · 중종 · 덕종 · 정종 · 단종 · 영성군 · 고종 · 헌종 · 철종 · 순종 · 영종 · 성원군 · 이청
관련 틀
국왕 · 영의정부사 · 영의정 · 수보 · 육조육서 · 팔부팔청 · 이청삼원 · 행정구역 · 외지 · 통관 · 경관직 · 외관직 · 칙임관 · 주임관 · 판임관 · 십과칠계봉록 · 궁궐 · 화폐 · 국새 · 계급 · 편제 · 대외전쟁 · 임진왜란 경과 · 정왜구주 · 계묘정난 · 상징
조선 틀 목록
조선의 연호
가평
嘉平
1815년 2월 9일 ~ 1829년 2월 3일
가평 1년 1월 1일 ~ 가평 14년 12월 30일
건헌
建憲
1829년 2월 4일 ~ 1844년 9월 9일
건헌 1년 2월 4일 ~ 건헌 16년 9월 9일
광무
光武
1844년 9월 10일 ~ 1861년 12월 31일
광무 1년 9월 10일 ~ 광무 18년 12월 31일
세한지요
歲寒之謠
1829년
건헌 원년
세한지요
歲寒之謠
악장지사
樂章之詞
遼河강 강가에서 滿洲를 보니
甲申년 祖上대에 一場春夢
海東의 山川에서 太平을 묻니
慶熙때 太平聖歲 단잠의 꿈
土門강 萬折必東 되돌아 보니
三韓땅 非我族類 왠 말이냐
酷寒속 大同강위 沙工이 묻니
民生이 如履薄氷 어찌 살랴
壬辰년 八道의병 돌이켜 보니
우리도 歲寒之友 일어나리
수천년 三韓一統 이 땅에 묻되
훗날의 千代萬代 無窮하리
雪原위 梅花한잎 향기가 나니
봄하늘 아래에서 桃花 피리
鴨綠수 강가에서 威化島 보니
戊辰년 太祖께서 지켜보리
靑丘의 江山에서 安寧을 묻니

우리가 爲國獻身 앞장서리

 [재해석]1910년 대한예악사 공연; 서양식 재해석
1. 개요
《세한지요》 또는 《세한요》는 계묘정난 시기에 작곡되어 요동군에서 사용했던 군가로 혹한의 겨울과 북방 땅의 척박함에도 나라를 위해 행동한다는 결의를 담은 노래다.
[ 펼치기 · 접기 ]
인물
조선
시호 · 광종 · 인종 · 성종 · 현종 · 혜종 · 경종 · 명종 · 중종 · 덕종 · 정종 · 단종 · 영성군 · 고종 · 헌종 · 철종 · 순종 · 영종 · 성원군
조선 (총재)
이청 · 이선 · 최평 · 남성효
대한
광무제 · 함평제 · 숭녕제
후쿠하라 막부
고니키시 마사히데 · 고니키시 마사히로 · 고니키시 마사요시
기타
조선
조선 · 경희지절 · 경성조선국제 · 조선대동지곡
대청
삼번지난
전체
도화
조선 틀 목록 · 조선 문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