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
---|
![]() 대한국의 구 괴뢰국 |
[ 펼치기 · 접기 ]
|
대몽골국 蒙古大汗國 | ᠶᠡᠬᠡ ᠮᠣᠩᠭᠣᠯ ᠤᠯᠤᠰ Great Khanate of Mongolia | |||||||||||||||||||||||||||||||||||||||||
---|---|---|---|---|---|---|---|---|---|---|---|---|---|---|---|---|---|---|---|---|---|---|---|---|---|---|---|---|---|---|---|---|---|---|---|---|---|---|---|---|---|
| |||||||||||||||||||||||||||||||||||||||||
역사 | |||||||||||||||||||||||||||||||||||||||||
• 1905년 4월 12일 건국 • 1909년 4월 20일 광종의 대칸 즉위 • 1923년 2월 1일 멸망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 ||||||||||||||||||||||||||||||||||||||||
국가원수 | 대칸 | ||||||||||||||||||||||||||||||||||||||||
역대 대칸 | 온곤 우짐 칸 (1909~1920) 토모르 조리그투 칸 (1921~1923) | ||||||||||||||||||||||||||||||||||||||||
정부수반 | 총리 (ᠶᠡᠷᠦᠩᠬᠡᠢ ᠰᠠᠶᠢᠳ) | ||||||||||||||||||||||||||||||||||||||||
주요 총리 | 체렌치메드 (1908~1911) 남난쉬렌 (1911~1919) 담딘바자르 (1921~1923) | ||||||||||||||||||||||||||||||||||||||||
통화 | 원(투그릭) |
개요
1905년부터 1923년까지 외몽골과 내몽골 일부 지역에 존속한 입헌군주제 왕국. 그러나 건국부터 내외정에 있어 한국의 영향을 크게 받아 온전한 독립국으로 기능하지 못한 괴뢰국으로도 평가된다.
공식 국호는 대몽골국(예케 몽골 울루스)지만 당시 대외적인 공식 한자 국호가 ‘몽골대한국’이었기에 현재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역사계에서는 몽골대칸국으로 표제어를 정한 상황이다.
역사
청나라 황실과 혼인동맹으로 긴밀하게 엮인 내몽골(차하르)과는 달리 외몽골(할하)은 완전히 복속되는 시기도 18세기 준가르가 멸망할 때까지 상대적으로 늦은 편이었기에 외몽골 지역은 청나라가 멸망하는 순간까지 중원과 완전히 동화되지 못했다. 물론 기, 소목, 맹등의 부족별 행정구역을 만들어 함부로 이주를 금지하는 분할통치를 펼치긴 했지만 건륭제가 세상을 떠나고 청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유명무실해졌다.
그동안 꾸준히 저항하던 할하 몽골인들은 19세기 말엽 청나라가 확실하게 쇠퇴하기 시작하자 1892년 후레(現 알탄호트)에서 왕공족회의를 개최하여 몽골족의 독립국가를 천명했다. 이에 청나라는 대단히 불쾌하게 여겨 광서제가 토벌을 명하는 칙서까지 내렸지만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없었고 그동안 의화단의 난등을 거치면서 청은 한국과 서구열강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처지에 놓인다. 이런 상황속에서 한국은 외몽골 지방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차하르 몽골인들은 1901년경 한국이 화북 일대를 완전히 장악하자 왕공족회의에서 대칸의 지위를 광종에게 넘기기로 결정했을 정도로[1] 빠르게 한국에 복속되기를 청했고[2] 노국을 한노전쟁에서 격파하여 네르친스크, 캬흐타 조약 영구 준수를 약속받았지만 그들이 언제든지 몽골에 진출하여 한국을 다시금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예방 차원에서라도 외몽골을 복속시키거나 (혹은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거나)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외몽골을 완전히 합병시키기로 결정하고 할하 몽골인들의 분열을 획책하는 동시에 왕공족회의와 접촉하여 독립을 돕겠다는 이중적 태도를 확립하였다. 우선 한국은 내몽골인들을 왕공족회의에 침투시켜 구성원들 서로가 칸이 되려 한다는 소문을 퍼뜨려 불신이 커지게 만들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