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르 앙피르 Le empire | |||||||
[[파일:|100%]]
| |||||||
---|---|---|---|---|---|---|---|
본명 | 아쿠스 카드메우스 드라코(Akus Cadmeus Draco) 아코스(ἄχος) | ||||||
국적 | 프랑스 제3공화국 | ||||||
거주지 | 프랑스 제3공화국, 베르사유 궁전 | ||||||
사망 | 1936년 9월 18일 | ||||||
프랑스 제3공화국, 베르사유 궁전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르앙피르는 베르사유의 용에서 이르는 용으로, 프랑스 식민제국과 운명을 같이 한 용이다.
젊은 시절에 대하여 많은 기록은 남아 있으나 많은 부분이 신뢰할 수 없으며 교차검증되지 못한 점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프랑스 식민제국의 성장이 거듭할수록 구체화되며 르앙피르는 나폴레옹이 루이지애나를 판매하기 전까지는 그의 동료였던 점 등으로 역사에 얼굴을 비친다.
결국 르앙피르의 죽음 직후 프랑스 식민제국의 명목상 붕괴가 이루어진 점 또한 역사의 아이러니라고 후대의 역사가들은 평했다.
역사적 의의
르앙피르는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그가 스스로 칭한 제국이라는 이름은 이후로도 파시즘이나 다양한 확장주의 정책을 비난할 때 사용되며 해외에서도 유사하게 이용된다.
영국의 에릭 아서 블레어 또한 이러한 언어를 통해 비난받았으나, 그는 르앙피르의 행위는 객체와 같이 특정한 국가, 단체, 개인에 대해 중심된 식민적 정책이며, 세계시민주의의 목적성은 각각의 개인이 형제애적 단결을 숭상하는 프랑스 혁명정신에 가까운 것으로 일컬었다.
즉, 르앙피르의 행위는 상호간의 거래가 아닌 일방적 착취이며 이러한 것을 통해 이득을 얻는 대상이 하나인 동시에 상호간에 애정을 갖지 못하는 삭막한 도시화된 체제를 일컬는 것으로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