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Wiki:연습장/Night Sunset

Night Sunset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9월 23일 (월) 17:27 판
현재 세계관의 기준 일자는 2017년 9월입니다.×
대한민국철도운영기관
[ 펼치기 · 접기 ]

표 정리

대한민국 국군
大韓民國國軍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파일:대한민국 국군기.png
상비군 579,000명 (2017년 기준)
예비군 2,600,000~3,000,000명[1]
전시 최대 가용 자원 7,000,000+명[2]
육군력
3.5세대 전차 100대 (+1617대)[3]
3세대 전차 1,546대 (-1511대)[4]
2세대 전차 0대[5]
1세대 전차 780여 대[6]
전차 총합 2,426대
병력수송장갑차 2,800여 대[7]
보병전투차 470대[8]
견인포 3,500여 문[9]
박격포 2,000여 문[10]
자주포 2,300여 문 (+850여문)[11]
다연장로켓 426문[12]
수송 차량 8,660여 대
공군력
5세대 스텔스 전투기 16기 (+44기)[13]
4.5세대 전투기[14] 0기 (+313기)[15]
4세대 전투기[16] 286기 (-192기)[17]
3세대 전투기[18] 130여 기(-130여 기)[19]
2세대 전투기[20] 0기
1세대 전투기[21] 0기
조기경보통제기 (AEW&C) 4기 (+2기)[22]
조기경보기 (AEW) 0기
전자전기 (SIGINT/ISTAR) 0기 (+4기)[23]
공중급유기 4기[24]
공군기 총합 740여 기
헬리콥터 780여 기
항공기 총합 1,520여 기
해군력
주력 수상함
1만톤 이상 ~ 1만5천톤 미만 이지스 구축함 3척 (+3척)[25]
8천톤 이상 ~ 9천톤 미만 준 이지스 구축함 0척 (+6척)[26]
5천톤 이상 ~ 6천톤 미만 구축함 6척[27]
3천톤 이상 ~ 4천톤 미만 구축함 3척[28]
3천톤 이상 ~ 4천톤 미만 호위함 9척 (+11척)[29]
2천톤 이상 ~ 2천5백톤 미만 호위함 6척[30]
1천톤 이상 ~ 1천5백톤 미만 초계함 12척[31]
5백톤 이상 ~ 6백톤 미만 미사일 고속함[32] 18척[33]
2백톤 이상 ~ 3백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1척 (+15척)[34]
1백톤 이상 ~ 2백톤 미만 고속정 50여척[35]
모함, 상륙함, 수송함
1만5천톤 이상 ~ 2만톤 미만 강습상륙함 2척[36]
5천톤 이상 ~ 1만톤 미만 LPD, LSD 4척[37]
3천톤 이상 ~ 5천톤 미만 LST 4척[38]
1백톤 이상 ~ 2백톤 미만 공기부양정 3척[39]
5십톤 이상 ~ 1백톤 미만 공기부양정 2척 (+2척)[40]
잠수함
3천톤 이상 ~ 4천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1척 (+8척)[41]
1천7백톤 이상 ~ 1천8백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42]
1천1백톤 이상 ~ 1천2백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43]
예산
국방비 총합 50조 1527억 원
대한민국 국방부 공식사이트
2017 국방백서
2017 South Korea Military Strength - GFP

평화를 만드는 강한 힘, 대한민국 국군

우리는 믿음직한 대한민국 군입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당신을 지킵니다.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은 국제평화의 유지에 노력하고 침략적 전쟁을 부인한다.[44]
② 국군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토방위의 신성한 의무를 수행함을 사명으로 하며, 그 정치적 중립성은 준수된다.
- 대한민국 헌법 제 5조.
①국군은 국민군대로서 국가를 방위하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며 조국의 통일에 이바지함을 그 이념으로 한다.


③ 군인은 명예를 존중하고 투철한 충성심, 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의 기상과 죽음을 무릅쓰고 책임을 완수하는 숭고한 애국애족의 정신을 굳게 지녀야 한다.



- 군인복무기본법 제5조(국군의 강령)
[[대한민국 대통령|height=20]] [[대한민국 국방부장관|height=20]]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height=20]]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height=20]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height=20]]
(공란) (공란) (공란) (공란) (공란)
대통령
문영현
국방부장관
송영무
합동참모의장
정경두 대장
육군참모총장
김용우 대장
해군참모총장
엄현성 대장
<#34acf1>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height=20]] <#005fac>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height=20]] <#006400> [[지상작전사령관|height=20]] <#2D3198> [[제2작전사령관|height=20]] <#004185> [[국방차관#s-2.1|height=20]]
(공란) (공란) (공란) (공란) (공란)
공군참모총장
이왕근 대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김병주 대장
지상작전사령관
박종진 대장
제2작전사령관
박한기 대장
국방차관
서주석

|<:>

합참주임원사 | 육군주임원사 | 해군주임원사 | 공군주임원사 | | width=120 | width=200 | width=120 | width=120 | | 김석진원사<ref>합참주임원사가 1990년에 생겼는데 이제야 5대째다. 초대와 2대가 20년 동안 근무했기 때문이다. 5대인 김 원사까지 합참주임원사는 전원이 육군 출신이다.] | 김채식 원사<ref>13대 주임원사로 민간 271기다] | 정도일 원사<ref>19대 해군주임원사로 부사관 121기다.] | 라영창 원사<ref>25대 공군주임원사로 항과고 21기이다.] | | 구분 | 한국군 | 미군 | 자위대 | | 대장 | 163 | 1,200 ~ 1,758 | 280 ~ 322 | | 중장 | 120 | 1,063 ~ 1,575 | 206 ~ 290 | | 소장 | 88 ~ 99 | 963 ~ 1,420 | 166 ~ 246 | | 준장 | 78 ~ 85 | 800 ~ 1,235 | - | | 대령 | 66 ~ 80 | 593 ~ 1,085 | 134 ~ 221 | | 중령 | 53 ~ 62 | 474 ~ 885 | 115 ~ 189 | | 소령 | 40 ~ 52 | 400 ~ 740 | 100 ~ 167 | | 대위 | 27 ~ 39 | 326 ~ 640 | 83 ~ 143 | | 중위 | 21 ~ 27 | 359 ~ 475 | 66 ~ 120 | | 소위 | 21 | 222 ~ 375 | 58 ~ 115 | | 준위 | 20- ~ 7 | 219 ~ 685 | -<ref>자위대에서 준위는 1970년에 생겼다.] | | 상사<ref>원사가 없었다. 1989년에 일등상사 설치. 1993년에 원사로 개칭.] | 19 ~ 34 | 365 ~ 500 | 46 ~ 105 | | 중사 | 18 ~ 19 | 207 ~ 450 | 39 ~ 83 | | 하사 | 5 ~ 17 | 176 ~ 330 | 36 ~ 62 | | 병장 | 0.82 | 145 ~ 380 | 30 ~ 45 | | 상병 | 0.72 | 122 ~ 215 | 26 ~ 33 | | 일병 | 0.6 | 99 ~ 165 | 24 | | 이병 | 0.52 | 86 ~ 120 | 22 | 1960년대 국민총생산(GNP) 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다. | 구분 | 1963년 | 1964년 | 1965년 | | 한국 | 4,715억 원 | 6,667억 원 | 7,794억 원 | | 미국 | 150조 2,460억 원 | 160조 3,180억 원 | 171조 4,565억 원 | | 일본 | 17조 3,340억 원 | 20조 3,344억 원 | 22조 4,220억 원 | | 한국 : 미국 | 0.3% | 0.4% | 0.4% | | 한국 : 일본 | 2.7% | 3.2% | 3.5% | | 일본 : 미국 | 11.5% | 12.7% | 13.1% | ||||| (2000년 ~ 2014년) 대한민국명목 GDP <ref>[명목 GDP, 경제성장률 흐름]], 경제성장률, 국방비 흐름<ref>[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군비자료]] | | 종류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전체 명목 GDP<ref>[[1]]](10억달러; 약 1조원) | 561| 533| 608 | 680 | 765 | 898 | 1,011 | 1,122 | 1,001 | 902 | 1,094 | 1,202 | 1,222 | 1,305 | 1,411 | 1,382 | 1,414 | 1,530 | |경제성장률(%) | 8.9 | 4.5 | 7.4 | 2.9 | 4.9 | 3.9 | 5.2 | 5.5 | 2.8 | 0.7 | 6.5 | 3.7 | 2.3 | 2.9 | 3.3 | 2.8 | 2.9 | 3.1 | |SIPRI<ref>[국제평화연구소]]: 전체 국방비(100만달러; 약 10억원) | 20,395 | 20,978 | 21,556 | 22,289 | 23,268 | 25,165 | 26,072 | 27,253 | 29,035 | 30,861 | 31,117 | 31,544 | 32,347 | 33,157 | 34,638 | 35,983 | 36, 934 | 37,560 | 39,153 | |대한민국 국방부: 전체 국방비(10억원; 약 100만달러)<ref>http://www.mnd.go.kr/mbshome/mbs/mnd/subview.jsp?id=mnd_010201020000] | 14,439 | 15,388| 16,364 | 17,426 | 18,941 | 20,822 | 22,512 | 24,497 | 26,649 | 28,532 | 29,562 | 31,403 | 32,957 | 34,345 | 35,705 | 37,456 | 38,799 | 40,334 | 43,158 | |영어위키 국방비 자료<ref>[of countries by past and projected military expenditure (current US$)]]: SIPRI(10억달러; 약 1조원) | 13.8| 12.9| 14.1| 15.8| 17.8| 22.1| 25.1| 27.7| 26.0| 24.4| 27.5| 30.8| 31.6| 33.9| | |SIPRI: GDP 대비 국방비(%) | 2.5 | 2.4 | 2.3 | 2.3 | 2.3 | 2.5 | 2.5 | 2.5 | 2.6 | 2.7 | 2.6 | 2.6 | 2.6 | 2.6 | 2.7 | 2.6 | 2.6 | 2.6 | |대한민국 국방부: GDP 대비 국방비(%) | 2.27 | 2.24 | 2.15 | 2.15 | 2.16 | 2.26 | 2.33 | 2.35 | 2.41 | 2.48 | 2.34 | 2.36 | 2.39 | 2.4 | 2.4 | 2.39 | 2.37 | 2.33 | 2.38 | |대한민국 국방부: 증가율(%) | 5.0 | 6.6 | 6.3 | 6.5 | 8.7 | 9.9 | 8.1 | 8.8 | 8.8 | 7.1 | 3.6 | 6.2 | 5.0 | 4.2 | 4.0 | 4.9 | 3.6 | 4.0 | 7.0 |
  1. 정확한 산출은 불가능하다. 연말에 나가는 8년차가 있지만 매일 누군가는 전역한다. 따라서 점차적으로 상승해서 확 떨어지는 형태다.
  2. 입영대상자+상비군+예비역+민방위
  3. K-2 흑표 1차 양산분 100대는 2014년 실전배치 완료. 이후 2차(2019년 예정)로 100대가 양산될 예정이다. 이후 3차 생산분의 경우에는 AH-64E 공격헬기의 도입으로 일단은 보류가 되었으나 약 800여 대에 가까운 M48 패튼이 2020년대 초반에는 전량 퇴역할 예정으로 군과 주변국으로부터 방어를 생각한다면 어느 정도의 전차 규모를 유지해야되기 때문에 추가 양산될 가능성은 있다. 게다가 기존에 사용하던 3세대 전차 K-1과 K-1A1이 K-1E1과 K-1A2으로 전량 3.5세대의 성능으로 개량되거나 개량될 예정으로 K-1 전차 계열 1511대가 추가가 된다.
  4. K1 전차, K1A1 전차의 경우 1511대 전량 3.5세대 특성을 갖춘 K1E1, K1A2로 개량 중에 있으며, 2024년에는 K1과 K1E1을 K1E2로 개량할 예정이다. 1990년대 말부터 불곰사업으로 1,2차에 나눠서 도입한 35대의 T-80U/UK의 경우 2020년대 중후반 퇴역 예정 추정.
  5. 연구용으로 도입한 장비는 제외했다. 연구용으로 T-62의 이스라엘의 T-62 개량형 Tiran-6을 도입하기도 했으며 서방식 분류 기준으로 2.5세대 ~ 3세대 전차인 T-72M1을 도입하기도 했다. 게다가 전차는 아니지만 ZSU-23-4 쉴카 자주대공포, 170mm 곡산 자주포 등을 연구용으로 도입했다. 사실 불곰사업으로 도입하여 3세대 전차와 보병전투차에 전력으로 포함된 T-80U와 BMP-3도 처음에는 적성화기 연구용으로 도입했다가 이후 제3기갑여단에 배치된 것이다. 다만 불곰사업으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보병전투차가 아닌 장륜형 보병수송장갑차로 알려진 BTR-80A는 연구용으로 사용되다가 퇴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6. M48 패튼 계열. 2020년대 초반 퇴역 예정.
  7. K-200(A1), KM900, K806/808 장갑차
  8. K-21, BMP-3
  9. KH179 155mm 곡사포, M101 105mm 곡사포
  10. KM-181 60mm 박격포KM-187 81mm 박격포, 4.2인치(107mm) 박격포
  11. K-9(A1), K-55(A1), K105HT
  12. M270 MLRS, 구룡, 천무
  13. F-35는 2018년부터 ~ 2021년까지 40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여기에 20기 추가도입 옵션이 존재한다. 추가도입 옵션에 관련해서는 0|기사에 의하면 우선적으로 20기를 구매하는 것을 착수했다.
  14. [전투기 분류법 참고.] [분류법 (2)]
  15. KF-X는 120기 배치 예정이며 블럭1, 2은 4.5세대 기종이나 블럭3부터는 5세대 전투기 특성을 갖게 된다. 참고로 2020년 초반에 KF-16(133기)과 F-15K(59기)가 전부 개량이 완료되면 4.5세대 전투기로 분류바람.
  16. [전투기 분류법 참고.]
  17. F-16 PBU(1980년대 도입한 F-16C/D Block 30/32을 개량한 34기), KF-16(1980년대 말 KFP 사업으로 직도입을 거쳐서 나중에는 면허생산한 F-16C/D Block 50/52 140대 중에서 7대 추락으로 보유 중인 133기), F-15K(1~2차 FX 사업으로 직도입한 61기 중 2기 추락으로 59기), FA-50(60기). KF-16의 경우 2017년부터 133기 전량 순차적으로 2021년쯤 완료되는 걸 목표로 F-16V 사양으로 개량되고 있으며, KF-16 개량 사업 종료 이후 2022년부터 F-15K 59기도 F-15 Advanced Eagle 사양으로 개량될 예정이다. 도합 192기의 전투기(KF-16, F-15K)가 4.5세대 전투기 특성을 갖추게 된다. 즉 2020년대 중반에는 94기의 전투기(F-16PBU, FA-50)만 4세대로 남게 된다.
  18. 3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19. F-4E 팬텀II 2024년 퇴역 예정, F-5E/F 계열(면허생산형 제공호 포함) 2030년 퇴역 예정
  20. 2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21. 1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22. E-737 4기. 2016년 기사에 의하면 2기를 추가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다만 E-737이라고 확정이 된 것이 아니라서 다른 기체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23. 대한민국 국군이 도입하는 글로벌호크 무인 정찰기의 경우 2018년과 2019년에는 SIGINT가 없는 정찰기로만 운용하다가 2020년에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SIGINT가 장착될 예정이다.
  24. KC-X 사업을 통해 에어버스 사의 A330 MRTT 기종이 선정되어 2017년 5월에 1대 도입되었고, 19년에 3대, 총 4대 도입예정이다.
  25. 2014년부터 예산이 반영되어 2020년에 4번함을 진수하고 2024년까지 총 3척을 추가로 건조 할 예정
  26. KDDX
  27. 충무공 이순신급
  28. 광개토대왕급
  29. 인천급 6척, 대구급 3척+5척(건조중), 인천급 Batch-3 6척(예정)
  30. 울산급
  31. 포항급
  32. 초계함이나 고속정은 대규모 함대전에서 유효한 전력이 아니다. 이것들은 특수부대를 막을 때 한정적으로 유효하다.
  33. 윤영하급
  34. PKMR
  35. 참수리급
  36. 마라도함 추가
  37. LST-2
  38. 고준봉급 LST (전차상륙함)
  39. 무레나급
  40. LSF-2
  41. 도산 안창호급
  42. 손원일급, 수상 배수량 1,700 톤 (9척)
  43. 장보고급, 수상 배수량 1,180 톤 (9척)
  44. 즉, 선제적인 침략행위는 하지 않으며 자국이 먼저 선제공격을 받으면 정당한 명분이 있다는 전제로한 자위권 차원의 공격은 가능하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