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달 같은 국가, 노르웨이
밴드 가상국가 지성의 총집인 노르웨이, 그 중심엔 국민이, 여러분이 - 모든면에서 다른 국가를 압도하는 파워가 다릅니다. Since. 2020 |
이 문서는 가상국가 노르웨이 왕국의 공식문서입니다.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 자제 부탁드립니다. |
연합왕국 군주 | ||||||
---|---|---|---|---|---|---|
[ 펼치기 · 접기 ]
|
울덴부르크-마운트리기온 가문 Familien Oldenburg-Mountrigion Familjen Oldenburg-Mountrigion | |
---|---|
국가 | 노르웨이 왕국, 스웨덴 대공국 |
창립 | 1562년경 |
창립자 | 살바토레 울덴부르크-몬테리조니(마운트리기온) |
당주 | 테오필리스 울덴부르크-마운트리기온 |
통치자 | 메르켈 연합왕국의 여왕 |
작위 | 노르웨이인의 왕 노르웨이인의 여왕 스웨덴인의 왕 스웨덴인의 여왕 |
어원 |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시에나 마운트리기온 성 |
본가 | 몬테리조니 가문 (멸문) |
연합왕국의 왕 문장 | |
---|---|
노르웨이의 왕 문장 | 스웨덴의 왕 문장 |
개요
마운트리기온-울덴부르크 가문은(노르웨이어:Familien Oldenburg-Mountrigion, 스웨덴어:Familjen Oldenburg-Mountrigion)은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연합왕국인 연합왕국 왕실의 왕실 가문이다. 노르웨이의 왕실의 가문으로는 글뤽스부르크 왕조, 울덴부르크 왕조에 이은 세번째 가문이다.
울덴부르크 가문의 방계 가문으로, 왕실추밀원의 선출에 의해 왕위를 계승하였으며, 스웨덴 왕위를 얻어 첫번째 연합왕국 왕실의 가문이 되었다. 초대 통치자로 이희철이 있었으며, 그 사촌인 이세라가 그 뒤를 이어 즉위하여 연합왕국의 왕실가문을 유지중이다.
문장
왼쪽의 울덴부르크 가문의 문장과 오른쪽 마운트리기온 가문의 문장이 합쳐진 문장을 쓰며, 주문장은 오른쪽의 마운트리기온 가문의 문장이다.
오른쪽 문장은 위쪽의 밝은 태양을 상징하는 금색 배경의 방패와 땅과 굳은 뜻을 상징하는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검은 선, 그 아래의 숙고하며 인내함을 상징하는 푸른 방패가 있으며 금색 방패배경엔 가문의 조상봉지인 마운트리기온 성이, 가장 아래의 파란색 배경 방패엔 상업을 업으로 삼던 가문이었던 흔적으로 수레바퀴 3개가 있다. 수레바퀴 3개는 피렌체, 피아렌차, 밀라노로 도망다녀야 했던 역사를 상징한다.
이후 왕조를 더 잇게됨에 따라, 차별화가 필요하여 기존 문장은 테오필리스의 문장으로 되었고, 새로운 문장으로 메르켈의 문장으로 개량되어 문장의 요소중 3개의 바퀴를 스칸디나비아의 국가 노르웨이와 스웨덴을 의미하는 무스로 바꾼것을 사용하게 되었다. 다만 가문의 공식 문양은 본래의 3개의 바퀴 문장이며, 현재 왕국에서 통용되는 문장은 은색 무스 문장이다.
역사
이탈리아의 도시인 피렌체의 외각에서 대장장이를 생업으로 삼았던 집안인 리조니(Rigioni) 가문이 본가이다. 리조니 가문은 13세기에 등장한 가문으로, 시조인 발데마로 리조니(Valdemaro Rigioni)[1]를 시조로 한다. 발데마로 리조니는 대장장이 길드의 장이었고 재산을 아들 둘에게 나누어 줬는데, 첫째에 대한 기록은 없다. 둘쨰인 중시조 파비오 리조니(Fabio Rigioni)는 갑옷공장을 밑천으로 금융업 가문으로 성장시켰다.
이후 르네상스의 꽃인 시기에 활동한 안드레아 리조니(Andrea Rigioni) 등이 있다. 안드레아 리조니 대엔 엄연한 도시귀족이 되었고 같은 도시귀족인 파치가문의 음모와 몰락, 그리고 메디치 가문의 몰락 이후 마지막 피렌체 공화정의 시뇨리아 체제를 향유하며 마운트리기온를 소유하는 등, 17세기 최전성기를 즐긴 가문이 되었다.
마운트리기온 가문은 안드레아 리조니의 증손인 아드리아노 리조니의 아들 파브리지오 리조니의 둘째 아들 페데리코 마운트리기온 대에 분가하는데, 이때 리조니 가문의 봉지였던 피렌체 근교의 언덕 위에 있는 요새이자 작은 마을인 마운트리기온를 1480년경 상속했고 이때 분가하여 몬테리조니(Monterizzoni)가 되었다.
1498년 피렌체 공화국 정부가 전복되고, 몬테리조니 성을 다시 도시정부로 귀속하고자 음모를 꾸려, 이단혐의로 교회법정에서 이단이라 선언되었고, 공격당하였고 결국 알렉산데르 6세에 의해 파문되어 마운트리기온의 당주였던 페데리코 리조니의 첫째 아들 세르지오 몬테리조니 1950년 교수형 후 화형당하였고 둘째 아들인 괄티에로 몬테리조니는 생존하여 피아렌차로 추방되었다. 셋째 아들인 니콜라스 리조니는 무역에 종사해 도시귀족으로 남아있었으나 생매장 당하여 무덤을 찾을 수 없다.
피아렌차로 피렌체 공화국 정부에 의해 추방된 괄티에로 몬테리조니는 계속해서 밀라노까지 전전하다가 열병으로 죽었고, 그의 장자인 살바토레 몬테리조니는 본가였던 리조니 가문의 적선으로 여비를 받아 독일로 넘어간다. 뮌헨에서 한자동맹에 참여하며 중심지로 부상한 울덴부르크로 금융업에 뛰어들고자 이사하였고 그곳에서 처음엔 도시정부에 기용되어 세리로 일했고, 이후 금융업에 참여하며 도시에 기반을 둘 수 있었다. 이후 몬테리조니에서 현지화한 이름인 마운트리기온(Mountrigion) 가문이 된 마운트리기온 가문은 정략결혼을 통해 올덴부르크 대공국의 본가였던 올덴부르크 가문의 4번째 딸과 결혼해 이름값을 올렸다. 다만 울덴부르크 대공국의 통치가문은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이었기에 유효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진 못했다, 도시의회에서 자기이름정돈 올릴 정도가 된 것이다.
이후 북독일 연방에 가담하는데 찬성표를 던지며 정부의 환심을 샀고, 북독일 연방을 추진하는데 동조하고 투기하며, 독일제국이 세워질때 마운트리기온의 땅이 봉지라는 어거지 주장이 먹혀서 남작작위를 받아냈다. 당시 독일정부는 작위를 좀 뿌리며 재정을 채우고자 하였기 때문에 이에 편승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독일제국 시기엔 문화투쟁에서 비스마르크에 편승하며 종교도 가톨릭에서 루터교로 개종하게 되었다. 이후 가문은 개혁교회를 종교로 삼아 내려가게 된다. 제1차세계대전이 패전할거같다는 정보가 극비로 돌았고, 재산을 처분하며 현금화해 스위스에 보내놓은 융커계급의 마르첼로 리조니는 제1차 세계대전이 패배하자 가족을 데리고 독일을 버린채 스위스로 피신한다. 이후 제2차세계대전동안 스위스에 징병되는 일도 있었으나, 큰 문제 없이 전쟁을 마칠 수 있었다. 오히려 영국의 전쟁채권으로 나름의 배팅에 성공한 편이었다. 마르첼로 마운트리기온는 2남 1녀를 두었고 장남이었던 세르오지오 마운트리기온는 외동 테오필리스를 낳았다.
이후 노르웨이의 왕실추밀원에 의해 노르웨이 왕가로 선출되어 역사상 처음으로 왕실가문이 되게 된다. 테오필리스의 퇴임 이후 왕실추밀원은 사촌인 메르켈을 새로운 왕으로 추대하며, 다시한번 왕실가문이 될 수 있었다.
역대 국왕
연합왕국 왕실 | |||||||||||||||||||||||||||||||||||||||||||||||||||||||||||||||||||||||||||||||||||||||||||||||||||||||||||||||||||||||||
---|---|---|---|---|---|---|---|---|---|---|---|---|---|---|---|---|---|---|---|---|---|---|---|---|---|---|---|---|---|---|---|---|---|---|---|---|---|---|---|---|---|---|---|---|---|---|---|---|---|---|---|---|---|---|---|---|---|---|---|---|---|---|---|---|---|---|---|---|---|---|---|---|---|---|---|---|---|---|---|---|---|---|---|---|---|---|---|---|---|---|---|---|---|---|---|---|---|---|---|---|---|---|---|---|---|---|---|---|---|---|---|---|---|---|---|---|---|---|---|---|---|
이름 | 왕조 | 재위 기간 | 권리 | 비고 | |||||||||||||||||||||||||||||||||||||||||||||||||||||||||||||||||||||||||||||||||||||||||||||||||||||||||||||||||||||
초대 테오필리스 Theophilis | Teofilis |
파일:테오필리스 연합왕국의 왕 문장.svg | 2025년 1월 22일 ~ 2025년 3월 20일 | 노르웨이와 스웨덴 양국의 추대 노르웨이 왕국 법률 제136호 |
[2] | |||||||||||||||||||||||||||||||||||||||||||||||||||||||||||||||||||||||||||||||||||||||||||||||||||||||||||||||||||||
초대 메르켈 Merkel |
2025년 4월 2일 ~ 현재 | 노르웨이와 스웨덴 양국의 추대 노르웨이 왕국 법률 제136호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