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Foligerlicher Armee 키르수스 황립군 | ||
Foligerlicher Heer 황립육군 |
Foligerlicher Marine 황립해군 |
Foligerlicher Luftwaffe 황립공군 |
키르수스 황립육군 Kircusser Foligerlicher Heer | |||
창립일 | 1514년 1월 18일 | ||
국적 | ![]() | ||
편제 | 2개의 근위군단 131개의 육군단 8개의 돌격군단 20개의 기갑군단 23개의 기갑척탄병군단 6개의 산악군단 | ||
충원방식 | 징병제 | ||
징집연령 | 18세 이상 | ||
지휘 체계
| |||
방위산업
| |||
참전
|
황립육군(키르수스어: Foligerlicher Heer 폴리거리허 히어)는 키르수스 황립군의 육상군이다.
조직
황립육군의 평시 기본 조직은 군단(Korp)으로, 군단의 행정은 감찰국(Inspektion)이 담당한다. 「제국군대법(Foligerreichsmilitärgesetz)」에 의해 조직된 감찰국은 총감찰관(Generalinspekteur)을 수장으로 하여 해당 감찰국 내의 모든 황립육군 부대에 대한 감찰권을 지니며 그 책임을 가졌다. 각 감찰국의 하위 조직으로 보병을 제외한 여러 병과에 대한 여러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이 존재했다: 포병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Artillerie), 기술·전투공병 및 요새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Ingenieur- und Pionierkorps und des Festungen), 군대교육 및 교육제도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Militärerziehung- und Bildungswesen). 병과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Waffengattungen)은 해당 소속 감찰국의 총감찰관을 수장으로 해 장비에 대한 행정을 처리한다. 그러나 기병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Kavallerie), 돌격엽병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Sturmjäger), 기갑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Panzer), 산악엽병 총감찰국(Generalinspektion des Gebirgsjäger)은 각 감찰국에 소속되지 않고 황립육군에 직속되었다.
황립육군 감찰국 |
지휘
병과장
![]() ![]() |
![]() |
![]() |
![]() |
장성 포병 화약전문가 |
참모부 장교 제국군무부 관료 수의사 |
군사법원 화학전 부대 |
![]() |
![]() |
![]() |
보병 차량화보병 |
기병 | 전차병 |
![]() |
![]() |
![]() |
척탄병 기갑척탄병 |
엽병 산악엽병 돌격엽병 |
황립육군 관료 감찰국 관료 군정 관료 |
![]() |
![]() |
![]() |
정찰 통신 |
야전경찰 | 군목 |
![]() |
![]() |
![]() |
보급 | 의료 | 공병 |
황립육군은 병과 간 구별을 위해 병과색(키르수스어: Waffenfarbe 바펜파르베)과 병과장(키르수스어: Waffenabzeichen 바펜압차이헨)을 사용한다. 병과색은 견장의 테두리와 소매의―장교의 경우 추가적으로 금장의― 리체(키르수스어: Lizte 복수형 Litzen)에 반영된다. 대부분의 병과는 병과색을 통해 구별이 가능하나, 일부 병과의 경우 왼팔 소매에 자수 놓여진 별도의 병과장을 착용하기도 한다.
복제
계급
![]() ![]() |
사병 Mannschaften | |||||||
일병 Soldat |
이병 Obersoldat |
상병 Gefreiter |
병장 Stabsgefreiter | ||||
![]() |
![]() |
![]() |
![]() |
![]() |
![]() |
![]() |
![]() |
부사관 Unteroffiziere | |||||||
하사 Unteroffizier |
중사 Unterfeldwebel |
상사 Feldwebel |
원사 Oberfeldwebel | ||||
![]() |
![]() |
![]() |
![]() |
![]() |
![]() |
![]() |
![]() |
![]() ![]() |
사병 Mannschaften | |||||||
일병 Soldat |
이병 Obersoldat |
상병 Gefreiter |
병장 Stabsgefreiter | ||||
![]() |
![]() |
![]() |
![]() |
![]() |
![]() |
![]() |
![]() |
부사관 Unteroffiziere | |||||||
하사 Unteroffizier |
중사 Unterfeldwebel |
상사 Feldwebel |
원사 Oberfeldwebel | ||||
![]() |
![]() |
![]() |
![]() |
![]() |
![]() |
![]() |
![]() |
장비
군비
같이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