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부가 설명

< 7 세계관/희망적 해석
777777allegna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7월 29일 (화) 23:0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7 세계관이 추함을 추구하게 된 것은 아름다움에 현실성이 없기 때문 입니다. 아무리 심미적인 세상 이라고 해도, 인간이 관여 되면 공간은 순식간에 파괴 됩니다. 그리고 파괴된 공간은 원래대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모두가 극도로 추한 세상에서 자유로운 모습으로 살아가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 것 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마음의 문제를 해결해서 추악함을 없게 하는 일이 필요 합니다. 추함과 추악함을 구분 하고, 두려움과 불쾌함을 구분 해서 고통의 총량을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 입니다. 이미 모든 환경은 파괴 되다싶이 했으며, 심미성은 이상적 이지만 현실적 이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해결책이 고려된 것 이며, 심미성을 추구 할 수 없게 된 것 입니다. 7 세계관은 사악 하지는 않지만, 가혹한 세상을 긍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추함을 추구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러나 정신체의 입장을 고려 하기는 어렵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