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국지요

Ernst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8월 3일 (일) 04:1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 문서는 도화 프로젝트의
대체역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체역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관련 문서
경희지절 · 경성조선국제 · 조선대동지곡 · 국왕 시호 · 광종 · 인종 · 성종 · 현종 · 혜종 · 경종 · 명종 · 중종 · 덕종 · 정종 · 단종 · 영성군 · 고종 · 헌종 · 철종 · 순종 · 영종 · 성원군 · 이청
관련 틀
국왕 · 영의정부사 · 영의정 · 수보 · 육조육서 · 팔부팔청 · 이청삼원 · 행정구역 · 외지 · 통관 · 경관직 · 외관직 · 칙임관 · 주임관 · 판임관 · 십과칠계봉록 · 궁궐 · 화폐 · 국새 · 계급 · 편제 · 대외전쟁 · 임진왜란 경과 · 정왜구주 · 계묘정난 · 상징
조선 틀 목록
조선의 연호
가평
嘉平
1815년 2월 9일 ~ 1829년 2월 3일
가평 1년 1월 1일 ~ 가평 14년 12월 30일
건헌
建憲
1829년 2월 4일 ~ 1844년 9월 9일
건헌 1년 2월 4일 ~ 건헌 16년 9월 9일
광무
光武
1844년 9월 10일 ~ 1861년 12월 31일
광무 1년 9월 10일 ~ 광무 18년 12월 31일
구국지요
救國之謠
1829년
건헌 원년
구국지요
救國之謠
악장지사
樂章之詞
후안무치한 간신들에
오얏꽃은 즈려밟히고
허무맹랑한 소문들에
종묘사직 흔들리는가
금수강산에 산천들은
말도 없이 지켜만보고
오천만민의 피눈물은
그 누구도 모른다더라
노기등등한 우리들은
충심으로 불타오르니
잔악무도한 무리들을
뿌리째로 뽑아버리리
충절의 깃발 휘날릴 때
금고 소리 울려 퍼지니
북악 봉우리 올라서서
이 가락을 널리 부르오
아침의 나라 오천만민
우리 모여 의병이 되고
흥망성쇠는 한날의 꿈

태평성세는 오늘의 일

 [장조/재해석]1910년 대한예악사 공연; 서양식 재해석
 [단조/재해석]1910년 대한예악사 공연; 서양식 재해석
1. 개요
《구국지요》 또는 《구국요》는 계묘정난 시기에 작곡되어 구국회(救國會)에서 사용했던 군가로 말그대로 구국의 마음을 담은 노래라는 뜻이다. 혼란의 시기에 쓰여 경희지절 체제로의 복귀와 국가안정의 염원이 담겨있다.
[ 펼치기 · 접기 ]
인물
조선
시호 · 광종 · 인종 · 성종 · 현종 · 혜종 · 경종 · 명종 · 중종 · 덕종 · 정종 · 단종 · 영성군 · 고종 · 헌종 · 철종 · 순종 · 영종 · 성원군
조선 (총재)
이청 · 이선 · 최평 · 남성효
대한
광무제 · 함평제 · 숭녕제
후쿠하라 막부
고니키시 마사히데 · 고니키시 마사히로 · 고니키시 마사요시
기타
조선
조선 · 경희지절 · 경성조선국제 · 조선대동지곡
대청
삼번지난
전체
도화
조선 틀 목록 · 조선 문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