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펼치기 · 접기 ]
관련 문서
|
경희지절 · 경성조선국제 · 조선대동지곡 · 국왕 시호 · 광종 · 인종 · 성종 · 현종 · 혜종 · 경종 · 명종 · 중종 · 덕종 · 정종 · 단종 · 영성군 · 고종 · 헌종 · 철종 · 순종 · 영종 · 성원군 · 이청 |
관련 틀
|
국왕 · 영의정부사 · 영의정 · 수보 · 육조육서 · 팔부팔청 · 이청삼원 · 행정구역 · 외지 · 통관 · 경관직 · 외관직 · 칙임관 · 주임관 · 판임관 · 십과칠계봉록 · 궁궐 · 화폐 · 국새 · 계급 · 편제 · 대외전쟁 · 임진왜란 경과 · 정왜구주 · 계묘정난 · 상징 |
조선 틀 목록 |
조선의 연호 |
가평嘉平
1815년 2월 9일 ~ 1829년 2월 3일가평 1년 1월 1일 ~ 가평 14년 12월 30일 ←
→
광무光武
1844년 9월 10일 ~ 1861년 12월 31일광무 1년 9월 10일 ~ 광무 18년 12월 31일 |

세한지요歲寒之謠
1829년건헌 원년 |

세한지요歲寒之謠
악장지사樂章之詞
요하강 강가에서 만주를 보니
갑신년 조상대에 일장춘몽
해동의 산천에서 태평을 묻니
경희때 태평성세 단잠의 꿈
토문강 만절필동 되돌아 보니
삼한땅 비아족류 왠 말이냐
혹한속 대동강위 사공이 묻니
민생이 여리박빙 어찌 살랴
임진년 팔도의병 돌이켜 보니
우리도 세한지우 일어나리
수천년 삼한일통 이 땅에 묻되
훗날의 천대만대 무궁하리
설원위 매화한잎 향기가 나니
봄하늘 아래에서 도화 피리
압록강 강가에서 위화도 보니
무진년 태조께서 지켜보리
청구의 강산에서 안녕을 묻니
우리가 위국헌신 앞장서리 [재해석]1910년 대한예악사 공연; 서양식 재해석 |
1. 개요
《세한지요》 또는 《세한요》는 계묘정난 시기에 작곡되어 요동군에서 사용했던 군가로 혹한의 겨울과 북방 땅의 척박함에도 나라를 위해 행동한다는 결의를 담은 노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