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펼치기 · 접기 ]
관련 문서
|
경희지절 · 경성조선국제 · 조선대동지곡 · 국왕 시호 · 광종 · 인종 · 성종 · 현종 · 혜종 · 경종 · 명종 · 중종 · 덕종 · 정종 · 단종 · 영성군 · 고종 · 헌종 · 철종 · 순종 · 영종 · 성원군 · 이청 |
관련 틀
|
국왕 · 영의정부사 · 영의정 · 수보 · 육조육서 · 팔부팔청 · 이청삼원 · 행정구역 · 외지 · 통관 · 경관직 · 외관직 · 칙임관 · 주임관 · 판임관 · 십과칠계봉록 · 궁궐 · 화폐 · 국새 · 계급 · 편제 · 대외전쟁 · 임진왜란 경과 · 정왜구주 · 계묘정난 · 상징 |
조선 틀 목록 |
조선의 연호 |
가평嘉平
1815년 2월 9일 ~ 1829년 2월 3일가평 1년 1월 1일 ~ 가평 14년 12월 30일 ←
→
광무光武
1844년 9월 10일 ~ 1861년 12월 31일광무 1년 9월 10일 ~ 광무 18년 12월 31일 |

세한지요歲寒之謠
1829년건헌 원년 |

세한지요歲寒之謠
악장지사樂章之詞
遼河강 강가에서 滿洲를 보니
甲申년 조상도화 조선 스킨}} ![]() [ 펼치기 · 접기 ]
![]()
![]()
1. 개요
《세한지요》 또는 《세한요》는 계묘정난 시기에 작곡되어 요동군에서 사용했던 군가로 혹한의 겨울과 북방 땅의 척박함에도 나라를 위해 행동한다는 결의를 담은 노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