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 이 문서는 아침의 나라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주의. 문서를 동의없이 함부로 수정할 경우 반달 사용자로 지목되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정할 것이 있으시다면 문서 작성자의 동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朝鮮國皇帝 | |||||||||||||||||||||||||||||||||||||||||||||||||||||||||||||||||||||||||||||||||||||||||||||||||||||||||||||||||||||||||||||||||||||||||||||||||||||||||||||||||||||||||||||||||||||||||
---|---|---|---|---|---|---|---|---|---|---|---|---|---|---|---|---|---|---|---|---|---|---|---|---|---|---|---|---|---|---|---|---|---|---|---|---|---|---|---|---|---|---|---|---|---|---|---|---|---|---|---|---|---|---|---|---|---|---|---|---|---|---|---|---|---|---|---|---|---|---|---|---|---|---|---|---|---|---|---|---|---|---|---|---|---|---|---|---|---|---|---|---|---|---|---|---|---|---|---|---|---|---|---|---|---|---|---|---|---|---|---|---|---|---|---|---|---|---|---|---|---|---|---|---|---|---|---|---|---|---|---|---|---|---|---|---|---|---|---|---|---|---|---|---|---|---|---|---|---|---|---|---|---|---|---|---|---|---|---|---|---|---|---|---|---|---|---|---|---|---|---|---|---|---|---|---|---|---|---|---|---|---|---|---|---|
[ 펼치기 · 접기 ]
|
朝鮮國第35代皇帝
| |||
百濟31代國王
| |||
![]() | |||
出生 | 590年代以前 | ||
百濟東原城 (現 朝鮮國東原道東原府) | |||
死亡 | 660年 | ||
唐長安城 | |||
陵墓 | 北邙山、朝鮮國東原道東原府彊帝皇陵 | ||
在位期間 | 朝鮮國第35代皇帝 | ||
641年3月 ~ 660年7月18日 | |||
百濟第31代國王 | |||
641年3月 ~ 660年7月18日 | |||
[ 펼치기 · 접기 ]
|
槪要
백제의 제31대 어라하이자 제35대 아사달 황제로 추대받은 인물이다. 성과 휘는 부여의자이며, 묘호는 장종.
무황제(무왕)의 장자로, 신라 선덕여왕의 조카이자 태종 무열왕의 이종사촌이다.
예로부터 평가가 심히 엇갈렸던 군주로 재위 중반기까지만 해도 숙적인 신라를 몰아붙이며, 무왕의 뒤를 이어 백제의 마지막 중흥기를 이끌었으나 백제멸망전 당시 보여준 무모한 모습에 비판받기도 한다. 다만 당시 적이 당이였다는 점도 감안하면, 꼭 강황제가 아니더라도 결국 백제는 패배할 수 밖에 없었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