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효대왕급 전함 (푸른 오얏꽃2)

한혁성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월 17일 (월) 14:2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제2차 세계 대전의 대한조선국 왕립해군 군함
[ 펼치기 · 접기 ]
대한조선국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 SSN 김영철급, {지청천급}
SS 손원일급, 김홍일급, 신성모급
SSM 돌고래급정·R, 범고래급R, 향고래급
항공모함 충정함R, 세종대왕급SPY
아스널쉽 {합동화력함}
구축함 DDG 길평급SPY, 충무급SPY, {KDDX}
DDH 율곡급, 다산급, 연암급, 성무급
DD 인천급R, 동래급R, 평양급R, 서울급R, 함흥급R, 대구급R, 광주급R, 해주급R, 용인급R
호위구축함/고속수송함 밀양급R, 운담급R, 순천급R, 송원급R
호위함 FFG 수원급, 성진급, 김해급, 덕원급, 청주급, {FFX Batch-V}
FF 서울급, 대구급, 삼화급
PF 회덕급R
순양함 CA 한강급R, 낙동강급R, 압록강급R, 두만강급R, 백두산급R, 지리산급R, 한라산급R, 관모봉급R, 김충선함R
CG 낭림산급R, 묘향산급R
CGN 조선형 핵추진 방공순양함 계획
전함 안동급R, 세종급R, 광효대왕급R, 고종 태황제급
초계함 백두산급R, 한라산급R, 지리산급, 관모봉급
경비함정 국도급R, 구곡리급R, 진황도급R, 히로시마급R, 구마모토급R, 연태급R
유도탄고속함 PKG 대동강급, 압록강급, 한강급
PGM 청천급(애쉬빌급)R
고속정 중형 고속정 연희급R, 이휘급R, 명량급, 덕응급, 노량급, 한산도급
소형 고속정 한성급R, 강산급R, 아라급R, 계룡급R
어뢰정(PT) PT 보트R
상륙함 LPH 금강산급
LST-II 장준하급
LST 임학규급, 송호성급
LSM, LSMR 원주급R, 김천급R, 장진급R
상륙정 고속상륙정(LSF) 물개급R, 솔개급
LCI, LSSL 동해급R, 서해급R, 남해급R
기뢰전함 기뢰부설함 독도급R, 거제도급R, 초도급R, 강화도급, 마양도급
소해함 대동강급R, 낙동강급R, 한강급R, 두만강급, 예성강급, 태화강급
소해정 금강급R, 임진강급R, 압록강급R, 섬진강급R, 동천강R, 안양천R
지원함 훈련함(ATH) 태극함, 건곤함
군수지원함(AOE) 천지급, 소양함, 화천함, 주공함
유조함 구룡함R, 천지·부천함R, 백연함R, 청평함R, 진양함R
수상함구조함 진해함R, 평택함R, 백령함, 태안함
잠수함구조함 청해진함, 통영함
예인함(ATA) 인왕함R, 용문함R, 도봉함R
수리함(ARL) 이화함R, 홍익함, 배달함
잠수정모함(ASL) 다도해함R
해양정보함(AGS) 신천만함R, 신세기함, 신기원함
수송함(AKL) 동래급R, 인천급R, 덕원급, 군산급, 천수급, 포항급
전투근무지원정 전투정 항만경비정(YUB/HP)
근무지원정 숙영지원정(QB)R, 다목적훈련지원정(MTB),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YDB), 구조지원정(YDT), 근무주정(YSB), 예인정(YTL), 냉동정(RCM)R, 청수정(AWT/YWS), 항만수송정(YF), 항무지원정(LCM/HUB)
해경 경비함정 고속순시정CG, 고속방탄정CG, P-정CG, 해누리급CG,해우리급CG, 태극급CG, 오얏꽃급CG, 제민급CG, 태평양급CG, 삼봉급CG
기타 육군경비정
판옥선 거북선*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 왕립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CG: 대한조선국 해양경찰청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조선국 왕립육군 소속 함정
※윗첨자SPY: 이지스 레이더 탑재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거북선은 문화재로서 현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래 최후 세대의 전함
[ 펼치기 · 접기 ]
취역함 비스마르크급 전함, 아이오와급 전함, 뱅가드급 전함, 리토리오급 전함, 리슐리외급 전함, 광효대왕급 전함, 야마토급 전함
설계함 알자스급 전함, 몬태나급 전함, A-150급 전함, H급 전함, 고종 태황제급 전함, 라이온급 전함,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
광효대왕급 전함 'HKMS 광효대왕'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한조선국 왕립해군의 전함으로 일본 해군의 야마토급, 크릭스마리네의 비스마르크급에 버금가는 조선 해군의 가장 강력한 전함이었다.

제원

HKMS 광효대왕
함명 유래 조선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
성조의 시호 '광효대왕'
함종 전함(고속전함)
이전 함급 한산도급 전함
다음 함급 고종 태황제급 전함(설계도면)
자매함 2번함 HKMS 장효대왕
3번함 HKMS 성효대왕(설계도면)
건조 연일 해군 공창
현대중공업
조선해양기계제작소
운용 대한조선국 왕립해군
발주 1937년 4월 13일
기공 1938년 10월 8일
진수 1941년 6월 27일
취역 1941년 12월 9일
실전배치 1942년 5월 13일
퇴역 1969년 7월 10일
가격 3억 원(당시 가격)
함장 대한조선국 해군 정령
제원
함급 광효대왕급
배수량 43,587t(기준)
51,264t(만재)
전장 259.4m
선폭 34.3m
흘수 10.52m
터빈 현대중공업 증기터빈 4축 4기, 스크류 4기
보일러 경동 4호 보일러 12기
출력 평상시 168,000마력
과부하시 193,000마력
속력 29knots
항속거리 18knots로 9,100해리
승조원 2,400명
무장 주포 13식 420mm 40구경장 3연장 주포탑 3기 (총 9문)
부포
1945년 개장
17식 125mm 50구경장 2연장 부포탑 14기 (총 28문)
대공포
1945년 개장
16식 35mm 4연장 대공포 9기 (총 36문)
16식 35mm 단장 대공포 4기
18식 40mm 2연장 자동대공포 16기 (총 32문)
대공기관포
1945년 개장
14식 20mm 2연장 대공기관포 18기 (총 36문)
장갑 현측 주장갑: 230mm ~ 390mm
주포탑: 250mm ~ 420mm
함교: 450mm
상부 갑판: 20mm
갑판 주장갑: 120mm
함재기 10식 수상정찰기 2대
레이더
1944년 개장
27호 레이더

개발 역사

이범석 정권이 들어서기 직전인 1936년, 조선 왕립해군의 처지는 매우 암담했다.
한때 일본 해군과 군비경쟁을 하며 아시아의 바다를 지배하겠다는 대한제국 해군제1차 세계 대전동중국해 해전에서 주력함 대부분이 침몰했으며, 그나마 남은 함선도 구식 경순양함 세 척과 초노급 세종, 진해항에 처박힌 순양전함 안동이 전부였기 때문이다. 1936년 이전에도 인천급 구축함 다섯 척을 건조했지만, 그해 집권한 이범석은 군비증강을 더욱 적극적으로 진행했다. 조선은 1937년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열강의 통제권 밖인 만주에서 군수품을 생산했다. 일본도 당시 군국주의가 대두하여 남중국에서 전쟁을 벌이고 있었고, 유럽은 히틀러가 등장하면서 전운이 감돌고 있었다. 이런 절호의 기회를 맞아 대한조선국 왕립해군은 해군력 복구를 위한 새로운 전함의 필요성을 절감했고, 야심찬 건함계획들을 세웠다. 그 프로젝트의 일환이 바로 광효대왕급 전함이다.

함생

1941년 12월 9일 진해에서 대한조선국 왕립해군의 총 기함으로 취역하고, 1942년 한일전쟁이 발발한다. 첫 실전인 독도 해전에 후방으로 투입되었을 당시에는 일본 해군항공대의 뇌격으로 중파당하는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그러나 곧 수리를 완료하고 1943년 대한해협 해전에 참전하였다. 대개장을 받은 순양전함 안동, 슈퍼 드레드노트급 세종과 함께 1944년부터 대한해협을 봉쇄하며 일본 해군을 위협했다. 전후까지 개수를 받고 조선 해군의 기함으로 있었으나, 전함이 시대에 뒤떨어지며 1969년 퇴역했다. 2020년 현재 동래 해군 박물관에 기념 및 박물관함으로 정박중이다.

기타

노민영 내각 시절 스크랩 처리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국민과 참전용사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매체에서의 등장

네이비필드에서 9티어 전함으로 등장한다.

월드 오브 워쉽에서 조선 전함 트리 9티어 함선으로 등장한다. 페이퍼플랜 단계에서 전쟁이 끝나 실제로 건조되지 않은 3번함 성효대왕도 워게이밍의 가상 근대화 개장을 받고 동티어 프리미엄 전함으로 등장한다.

벽람항로에 모에화되어 등장한다.

2019년 3월 퇴역 60주년 기념으로 영화 '광효대왕'이 개봉했다. 배급사는 쇼박스, 유해진, 류준열, 조우진 등이 출연하였다. 일본 해군 청년 장교 역으로 날씨의 '호다카'의 성우인 다이코 코타로도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