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월본의 군대. 현재 월본의 군사적 역량은 국가군방위대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역사

중해전쟁월본 내전 이후 월본을 점령한 미국은 원래 월본의 무장을 해제시키려 하였으나, 동아시아 대륙이 연쇄적으로 공산화 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하자 상황은 급변하였다. 월본은 중국과 인접하였기에 공산화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고 미국은 중화권의 공산화를 본 뒤 연쇄 공산화를 우려해 월본국에 제국주의를 제하고 정상화하여 군사권을 주었다. 당시 도서지역 및 북도 등지에서는 공산주의 게릴라가 활동하였으며, 이들의 주도로 1948년 북도, 신설지방에서 정해공란(丁亥共亂)이 발생해 정부군과 공산주의 게릴라가 교전을 치루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일로 월본은 반공주의를 강화하였고 주월미군을 증설하였다.

1950년에는 미국 군정부 주도하에 경찰예비대가 창설되었다. 경찰예비대는 소화기로 무장한 75,0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동시기에 구 월본제국군 패잔병들을 규합하여 해상경비대를 조직하였고 이 해상경비대는 얼마 안가 경비대로 재편되었다. 이로써 육상의 경무는 경찰예비대, 해상의 경무는 경비대가 관장하는 체계가 완성되었고, 이를 관장하기 위한 정부기관인 보안청이 설치되었다. 그후 경찰예비대는 보안대로 재편되었는데, 1954년에 이들 보안대와 경비대를 합병하여 국가군방위대를 발족시켰다. 보안대는 육군방위대가 되었으며, 경비대는 해군방위대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과거 제국군 시절엔 육군과 해군에서 분리되어 있지 않던 공군이 독립하여 공군방위대로 추가됨으로써 오늘날의 국가군방위대 체제의 기틀이 잡히게 되었다.

1960~70년대에는 국가군방위대가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다시 정권을 잡기도 하였으나, 민주화 이후에는 철저하게 문민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민주화 이후 국가군방위대는 문민통제를 엄격히 지키면서 국민들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다가가고자 여러 봉사 활동과 구조 활동에 나서고 있으며, 자연재해시 가장 먼저 투입되어 재건을 돕고 국민들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 또한 맡고 있다.

병역 제도

전월본제국 시기에는 성인 남성이 3년간 의무적으로 군에서 복무하는 징병제였다. 이후 월본 내전과 2차 대전 종전을 거치며 군대에서 제국주의가 제거되었고, 징병제도 제국주의와 군국주의의 산물로 여겨져 폐지되었다. 1954년 국가군방위대 창설 이후 병역 제도는 모병제로 확정되었으며, 1963년까지 약 10여년간 모병제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1962년 월본 군사정권이 수립된 후 군사정권은 공산주의의 방어를 명목으로 징병제를 재도입하겠다고 밝혔으며, 1963년 다시 만 20세부터 만 40세까지의 남성들이 2년 6개월간 군에서 복무하는 징병제가 도입되었다. 미국이나 서구권도 대공산주의 방어나 좌익세력 확신 방지를 위해 이를 묵인하게 되었고 군사정권은 징병제를 사회 통제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징병제도는 당시 군사정권이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는데 아주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시위대와 지역 경찰, 군인은 서로 가족이나 친구, 지인 등으로 이어져 있었기에 경찰이나 군인이 시위대를 진압하지 않고 너그럽게 넘어가거나 오히려 함께 시위를 하게 되는 일이 잦았다. 그러나 징병제가 본격화 된 후에는 해당 시위대와 전혀 접점이 없는 타 지역에서 징집해 온 군인들에게 시위 진압을 맡기면 시위 진압을 매우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도신설 7.17 항쟁을 무자비하게 진압했던 그 군인들은 대부분이 남부 출신의 징집병들이었다. 또한 대학생 운동권 시위대들을 강제로 징집하여 의문사로 위장해 살해하거나 세뇌시키기도 하는 등 징병제는 군사정권 하에서 매우 효율적인 통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그 후 1974년 민주화 이후 다시 징병제는 군사정권의 끔찍한 유산으로 취급되어 반드시 폐지하여야 할 절대적인 악으로 여겨졌고, 이에 따라 1975년 징집이 중단된 이후 1978년 징병제는 폐지되었다. 1975년부터 1978년까지는 징병제의 잔재가 청산되었으며 모병제로의 전환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기존의 징집병들은 개인의 의사에 따라 전역되거나 복무기간이 단축되었다. 과거 2차 대전 시기와 군사정권 시대를 교훈삼아 현재도 월본 헌법에는 군대의 정치적 중립성 명시와 동시에 강제 복무를 시키는 징병제 제도가 금지됨이 명시되어 있다.

전력

국가군방위대의 전력

2020년 기준
육군방위대 해군방위대 공군방위대
병력 : 225,000명
병력 : 67,000명
병력 : 53,000명
무기종류 수량 함종 수량 배수량합계 기종 종류 수량
전차 1210 항공모함 2 11만2천톤 F-15W/DW 전투기 201
장갑차 1000 구축함 30 30만6천850톤 F-4EW 전투기 55
무반동포 2650 잠수함 40 13만3천500톤 F-2A/B 전투기 92
박격포 2000 기뢰전함 16 3만4천750톤 RF-4E/EW 정찰기 13
야포 및 곡사포 540 호위함 23 13만7천500톤 C-1 수송기 24
로켓탄 발사기 980 고속정 54 9천740톤 C-130H 수송기 15
고사기관포 50 보조함정 30 12만6천톤 KC-767 공중급유/수송기 4
육군방위대 항공전력 해군방위대 항공전력 KC-130H 공중급유/수송기 1
E-2C 조기경보기 13
기종 종류 수량 기종 종류 수량 E-767 조기경보관제기 4
LR-1 정찰기 1 P-1 초계기 9 CH-47W 수송헬기 15
LR-2 정찰기 7 P-3C 초계기 61
AH-1S 대전차 헬기 60 SH-60W 초계헬기 42
OH-6D 정찰헬기 48 SH-60K 초계헬기 44
OH-1 정찰헬기 38 MH-53E 소해/수송헬기 5
UH-1H/W 다목적헬기 131 MCH-101 소해/수송헬기 6
CH-47W/WA 수송헬기 55
UH-60WA 다목적헬기 36
AH-64D 전투헬기 11

장비

국가군방위대 무기 일람
화기류
개인화기 64식 소총/89식 소총/M4 카빈/특수소총(A)/FN SCAR/G36/9mm 기관권총/MP5/4.6mm 단기관총(B)/11.4mm 기관단총/USP/11.4mm 권총
지원화기 M2 브라우닝/FN 미니미/M203/판처파우스트iii/84mm 무반동포
육상병기
자국산 전차 61식 전차/74식 전차/90식 전차/10식 전차
수입산 전차 (퇴역) M4A3E8/M24 채피/M41 워커불독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M3 하프트랙/16식 기동전투차
기타 육상병기 윌리스 MB 지프/CCKW/M270 MLRS
공중병기
헬기 AH-1/AH-64DJ/UH-1/UH-60/CH-47/CH-53/500MD/AS532
전투기 F-35/F-15J/F-4/F-1/F-2/ATD-X/F-3(예정)/F-86/F-104/F-51
기타 군용기 E-2/C-130/P-3/P-1/RQ-4/V-22
해상병기
구축함 도고차와급/광영급/천광급
항공모함 사류급/카이급/가류급/구류급/청공급/우사급
잠수함 가토급(쿠로시오)
이텔릭체는 시제품 및 퇴역무기

계급

계급 육군방위대 해군방위대 공군방위대
합동참모의장
합동참모의장 통합참모총장
참모총장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육장 해장 공장
장보 육장보 해장보 공장보
좌관
일좌 일등육좌 일등해좌 일등공좌
이좌 이등육좌 이등해좌 이등공좌
삼좌 삼등육좌 삼등해좌 삼등공좌
위관
일위 일등육위 일등해위 일등공위
이위 이등육위 이등해위 이등공위
삼위 삼등육위 삼등해위 삼등공위
부사관
준위 준육위 준해위 준공위
조장 육조장 해조장 공조장
일조 일등육조 일등해조 일등공조
이조 이등육조 이등해조 이등공조
삼조 삼등육조 삼등해조 삼등공조
사장 육사장 해사장 공사장
일사 일등육사 일등해사 일등공사
이사 이등육사 이등해사 이등공사
삼사 삼등육사 삼등해사 삼등공사
  • 육군, 해군, 공군의 계급명칭이 전부 다르며 이등병에 해당되는 삼사 계급이 폐지되었다.
  • 준위는 준사관으로 부사관, 장교 사이에 있는 계급이 아니라 부사관의 연장선에 있는 계급이다. 그래서 국가군방위대는 주임원사보다는 주임준위가 재직 중인 부대가 많다. 그리고 사관학교에 해당하는 방위대학교를 졸업하면 삼등위관 (소위)가 아니라 준위 계급으로 임관된다. 그 후에 삼등위관으로 진급하는 식.
  • 타군의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없다. 준장이 없는 여타 군대들처럼 선임 일등좌관에게 준장급 예우와 직책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