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국 내각총리대신
Prime Minister of Japan
메이지 시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이토 히로부미 구로다 기요타카 야마가타 아리토모 마쓰카타 마사요시 이토 히로부미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토 히로부미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가쓰다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다이쇼 시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야마모토 곤노효에 오쿠마 시게노부 데라우치 마사타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사이토 마코토 가토 도모사부로 기요우라 게이고
제24대 제25대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레이지로
쇼와 시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이누카이 쓰요시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사이토 마코토 오카다 게이스케 히로타 고키 하야시 센쥬로 고노에 후미마로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39대 제40대
히라누마 기이치로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미쓰마사 고노에 후미마로 도조 히데키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시데하라 기주로 요시다 시게루
제46대 제47대 제48-51대 제52-54대 제55대
가타야마 데쓰 아사다 히토시 요시다 시게루 하토야마 이치로 이시바시 단잔
제56·57대 제58-60대 제61-63대 제64·65대 제66대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다나카 가쿠에이 미키 다케오
제67대 제68·69대 제70대 제71-73대 제74대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나카소네 야스히로 다케시타 노보루
헤이세이 시대
제74대 제75대 제76·77대 제78대 제79대
다케시타 노보루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호소카와 모리히로
제80대 제81대 제82·83대 제84대 제85·86대
하타 쓰토무 무라야마 도미이치 하시모토 류타로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제87-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93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베 신조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제94대 제95대 제96-98대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 아베 신조
레이와 시대
제98대 제99대 제100·101대 제102대
아베 신조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국 제102대 내각총리대신
마에하라 세이지
前原誠司 | Maehara Seiji
100%
출생 1962년 8월 20일 (64세)
일본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국적 일본
재임 제102대 내각총리대신
2025년 11월 12일 ~ 현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방재)
2009년 9월 16일 ~ 2010년 1월 12일
제12·13대 국토교통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영토)
2009년 9월 16일 ~ 2010년 9월 17일
제139대 외무대신
2010년 9월 17일 ~ 2011년 3월 7일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 과학기술정책, 원자력행정, 우주정책)
2012년 10월 1일 ~ 2012년 12월 26일
소속 정당

지역구 (구) 교토 1구 → 긴키 권역 비례대표 → 교토 2구
의원 대수 11
의원 선수 40[1], 41[2], 42, 43, 44, 45, 46, 47, 48, 49, 50

개요

일본정치인으로, 제102·103대 내각총리대신이다. 노다 요시히코 이후 12년 만에 다시 나온 민주당계 정당 출신 총리이기도 하다.[3]

활동

1962년 4월 30일 교토시 사쿄구에서 태어났다. 교토교육대학 부속고등학교, 교토대학을 졸업하고 1987년 마쓰시타 정경숙(松下政経塾) 8기생으로 합격했다.[4] 1991년 정경숙 졸업 후, 교토부의회 의원 선거에 입후보해서 당선된다.

1993년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신당 후보로 (구) 교토 1구에 처음 중의원 의원에 2위로 당선되었는데[5], 1994년 일본신당을 탈당해 "민주의 바람"이란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어서 신당 사키가케와 함께 한다.

두달 후 신당 사키가케에 입당해 간 나오토 당시 정무조사회장 아래 원내부간사(국회대책부위원장)을 맡는다. 이후 1996년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직전 구 민주당, 1998년 민주당의 창당에 참가한다.

41회 중원선에서 구 민주당 소속으로 교토 2구에 출마하지만 자유민주당 소속 오쿠다 미키오(奥田幹生)에게 패배하고 석패율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이후 제42대 중원선에서 오쿠다 미키오가 불출마하고 대신 출마한 자민당의 야마모토 나오히코(山本直彦)를 꺾고 1위로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이 부진한 44, 46, 47회 중원선에서도 1위로 당선된 것을 보면 지역구 관리를 굉장히 잘 하는 것 같다.

2005년 민주당이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참패한 뒤 오카다 가쓰야 대표가 사퇴하자, 만 43세의 젊은 나이에 민주당 대표가 되었다. 하지만 민주당 나가타 히사야스 의원의 허위폭로에 대한 책임을 지고 1년도 안되어 대표직을 사퇴했다.

2009년~2012년 민주당 정권 3년 동안 국토교통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일본 외무대신을 지냈다.

2011년 3월 재일교포 한국인으로부터 25만 엔(원화 환산시 약 230만 원)의 정치자금을 받았던 것이 드러나 외무대신직을 사임했었다.

2011년 여름에는 다른 파벌 소속 노다 요시히코를 지원해서 총리로 올리는데 공헌했지만, 2012년 가을에는 노다의 사퇴를 압박하기도 했었다.

2011년 11월부터 료운카이(凌雲会)라는 당내 계파의 리더로 취임해서 계속 파벌을 이끌고 있다. 파벌의 성향은 중도~중도우파 정도다.

마에하라 세이지는 2015년 11월초에는 민주당을 해산하고 유신당과 합당하자는 의견을 내놓았었는데 [1] 유신당이 맥을 못추고 오사카 유신회가 오사카 선거이후 부상하자 지금은 오사카 유신회와 연대를 모색중이다. 만약 그가 파벌 구성원들을 이끌고 탈당한다면 민주당에게 중도표 일부이탈이란 큰 피해를 주게된다. 하지만 그의 의사대로 민주당이 유신당과 합당해 민진당을 창당함에 따라 탈당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7월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를 앞두고, 마에하라는 2015년 11월 창당한 개헌파 우익정당 오사카 유신회와 선거제휴를 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물론 이러한 움직임은 당 주류의 방침과 어긋난다. 그리고 렌호, 다마키 유이치로 등과 대표 경선을 치뤘으나 패배한다.

2017년 9월 새로운 민진당의 대표에 선출되었다.

대표 취임 직후부터 기존에 있었던 야당연합을 파기하고 유신회와의 연대를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그가 당내에 보수 성향이었던지라 다른 당보다도 공산당과의 연대가 아무래도 껄끄러웠던 듯하다. 이에 대해 전통적인 야당 성향의 유권자들은 유신회자민당 2중대로 여기고 있고, 또한 지금까지 의석 확보 및 지자체장 선거 승리를 기존 야당 연합의 연대로 인해서 이겼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민진당은 실력도 없으면서 주제파악도 못한다'고 반발하는 중이다.

2017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희망의 당에 선거 승리를 위해서 흡수통합 당하는 형식으로 합당을 결정했다. 그의 이런 정치적 결단은 선거 결과에 따라서 평이 갈리겠지만 전권을 잡은 고이케 유리코가 당내 리버럴 성향의 의원들에게 무자비한 공천학살을 하자, 구 민진당의 핵심 지지층이었던 리버럴 성향 시민들에게 원수와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6]

그리고 총선거가 끝나고 여당의 개헌선 도달 압승이라는 결과가 도출된 지금 마에하라는 야권의 역적이 되었다. 연립 여당만으로도 개헌이 가능해진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야권에서 표가 갈렸기 때문이다.[7][8] 마에하라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고이케 지사에게 백기 투항하는 바람에 그녀가 입헌민주당에 자객을 보내는 등의 야권 분열을 일으켰고 이걸 가능하게 만든 마에하라는 정치적 책임을 피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고이케는 전국 조직이 없고 선거는 갑작스럽게 열리기로 결정되어서 사실 그녀 자력으로는 야권 분열을 시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상황이었다.

한편으로는 2012년에 민주당을 대대적으로 집단 탈당해 노다 총리가 카미카제 총선을 열 수밖에 없어 야권을 패망하게 만든 오자와 이치로의 뒤를 따라갈 가능성이 이야기 되고 있다. 카미카제 총선 이후에 오자와는 두 번 다시 메이저 정당에 가입할 수 없었다. 마에하라는 지역구의 지지는 탄탄하니 평생 무소속 중의원을 할거라고 조롱하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선거가 끝난 이후 판세 분석이 어느정도 이루어지자 민진당의 전현직 의원들과 지지자들은 이게 다 마에하라 때문이다라고 연호하고 있는 상황. 그가 이번 정치적 모험을 한 이유에는 공산당과 연대하는 것이 정말로 싫어서라는 설이 있다. 그는 공산당 세가 강한 교토에서 특이하게 반 공산당 표를 받아서 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는 케이스로 그가 공산당과 연대하는 것은 의원직를 버리는 행위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후 이 때의 결정에 대해 산케이 신문과 인터뷰를 했는데, 자신은 그 인터뷰에서 "공산당에 혼을 팔지는 않았다."라면서 미일안보조약을 반대하는 일본 공산당과의 연대는 대단히 잘못된 것이라며 자신의 결정을 정당화했다.

선거가 끝나고 그는 희망의 당에 입당하기로 결심을 한듯하다. 현재 그의 입장상 희망의 당이 존속해주기를 바랄 수 밖에 없는 상황. 희망의 당이 소멸해서 입헌민주당으로 야당 세력이 결집할 경우, 입헌민주당이 그를 받아줄 리가 없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 본인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총선에서 살아남았지만, 선거에서 반아베-호헌 성향의 야당 지지층의 민심이 에다노 유키오입헌민주당에 힘을 실어줬음이 확인됨에 따라 정치적 입지가 상당히 곤란하게 됐다. 당장 민진당 당 대표에서도 축출당하게 생긴 상황. 결국 2017년 10월 23일 미명에 기자회견을 열어, 참의원과 지방조직 처리 문제를 결론 짓고 난 후에 물러나겠다고 표명하였고 결국 일주일 후인 10월 30일 민진당 대표직 사임을 표명했다. 그리고 2일 민진당에 탈당계를 제출하고 6일에는 희망의 당에 입당원서를 제출해서 14일에 승인되어 현재는 희망의 당 소속 중의원 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2018년 5월 7일 오쓰카 고헤이 대표와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의 견의로 민진당과 희망의 당이 국민민주당으로 합당하여, 국민민주당 소속이 되었다.

2020년 6월에 일본 유신회와 스터디 그룹을 만들었다.[2] 또한 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유신회가 지지하는 오노 다이스케 후보를 지지했다.

2020년 8월 15일, 입헌민주당국민민주당의 합당을 놓고 국민민주당 내 분당 논의가 계속되자 자신은 합류하지 않고 당에 잔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3] 본인이 밝힌 가장 큰 이유는 입헌민주당과 선거 협력 중인 공산당의 존재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라고 한다.

2021년 10월 31일 열린 49회 총선에서도 무난히 당선에 성공했다. 그리고 12월부터 선거대책위원장을 겸임한다.

2022년 들어 당대표인 다마키 유이치로와 갈등하고 있는데, 일본 유신회와의 야권 연대 강화를 원하는 마에하라와 다르게 다마키 측에서는 자민-공명 연립 여당과의 연대를 강화하려하고 있어 노선 차가 크기 때문이다.

2022년 7월로 예정된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일본 유신회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특히 교토부 선거구에서는 입헌민주당의 후쿠야마 데쓰로 전 간사장을 낙선시키기 위해 주력했으나, 결국 후쿠야마 전 간사장이 2위로 당선되어 살아남으면서 또 한번 패자가 되었다. 또다시 야권 분열의 원흉이 되었다는 비판은 덤. 이걸로 당의 실권자로 활동해오던 본인의 입지에 치명상을 입었다는 평이 다수이다.

2022년 7월 28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았다.[4] 본인 말로는 여름 감기 정도의 증상이라고 한다.[5]

8월 31일, 양원의원총회에서 신바 가즈야 간사장이 선거대책위원장을 겸직하게되면서 물러나게 되었고, 2023년 통일지방선거에서도 국민민주당이 패배하자 결국 대표대행 직까지 사퇴했다.

그렇게 국민민주당에서 평당원으로서 정중동하고 있다가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고이케 유리코가 당선에 성공하면서 야권 연합이 패배하자, 꽤 시들시들해져 있었던 입헌민주당-국민민주당 재통합 논의가 시작되고, 신설합당이 불거지던 시점인 9월 14일, 이번에는 야권통합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2024년 9월 10일 야권 연대 투표가 실시되었고, 투표 결과 신당의 당명은 민주당, 대표는 마에하라 세이지 前 외무대신로 결정되었다. 156표 중 102표를 득표하였고, 2위인 이즈미 겐타의 득표수는 54표에 그쳤다. 이로서 민주당계 통합신당 대표이자 야권 전체 대표의 자리를 공고히 하였다.

2025년 10월 30일에 있었던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단독 정당으로서는 사상 최다 의석인 350석을 기록하면서[9] 초압승하였고, 11월 12일에는 중참 양원의 지명으로 마침내 본인이 꿈에도 그리던 제102대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였다.

정치적 입장

마에하라 세이지는 일본 정계의 대표적인 보수자유주의자로, 헌법 제9조의 개정의견을 피력한 바 있고 집단적자위권 행사도 주장했었고 중국위협론도 그의 지론이다. 외국인 참정권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국론이 분열되어 있고 위헌이라는 논란도 있다."라면서 법안제출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최근에는 안보법을 무효화시키자는 민주당 내의 의견에 대해서 "이미 통과된 법을 무효화시키긴 어렵다" 라면서 사실상 안보법 반대에 딴죽를 걸고 있기도 하다.

경제적으로는 재정 지출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긴축 재정파이다.

한국에 대한 태도

언론 기사를 통해 노출된 바로는 친한 성향의 인물로 분류된다. 알고 지내던 아주머니가 재일 한인이셔서 그렇다. 위에서 나온 정치자금 수수 얘기는 이 아주머니와 관계 있다.

철덕

정계에서는 꽤 유명한 철덕이며 실력도 상당 수준이라고 한다. 일단 프로필부터 SL사진촬영 및 관련 수집이라고 언급하고 있을 정도인데[10], 토리테츠로서의 실력도 수준급이라 철도 잡지에 사진이 실리거나 개인 사진전을 열기도 한다. 특히 SL에 대한 관심이 남달라서 같이 활동하는 철도 전문 잡지사의 편집장도 그의 지식력과 사진 실력에 놀랄 정도라고 한다. 국토교통대신 시절 치지부 철도를 일부러 시찰한 일화는 유명할 정도.

이후에도 간간히 철도를 주제로 하는 방송에 출연하거나 같은 덕후인 이시바 시게루[11]와 함께 버라이어티 방송에 출연하기도 한다.

소속 정당

무소속 1991 - 1992 정계 입문
1992 - 1994 입당
무소속
(민주의 바람)
1994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1994 - 1996 합당
1998 - 2016 합당
1998 - 2016 합당
2016 - 2017 당명 변경
무소속 2017 노선 차이로 탈당
2017 - 2018 입당

2018 - 2020 합당
무소속 2020 정당 해산

2020 - 2024 창당

2024 - 신설합당[12]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3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구) 교토 1구 65,182 (17.0%) 당선 (2위) 초선[13]
1996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교토 2구 31,257 (21.23%) 낙선 (3위)
당선 (석패율제)
재선
2000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2,077 (33.46%) 당선 (1위) 3선
200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3,934 (49.73%) 4선
200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3,795 (42.79%) 5선
2009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1,151 (57.52%) 6선
2012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2,170 (49.35%) 7선
2014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6,227 (50.44%) 8선
2017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무소속[14] 65,480 (48.71%) 9선
2021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2,516 (48.89%) 10선
2025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7,681 (58.59%) 11선
  1. 중선거구제 시절 (구) 교토 2구
  2. 석패율 비례대표
  3. 2009년 정권 교대 총선에서 자민당 심판론의 바람을 타고 중의원 480석 중에서 무려 308석을 획득하면서 집권에 성공했지만 2012년 카미카제 총선에서 당시 여당이던 민주당이 고작 57석밖에 얻지 못하면서 정권을 다시 잃은 이후 12년만에 정권 교체에 성공한 것이다!
  4. 이때 정경숙에 합격한 8기 동기생이 나중에 외무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을 역임한 겐바 고이치로인데, 1993년 제40대 중원선에서 중의원 의원에 첫 당선된 동기이다. 이 외에도 노다 요시히코, 다카이치 사나에, 이토 다쓰야 등이 제40대 중의원 의원으로 국회에서 활동하였지만 이 3명은 한번씩 낙선해서 9선이지만 마에하라와 겐바는 완전 낙선한 적이 없어서 10선이다.
  5. 당시 1등으로 당선된 의원이 일본공산당 소속 고쿠타 케이지 의원으로 지금도 긴키 권역 비례대표 중의원 의원으로 활동중이다.
  6. 현장에서 '거짓말쟁이','꺼저라','배신자'등의 야유가 만무하고, 중에 그가 연 민진당의 정책 포럼에서는 민진당 장례식장이라고 시민들이 항의하고 있다.
  7. 이것은 민공 연대가 성사되어 이긴 부분과 분열되어서 진 상반되는 케이스가 뚜렷히 존재한다. 입헌민주당이 지역구에서 승리한 선거구 중 당선자가 많은 도쿄(4곳)-가나가와(3곳)-홋카이도(3곳)의 모든 선거구에서 공산당이 야권 연대를 위해 자발적으로 후보를 내렸다. 특히 도쿄-가나가와에서는 도쿄 7구를 제외하고 공산당이 후보를 냈으면 7 개구 중 6 개구는 전멸한다. 1~3% 차이의 선거구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각 자민당이 승리한 지역구를 자세히 살펴보면 '야권연대가 이루어졌다면' 이라는 생각이 드는 지역구가 상당하다. 단순히 연대한다고 모든 지지율 합산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민당이 승리한 지역구 중 접전지가 제법 많았기 때문에 야권 분열의 상황이 커보인다.
  8. 선거를 이기고 나서 시행한 어느 인터뷰에 노다 세이코 총무대신이 이번 선거는 '절대 평가가 아닌 상대평가. (야당이) 분열해준 덕에 의석을 지켰다'고 발언 했다.
  9. 2009년 제45회 중원선 당시에도 중의원 480석 가운데 308석을 얻는 초압승을 거두긴 했지만, 이번 제50회 중원선은 중의원 의석수가 줄어들었지만, 이번 선거로 얻은 의석이 2009년 당시보다 훨씬 많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10. 바로 위의 2장의 사진을 보면, 의원실 책상 위에 증기기관차의 명판들이 몇 개 전시되어 있다.
  11. 다만 이시바 시게루의 경우 철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둔 덕후이며. 철도에서는 타는것을 중점으로 두는 노리테츠 쪽에 가깝다.
  12. 입헌민주당, 사회민주당과의 신설 합당
  13.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
  14. 당선 후 입당, 이후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