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간섭 (푸른 오얏꽃2):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한청전쟁에서 승리한 대한제국이 서울 조약을 통해 청나라에게서 남...)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만주로 남하하려는 러시아 제국의 니콜라이 2세는 그곳에서 [[대한제국 (푸른 오얏꽃2)|대한제국]]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대한제국의 팽창을 경계하는 일본 제국과 영일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ref>당시 영국과 러시아는 그레이트 게임을 진행 중이었지만, 극동의 신흥 세력을 경계한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일치했다.</ref>을 끌어들여 서울 조약 체결에서 6일이 지난 1892년 4월 23일 각국 대사들과 함께 대한제국 외무차관에 외교적 압력을 행사한다.<br><br>
만주로 남하하려는 러시아 제국의 니콜라이 2세는 그곳에서 [[대한제국 (푸른 오얏꽃2)|대한제국]]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대한제국의 팽창을 경계하는 일본 제국과 영일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ref>당시 영국과 러시아는 그레이트 게임을 진행 중이었지만, 극동의 신흥 세력을 경계한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일치했다.</ref>을 끌어들여 서울 조약 체결에서 6일이 지난 1892년 4월 23일 각국 대사들과 함께 대한제국 외무차관에 외교적 압력을 행사한다.<br><br>
삼국의 압력에 직면한 대한제국 정부는 크게 세가지 방안을 검토한다. 첫번째는 지금 당장 연해주의 영유권을 구실 삼아 러시아와 일전을 벌이자는 것. 하지만 [[한청전쟁 (푸른 오얏꽃2)|한청전쟁]]으로 국력의 소모가 너무 컸기에 이 의견을 지지하는 쪽은 거의 없었다. 두번째는 곧바로 반납하는 것이었고 세번째는 회담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었는데 남만주 일대를 청에 돌려주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그냥 돌려주면 영 모양새가 안 서니 일단 회담을 연 뒤에 여기서 돌려주는 방식을 채택하자는 주장이 우세했다. 하지만 외상 [[윤영익 (푸른 오얏꽃2)|윤영익]]이 "회담을 벌이면 다른 문제가 제기되어 얻은 것도 놓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두번째 안이 채택된다.<br><br>
삼국의 압력에 직면한 대한제국 정부는 크게 세가지 방안을 검토한다. 첫번째는 지금 당장 연해주의 영유권을 구실 삼아 러시아와 일전을 벌이자는 것. 하지만 [[한청전쟁 (푸른 오얏꽃2)|한청전쟁]]으로 국력의 소모가 너무 컸기에 이 의견을 지지하는 쪽은 거의 없었다. 두번째는 곧바로 반납하는 것이었고 세번째는 회담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었는데 남만주 일대를 청에 돌려주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그냥 돌려주면 영 모양새가 안 서니 일단 회담을 연 뒤에 여기서 돌려주는 방식을 채택하자는 주장이 우세했다. 하지만 외상 [[윤영익 (푸른 오얏꽃2)|윤영익]]이 "회담을 벌이면 다른 문제가 제기되어 얻은 것도 놓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두번째 안이 채택된다.<br><br>
결과적으로 볼때 러시아 제국의 압력에 부담을 느낀 [[대한제국 (푸른 오얏꽃2)|대한제국]]이 어쩔 수 없이 간도를 제외한 영토를 다시 청나라에 반환한 것이다. 한국 대중과 [[대한제국 황립군 (푸른 오얏꽃2)|대한제국군]]은 러시아 제국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일본 제국에게 반감과 분노를 지니게 되었으며, 특히 1898년에 러시아 제국이 여순, 다련을 점령하여 군항으로 활용하게 되자 분노와 불만은 극에 달했다. 대한제국의 반러·반일 여론은 [[한독동맹 (푸른 오얏꽃2)|한독동맹]]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고, 이는 [[한·러 연해주 영토 분쟁 (푸른 오얏꽃2)|연해주 분쟁]], [[한일 건함경쟁 (푸른 오얏꽃2)|한일 해군력 경쟁]]의 계기가 되며 [[제1차 세계 대전 (푸른 오얏꽃2)|제1차 세계 대전]]에서 폭발한다.
결과적으로 볼때 러시아 제국의 압력에 부담을 느낀 [[대한제국 (푸른 오얏꽃2)|대한제국]]이 어쩔 수 없이 간도를 제외한 영토를 다시 청나라에 반환한 것이다. 한국 대중과 [[대한제국 황립군 (푸른 오얏꽃2)|대한제국군]]은 러시아 제국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일본 제국에게 반감과 분노를 지니게 되었으며, 특히 1898년에 러시아 제국이 여순, 다련을 점령하여 군항으로 활용하게 되자 분노와 불만은 극에 달했다. 대한제국의 반러·반일 여론은 [[한독동맹 (푸른 오얏꽃2)|한독동맹]]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고, 이는 [[한·러 연해주 영토 분쟁 (푸른 오얏꽃2)|연해주 분쟁]], [[한일 해군력 경쟁 (푸른 오얏꽃2)|한일 해군력 경쟁]]의 계기가 되며 [[제1차 세계 대전 (푸른 오얏꽃2)|제1차 세계 대전]]에서 폭발한다.


<references /> 
<references /> 

2021년 5월 15일 (토) 19:15 판

개요

한청전쟁에서 승리한 대한제국이 서울 조약을 통해 청나라에게서 남만주 일대를 할양받게 되자 러시아와 일본, 영국의 3국이 대한제국에 외교적 압력을 행사한 사건.

전개 및 결과

만주로 남하하려는 러시아 제국의 니콜라이 2세는 그곳에서 대한제국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대한제국의 팽창을 경계하는 일본 제국과 영일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1]을 끌어들여 서울 조약 체결에서 6일이 지난 1892년 4월 23일 각국 대사들과 함께 대한제국 외무차관에 외교적 압력을 행사한다.

삼국의 압력에 직면한 대한제국 정부는 크게 세가지 방안을 검토한다. 첫번째는 지금 당장 연해주의 영유권을 구실 삼아 러시아와 일전을 벌이자는 것. 하지만 한청전쟁으로 국력의 소모가 너무 컸기에 이 의견을 지지하는 쪽은 거의 없었다. 두번째는 곧바로 반납하는 것이었고 세번째는 회담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었는데 남만주 일대를 청에 돌려주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그냥 돌려주면 영 모양새가 안 서니 일단 회담을 연 뒤에 여기서 돌려주는 방식을 채택하자는 주장이 우세했다. 하지만 외상 윤영익이 "회담을 벌이면 다른 문제가 제기되어 얻은 것도 놓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두번째 안이 채택된다.

결과적으로 볼때 러시아 제국의 압력에 부담을 느낀 대한제국이 어쩔 수 없이 간도를 제외한 영토를 다시 청나라에 반환한 것이다. 한국 대중과 대한제국군은 러시아 제국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일본 제국에게 반감과 분노를 지니게 되었으며, 특히 1898년에 러시아 제국이 여순, 다련을 점령하여 군항으로 활용하게 되자 분노와 불만은 극에 달했다. 대한제국의 반러·반일 여론은 한독동맹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고, 이는 연해주 분쟁, 한일 해군력 경쟁의 계기가 되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폭발한다.

  1. 당시 영국과 러시아는 그레이트 게임을 진행 중이었지만, 극동의 신흥 세력을 경계한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일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