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망매영재
기여자:금태자, Kelifonium, 키르
위망매영재는 만약 신라가 봉건 체제로서 2천년 간 이어졌다면?이라는 질문에서 개화한, 신라의 정세를 봉건화시킨 특유의 세정 체제와 그로 인한 역사적 개변을 주요 소재로 삼은 제이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통일 시대 말기, 실제보다 큰 규모로 일어난 적고적의 난으로부터 금씨 왕을 구해낸 진훤(견훤)은 일찍이 자신이 주장한 관직의 정통성을 확립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진훤이 신라의 권신으로 거듭나며 후백제는 탄생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왕건과의 밀담으로 태봉을 평정한 진훤은 당나라로부터 신라의 새로운 국호인 계림을 하사받고, 호족과 백제왕작, 그리고 자신의 씨족인 진씨가 군림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인 세정의 병마도원수로서 등극하며 역사의 축은 뒤바뀌었고, 이후 신라는 실권 없이 구름 위로 떠받들어진 금씨의 종묘신궁을 뒤로 한 채, 귀족과 무가들이 난립하는 또 다른 역사의 장으로 쓸려내려갔다.
작성예정 리스트
- 동녕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류큐 > 작성준비 > 문서화
- 일본 > 작성준비✔ > 문서화
- 중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진씨세정 > 작성준비✔ > 문서화
- 왕씨세정 > 작성준비 > 문서화
- 덕씨세정 > 작성준비✔ > 문서화
- 대계림국 > 작성준비✔ > 문서화
- 계림국 내각총리대신 > 작성준비 > 문서화
- 구 금성부 현 동경부 > 작성준비 > 문서화
계림
계림국 鷄林囯 |Keilin | ||||||||||||||||||||||||||||||||||||||||||||||||||||||
---|---|---|---|---|---|---|---|---|---|---|---|---|---|---|---|---|---|---|---|---|---|---|---|---|---|---|---|---|---|---|---|---|---|---|---|---|---|---|---|---|---|---|---|---|---|---|---|---|---|---|---|---|---|---|
국기 | 국장 | |||||||||||||||||||||||||||||||||||||||||||||||||||||
網羅四方 망라사방 | ||||||||||||||||||||||||||||||||||||||||||||||||||||||
상징 | ||||||||||||||||||||||||||||||||||||||||||||||||||||||
月金歌 (법률상) | ||||||||||||||||||||||||||||||||||||||||||||||||||||||
진달래, 살고꽃(관습상) | ||||||||||||||||||||||||||||||||||||||||||||||||||||||
닭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ki, .계림 | ||||||||||||||||||||||||||||||||||||||||||||||||||||||
국가코드 | ||||||||||||||||||||||||||||||||||||||||||||||||||||||
408, kin | ||||||||||||||||||||||||||||||||||||||||||||||||||||||
국제전화 코드 | ||||||||||||||||||||||||||||||||||||||||||||||||||||||
+82 | ||||||||||||||||||||||||||||||||||||||||||||||||||||||
개요
계림국(鷄林囯), 통칭 계림(鷄林)은 동아시아의 계림반도 및 그 부속도서로 구성된 입헌군주국이다.
동쪽으로는 신라해를 건너 일본과 접한 한편, 북서쪽으로는 중국, 북동쪽으로는 러시아의 극동 지방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 계림 반도는 크게 삼한면, 동북면, 송화면의 세 지방으로 구성되며, 남쪽을 향한 부속도서로는 탐라, 대마세마등을 지나친다.
입헌군주제를 체택하고 있는 계림국은 1945년 대계림국의 항복 이후 제 2차 세계대전의 마지막을 장식한 몰락 작전이 종결된 이듬해, 1948년 5월 8일 경 평화국헌이라고도 불리는 신국헌이 공표되며 출범하였으며, 패전의 아픔을 딛고 일어선 한강의 기적의 끝에 다시금 도약에 성공한 이후의 지금, 정개(正開)의 치세에 이른다.
오늘날의 계림은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선진국이자, 비서양권 국가 중 최초의 OECD 가입국이자 유일한 G7 회원국에 속하는 아시아 민주주의 1위의 강대국이다. 중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필즈상 수상자인 2명을 배출하였으며, 30명 이상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한편 거대한 내수시장과 자산 규모, 선진적 경제 구조, 긴밀한 미계관계에서 보장되는 안정성으로 인해 달러, 유로와 함께 세계 3대 통화로 여겨지는 계림 원(圓)의 발행국이기도 하다. GDP 세계 4위, 국부 규모 3위, 대외순자산 규모 2위, 주식시장 규모 3위, 외환보유고 규모 3위, 유네스코 분담금 규모 1~2위, IMF 투표권 2위 등 세계에서 최고로 꼽히는 수준의 지표를 보유하고 있다.[2] 반도체, 조선업, 자동차, IT, 배터리 등 각종 제조업 산업에서 강세를 보이는 기술 대국이기도 하며, 특히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한류로 통하는 애니메이션, K-POP, 게임, 웹툰,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세를 차지하는는 세계적인 문화 역량을 가지고 있다.[3]
배경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왕조와 2천년에 달하는 기나긴 역사와 전통을 가진 계림은 전근대에는 다양한 충돌과 번영기를 거쳐왔고, 개화기에 들어서는 격세지감(隔世之感)의 향연을 거쳐온 나라이다. 정묘개화로 대표되는 성공적인 근대화와 한도서기 사상에 입각한 탈아론적인 개혁이 불러일으킨 산업화와 제국주의의 바람, 이어서 맹렬한 화마로 피어오른 전화의 업을 쌓고 무너져내린 세계대전의 패전국, 제 1세계로의 편입에 이어 세계를 주름잡는 경제 대국 중 하나로서 거듭난 계림은 현대에 이르러서도 동아시아, 더 나아가자면 세계의 질서를 논하는 자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자리한 나라이다.
주전정권을 비롯한 구 계림의 모든 것을 끝낸 제 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후, 동쪽으로 붉은 깃발의 물결을 접하게 된 계림은 연합군 최고사령부하에서 제헌된 신헌법과 계미안전보장조약에 의거한 정치, 외교적 패러다임을 정립하였다. 국헌 제 1조는 유신 이전의 성황들이 그러하였듯 계림의 비정치적 임금이자 상징으로서 규명하고 있는 관계로 입헌군주제를 보장하고 있으며, 세속적인 정치는 정부 수반인 총리로 대표되는 의원내각제로 운영된다.
군대의 경우 미국의 제 1 안보위협 요소인 일본 노농공화국이 자리한 바다의 균형추로서 기능하기 위해 해상방위에 집중되어 있는 편이다. 미국과의 안보 동맹과 중국과의 교류, 정경적 줄다리기, 일본의 해양 안보 위협과 엮여 있는 계림은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외교적, 경제적 역할을 맡고 있다. 남일본 정부의 실질적인 후신인 류큐 정부와는 암묵적인 안보를 위한 협력을 이어나가는 중이나,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다소 민감한 갈등이 존재한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을 통한 국가주권의 회복과 반공 특수로 알려진 미국의 경제적인 지원은 계림이 재건을 넘어 기적과도 같은 경제적 번영을 누리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수많은 계림의 기업들이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로의 발판을 마련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그러나 꽃이 피고 지듯이, 1980년 일어난 버블경제의 붕괴는 장장 10년의 암흑기를 몰고 오는 결과를 말미암기도 하였다.
1억 4천만에 달하는 인구 중 1300만명이 살고 있는 메트로폴리스인 중경부를 주축으로 이루어지는 계림의 정치는 비교적 안정적인 양당제 민주주의의 양상을 띄고 있다. 민자당과 입민당으로 대표되는 정계 질서는 크게 보수주의와 시민주의로 나뉘어져 있고, 대개 이 두 정당 중 관을 잡은 정당의 방침에 따라 계림이 갈 길이 정해진다.
성황의 치세가 이어지고 사람들의 수명은 나날이 늘어가는 사이, 현대의 계림은 직면해야 할 숙제들을 앉고 있기도 하다. 장기간 진행되어 여전히 질풍가도를 달리고 있는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 지방 소외 문제와 계림의 군사적인 본질에 대해 또 한번의 위험한 질문을 던지는 안보 문제들이 있으며, 그 외에도 크고 작은 문제들이 아직은 채 풀리지 않은 채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천년의 역사를 헤쳐온 지혜로서 새로운 길을 찾아나설지, 혹은 어긋난 샛길에서 또 다른 좌절을 마주할지의 결과는 뽑지 않은 산가지처럼 정해지지 않았다.
삼별초의 난 시즌 2
탐라 민주국 耽羅民主國 | |||
---|---|---|---|
제남대도독인 濟南大都督印 | |||
1867년 ~ 1868년 | |||
건국 이전 | 멸망 이후 | ||
탐라번 |
제남목 | ||
제남목, 대마세마 | |||
무근향 | |||
공화제 | |||
통제사 | |||
신헌 | |||
계림어 | |||
언문 문자, 한자 | |||
계림인, 제남인, 일본인 등 | |||
1867년 9월 9일 건국 1868년 11월 21일 계탐전쟁, 멸망 | |||
개요
1867년에서 1868년 사이 계림 제남목 일대에 세정수군통제사 신헌의 주도로 덕문세정의 삼별초를 필두로 세워졌던 정권이다. 계림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 공화국이기도 하다.
통닝
동녕국 東寧國|State of Tungning | ||||||||||||||||||||||||||||||||||||||||||||||||||||||
---|---|---|---|---|---|---|---|---|---|---|---|---|---|---|---|---|---|---|---|---|---|---|---|---|---|---|---|---|---|---|---|---|---|---|---|---|---|---|---|---|---|---|---|---|---|---|---|---|---|---|---|---|---|---|
국기 | 국장 | |||||||||||||||||||||||||||||||||||||||||||||||||||||
順遂正德 순수정덕 | ||||||||||||||||||||||||||||||||||||||||||||||||||||||
상징 | ||||||||||||||||||||||||||||||||||||||||||||||||||||||
萬友歌 | ||||||||||||||||||||||||||||||||||||||||||||||||||||||
매화 (관습상) | ||||||||||||||||||||||||||||||||||||||||||||||||||||||
봉황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tn, .東寧 | ||||||||||||||||||||||||||||||||||||||||||||||||||||||
국가코드 | ||||||||||||||||||||||||||||||||||||||||||||||||||||||
158, TN, TUN | ||||||||||||||||||||||||||||||||||||||||||||||||||||||
국제전화 코드 | ||||||||||||||||||||||||||||||||||||||||||||||||||||||
+886 | ||||||||||||||||||||||||||||||||||||||||||||||||||||||
개요
동녕국(東寧國), 통칭 동녕(東寧)은 동아시아의 타이완, 하이난 섬 및 그 부속도서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북괴
일본 농민노동자공화국 日本農民労働者共和国|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Japan | ||||||||||||||||||||||||||||||||||||||||||||||||||||||
---|---|---|---|---|---|---|---|---|---|---|---|---|---|---|---|---|---|---|---|---|---|---|---|---|---|---|---|---|---|---|---|---|---|---|---|---|---|---|---|---|---|---|---|---|---|---|---|---|---|---|---|---|---|---|
국기 | 국장 | |||||||||||||||||||||||||||||||||||||||||||||||||||||
万国の労働者よ、団結せよ!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상징 | ||||||||||||||||||||||||||||||||||||||||||||||||||||||
メーデー歌 | ||||||||||||||||||||||||||||||||||||||||||||||||||||||
두루미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jp, .東寧 | ||||||||||||||||||||||||||||||||||||||||||||||||||||||
국가코드 | ||||||||||||||||||||||||||||||||||||||||||||||||||||||
392, DPJ, PJ | ||||||||||||||||||||||||||||||||||||||||||||||||||||||
국제전화 코드 | ||||||||||||||||||||||||||||||||||||||||||||||||||||||
+81 | ||||||||||||||||||||||||||||||||||||||||||||||||||||||
개요
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日本民主主義人民共和国), 또는 일공(日共)은 동아시아의 일본 열도에 위치한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망탁조의 희망편
계림 진문세정 | 甄紋勢政 | |||
---|---|---|---|
계림어기 | 가인 | ||
937년 ~ 1097년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전국시대 | |||
신라 → 계림 | |||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세정:남원경 (현 진남도 남원시) | |||
무가정권 | |||
임금 | |||
병마도원수, 섭관청정사 | |||
백제왕 | |||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 |||
중세 계림어 | |||
한자, 구결 | |||
삼한족 | |||
대승 불교 (선종 우위), 신교, 유교 | |||
정(錠) | |||
세정 설립 |
개요
진훤이 937년에 개창한 계림 최초의 세정.
실질적으로 세정이 개막된 시기는 여러 관직들을 겸직하고 있던 진훤이 신라 조정에 입조하여 병마도원수에 임명된 시기인 937년이지만, 그 이전부터 896년에 일어난 적고적의 난을 진압한 견훤의 권세는 여전히 커지고 있었기에, 실질적으론 그가 신라 서면도통에 임명된 뒤 태봉을 평정한 918년부터를 실질적인 진씨세정의 시작으로 본다.
계림사 역사상 최초의 세정인 동시에 국호의 개칭, 금성 금씨 종묘신궁의 종주의 명칭을 성황으로 하는 한편 병마도원수의 종씨들이 대대로 왕작을 하사받도록 하는 등, 훗날 이어질 계림의 문화적 제도들을 정비하였으나 말대에 이르러 고려왕을 겸직한 병마도원수들 섭관청정사들의 종횡이 이어지던 중, 결국 또 다른 유력가인 개성 왕씨 출신의 섭관청정사이자 무인인 왕희가 정변을 통해 임금에게 왕작을 하사받아 고려왕으로서 등극한 뒤, 고려세정을 개막하면서 1097년에 멸망했다.
카이징 토겐스이
계림 고려세정 | 高麗勢政 | |||
---|---|---|---|
계림어기 | 가인 | ||
1098년 5월 27일 ~ 1355년 8월 13일 | |||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진문세정 | 권문정치 | ||
개경 왕문 → 예케 몽골 올로스 → 계림 황실 → 개경 왕문 | |||
조정: 금성부 (현 동경부) 세정:남원경 (현 진남도 남원시) | |||
무가정권, 봉건제 | |||
임금 | |||
병마도원수 | |||
고려왕 | |||
[ 펼치기 · 접기 ]
| |||
중세 계림어 | |||
한자, 구결 | |||
계림인 | |||
삼교합일 (三敎合一, 불유신(佛儒神)의 습합) | |||
정(錠) | |||
세정 설립 |
개요
개경 시대에 계림을 통치한 세정.
진문세정이나 덕문세정의 이름처럼 도원수 가문의 국성을 딴 데 반해, 고려 세정의 경우 도원수 가문이 하사받은 제후왕작이였던 고려왕(高麗王)에서 명칭이 유래했다. 삼국시대의 삼국 중 하나인 고려와 무관하게, 이 제후왕작의 이름을 딴 돌다리인 고려교(高麗橋)등 개경의 몇몇 이름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한편 이 시대에는 개경이 도시로서 성장한 시기이기도 하였던 탓에, 정묘개화 이후 천수 시대에 설립된 동북면의 사립 구제대학인 수창대학의 캠퍼스가 자리잡고 있다.
전 국무총리 막부
계림 덕문세정 | 德紋勢政 | |||||||||||||||||||||||||||||||||||||||||||||||||||||||||||||||||||||||||||||||||||
---|---|---|---|---|---|---|---|---|---|---|---|---|---|---|---|---|---|---|---|---|---|---|---|---|---|---|---|---|---|---|---|---|---|---|---|---|---|---|---|---|---|---|---|---|---|---|---|---|---|---|---|---|---|---|---|---|---|---|---|---|---|---|---|---|---|---|---|---|---|---|---|---|---|---|---|---|---|---|---|---|---|---|---|
국기(사실상) | |||||||||||||||||||||||||||||||||||||||||||||||||||||||||||||||||||||||||||||||||||
상선기 | 가인 | ||||||||||||||||||||||||||||||||||||||||||||||||||||||||||||||||||||||||||||||||||
1603년 ~ 1867년 | |||||||||||||||||||||||||||||||||||||||||||||||||||||||||||||||||||||||||||||||||||
|
개요
한성 시대에 계림을 통치했던 세정으로, 계림사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세정인 한편, 최후의 무신정권이다. 이 시대를 호칭할 때에는 주로 당대 중심지였던 한성의 이름을 따서 한성세정으로 부르지만, 당시 덕풍왕이자 병마도원수였던 인물들의 성씨인 덕씨를 따 덕문세정이라고도 부른다.
K-노론
민주자유당 民主自由党 | Democratic Liberal Party | |
---|---|
약칭 | 민자당(民自党), 민자(民自), DLP |
표어 | 번영과 국민의 계림 繁榮乙哥 国民之 鷄林 |
창당일 | 1955년 9월 18일 |
통합 정당 | 계림민주당,자유당,민주공치당 (1955년 9월 18일 신설합당) |
연립여당 | 조청당 |
주소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계림국 중경부 북궐방 돈의문로 2가-12 민주자유당 중앙당사 | |
이념 | 보수주의 (계림) |
내부 계파 • 경제적 자유주의 • 사회보수주의 • 보수자유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자유보수주의 • 국수주의 | |
역사적 계파 • 고전적 자유주의 • 보수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 자유주의 • 국가조합주의 | |
정치적 스펙트럼 | 우익 빅 텐트 |
총임 | 류승민 |
참임 | 정병국 |
사무총장 | 나전경원 |
정책위원장 | 오신환 |
역대 내각총리대신 | 류승민 제 NN대(2021년 4월 5일) |
참의원
|
112석 / 230석 (48.6%) |
민의원
|
274석 / 456석 (60.1%) |
경목부도의장
|
21석 / 51석 (42.1%) |
시방현향의장
|
892석 / 2547석 (35.4%) |
경목부도의원
|
980석 / 5327석 (18.4%) |
시방현향의원
|
503석 / 7852석 (6.4%) |
국제조직 | 국제민주연합 |
당색 | 청색 (#000080) |
하늘색 (#0095DA) | |
흰색 (#FFFFFF) | |
정책연구소 | 여의도연구원 |
당보 | 민자일보(民自日報) |
청년조직 | 전국 민주 청년단(全国 民主 青年團) |
당원 수 | 1,056,639명 (2025년 기준) |
정당 보조금 | 14,715,342,000원 (2025년 중반기) |
당비수익 | 913,620,000원 (2025년 기준) |
재산총액 | 913,620,000원 (2025년 기준) |
당가 | 조국찬가 (듣기) 국민과 하나되어 (듣기) |
당기 | |
공식 사이트 | ![]() |
개요
민주자유당(民主自由党)은 계림의 빅텐트 보수정당으로, 현재 총리대신을 배출한 국회의 집권여당이다. 연립정당인 조청당과 함께 내각을 구성하고 있다. 현 총임(당수)은 민자당 공치계 출신의 유승민이다.
약칭은 민자당(民自党)[6], 영문 약칭은 Democratic Liberal Party (DLP)다. 1955년 안산창호, 송진우, 금병로 등(통칭 안송금)을 중심으로 한 삼당합당의 결실로서 창당되었으며, 창당한 이래로 대부분 기간 동안[7] 계림의 집권 정당으로 역할했다.
오랜 기간 계림의 내각에서 연달아 정권을 차지한 정당이다보니[8], 계림의 정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위치를 접하고 있으며, 민자당 산하의 파벌들과 그 파벌의 인사들을 파악하면 계림 정계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징
기원
성립
현황
민자당 강세의 이유
정강·정책
파벌
당가
지지기반
타 정당들과의 관계
역대 중앙지도부 임원 목록
역대 선거 결과
출신 총리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K-소론
입헌민정당 立憲民政党 | The Constitutional Civil Rights Party | |
---|---|
약칭 | 입민당(立民党), 입헌(立憲), CCRP |
표어 | 저물가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低物價 社會乙 作成 |
창당일 | 2014년 8월 23일 |
통합 정당 | 계림자유당, 혁신민주당 (1955년 9월 18일 신설합당) |
주소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계림국 중경부 영등포방 양평로 70가-23 입헌민정당 당사 | |
이념 | 자유주의 (계림) |
내부 계파 • 경제적 자유주의 | |
역사적 계파 • 고전적 자유주의 |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좌파 |
총임 | 노회찬 |
참임 | 문전재인 |
사무총장 | 평광재 |
정책위원장 | 항진규 |
역대 내각총리대신 | 노양무현 제 NN대(2003년 7월 21일) |
참의원
|
112석 / 230석 (48.6%) |
민의원
|
274석 / 456석 (60.1%) |
경목부도의장
|
21석 / 51석 (42.1%) |
시방현향의장
|
892석 / 2547석 (35.4%) |
경목부도의원
|
980석 / 5327석 (18.4%) |
시방현향의원
|
503석 / 7852석 (6.4%) |
국제조직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당색 | 노란색 (#FFD700) |
프러시안색 (#012136) | |
정책연구소 | 입헌연구소 |
당보 | 입헌신문(立憲新聞) |
청년조직 | 청년호헌위원회(靑年護憲委員會) |
당원 수 | 8,125,975명 (2025년 기준) |
정당 보조금 | 11,261,735,000원 (2025년 중반기) |
당비수익 | 897,742,000원 (2025년 기준) |
재산총액 | 900,135,000원 (2025년 기준) |
당가 | 우리들 (듣기) |
공식 사이트 | ![]() |
개요
상징
기원
성립
현황
정강·정책
파벌
당가
지지기반
타 정당들과의 관계
역대 중앙지도부 임원 목록
역대 선거 결과
출신 총리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대동아주의 온국들
![]()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