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st 1968, 2020 - 2022 | CC-0
대일본제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모테기 내각 (2021.10.21 - )
여당

자유민주당
 169석 307석 

공명당
 21석 23석 

남방의당
 3석 4석 
야당

일본사회당
 142석 244석 

시민 리그
 13석 30석 

일본공산당
 11석 13석 

신사회당
 3석 6석 

레이와 신센구미
 5석 3석 

차세대당
 3석 4석 

그린스 재팬
 0석 3석 
무소속  14석 11석 
공석  0석 2석 
재적 384+38석 · 650+20석
좌측은 참의원 의석 수, 우측은 중의원 의석 수
일본의 사회주의 정당
창당 일본사회당 일본사회당
신사회당
일본사회당
日本社会党
등록 약칭 사회(社会)
영문 명칭 Japan Socialist Party (JSP)
슬로건 基礎生活向上
기초 생활 향상
창당 1950년 12월
위원장 마쓰야마 아루 / 6선 (, 43~48대)
부위원장 간 나오토 / 10선 (, 35~37·40~43·46~48대)
서기장 오카다 가쓰야 / 12선 (, 37~48대)
이념 사회민주주의
사민자유주의(리버럴)[1]
진보주의

분파: 민주사회주의
혁명적 사회주의[2]
좌익대중주의
중도주의
스펙트럼 중도 ~ 극좌

주류: 중도좌파[3]
참의원 142석[4] / 384석 (36.9%)
중의원 244석[5] / 650석 (37.5%)
당색 파란색 (#173283)
하늘색 (#01A8EC)
당원 수 7,320,025명 (2022년 1월 기준)
국제조직
청년조직 일본 사회주의 청년 동맹
노동조합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6]
기관지 사회신보
홈페이지
SNS | |

개요

일본의 정당. 제1야당이자 일본 최대의 진보 정당이다. 현 위원장은 에다노 내각 시절 후생노동대신을 지낸 마쓰야마 아루.

성향

외교

정당 초기에는 사사키 고조스즈키 모사부로, 나리타 도모미 등의 인사가 강경한 친공, 친소 성향을 띄었다. 외교적으로 미국을 배척하고 소련, 공산당 정권과 친하게 지내 아시아적인 외교를 펼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이 다카코 총리 시절 터진 사회당 내란 사태로 이들은 크게 몰락하였으며 당권파에서 배제되어 1990년대 신사회당을 창당해 떨어져나갔다.

1990년대 이후로도 친소 반미는 기본적인 외교 노선으로 견지하고 있으나 소련 공산당 정권과는 경제적, 외교적, 군사적으로 협력하는 관계에 불과하며 예전과 같은 이데올로기적 동맹의 관계는 청산한지 오래이다. 또한 대미 정책은 여전히 강경하며 미일 경제 전쟁 역시 사회당이 정권을 잡았을 때 이루어졌다. 반미 성향인 군 내 강성파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다는 평가이다.

경제

사회당은 1960년대 에다 사부로 위원장이 주창한 구조개혁론의 정강에 따라 급격한 체제 변환보다는 사회 보장 국가의 건설을 목표로서 지향하고 있다. 즉 서구의 사회민주주의 정당과 성향이 일치하는 면이 있다.

"개발 독재"로도 묘사되는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시절의 경제 정책에 반대하는 과정 속에서 무작정의 개발 반대와 환경 보호, 개발 대상 지역의 원주민 보호, 작은 공동체 수호 등 환경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바탕에 둔 경제 개발을 지지하는 경향이 생겨났다.

당 내에서는 과격한 공산주의와 체제 전복을 주장하는 세력도 있지만 1970년대 이후 이들은 그저 소수파에 불과하게 되었다.

지지 기반

사회당의 지지 기반은 크게 보았을 때 도시의 중산층과 블루 칼라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농림업이나 자영업에 종사하는 계층에서는 꾸준히 자유민주당에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세대별로는 2~40대, 성별로는 여성이 강력한 지지 기반이다.

일본 해군으로부터 일부의 지지를 받고 있다. 물론 군은 정치 중립성을 지켜야하기 때문에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지만, 조슈번 출신의 기시 노부스케 일가가 현재까지도 강력한 영향력일 미치는 자유민주당에 대항하기 위해 사쓰마번을 계승하는 해군이 사회당을 지지하게 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쓰마나 조슈 같은 얘기는 너무나도 오래 전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이런 육해군 대립 자체가 정치에 있어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아니다.

대표적인 지지 단체로는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총평), 전일본 노동조합총동맹(동맹), IMF-JC(전일본 금속공업노동조합협회) 등으로 대표되는 노동조합들과, 부락민 해방 동맹 등의 민권 운동 단체들이 있다. 공공 부분 노조와 민간 부분 노조 역시 상당수가 사회당을 지지하고 있다. 총평은 1993년 신사회당 분당 사태 당시 신사회당 창당을 지지한 좌파 세력이 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을 만들며 떨어져나갔으므로 초기의 과격한 노선에 비하면 현재는 사회당 내 진보파를 지지하는 민주사회주의적인 노선을 띄고 있다.

당내 좌파 상당수가 탈당한 신사회당 창당 당시에는 총평과 공공부분 노조를 중심으로 한 조직의 이탈이 가시화되었으나 1990년대 기준으로 노동조합은 사회당의 중앙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므로 사회당이 대패한 1995년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 등을 제한다면 총평과 공공부분 노조의 이탈 이후에도 사회당은 커다란 부침 없이 여전히 큰 조직력을 갖추고 있다.

창당 초기에는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쳤으나 미이케 투쟁으로 인하여 노동조합 운동이 큰 타격을 받으면서 늦어도 1970년대 후반 이후로 사회당 내에서 노동조합의 영향력은 급감하게 되었다. 대신 사회당은 대도시의 노동자와 화이트 칼라, 여성들을 공략하며 서구의 사회민주주의 정당과 닮아가는 경향을 보였다.

역대 중앙집행위원장

중앙집행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1.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가 주창한 이념으로, 사회민주주의와 리버럴의 중간 정도에 있는 자유사회주의의 일종이다.
  2. 극좌파 계열은 신사회당으로 대부분 이탈했기에 당 내에 소수만이 남아있다.
  3. 초기에는 극좌파적인 성향이 다분하였으나 에다 사부로 총리 집권 이후로는 복지 정책을 주장하는 중도좌파적인 성향을 띄었다. 또한 1990년대 이후 좌익 파벌이 신사회당을 창당하며 떨어져나가고, 자유민주당 출신 인사도 많이 유입되며 전반적으로 당이 우경화되었다.
  4. 지역구 109석, 비례대표 33석
  5. 지역구 211석, 비례대표 33석
  6. 동맹 등 다른 지지 노조의 수도 많으나 일단 사회당의 공인 노조는 총평 하나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