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라수성: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이미지 넣기|너비=100%|정렬=center|테두리=blue|파일명=천라수성.png}}
{{이미지 넣기|너비=100%|정렬=center|테두리=blue|파일명=천라수성.png}}


{{인용문N|'''하늘의 그물은 물이 이룬다.'''<ref>{{글씨 크기|10|천라수성을 나타내는 말이며 동시에 천라수성의 한자를 직역한 말이기도 하다.}}</ref>}}
{{인용문1|'''하늘의 그물은 물이 이룬다.'''{{ref|천라수성을 나타내는 말이며 동시에 천라수성의 한자를 직역한 말이기도 하다.}}}}


'''{{글씨 테두리|#eee|blue|{{ruby|{{글씨 크기|14|天羅水成}}|{{jp|te|n|ra|su|i|se|i}}}}}}'''<ref>{{fs|10|발음은 "텐라스이세에".}}</ref>
'''{{글씨 테두리|#eee|blue|{{ruby|{{글씨 크기|14|天羅水成}}|{{jp|te|n|ra|su|i|se|i}}}}}}'''{{ref|발음은 "텐라스이세에".}}


퇴귀야담에 등장하는 퇴마사의 술법 중 하나이자, [[천 가문]]의 상징과도 같은 술법.
퇴귀야담에 등장하는 퇴마사의 술법 중 하나이자, [[천 가문]]의 상징과도 같은 술법.
동작들도 그렇고 콘셉트도 그렇고 {{exhide|ex=off|type=namu|귀멸의 칼날}}의 {{exhide|ex=off|type=namu|물의 호흡}}에서 이름만 조금 바꾼 것이다. 물론 11, 12형과 최종형은 독자적이다.


== 상세 ==
== 상세 ==
16번째 줄: 18번째 줄:
천라수성의 모든 동작들에는 마치 물을 연상케 하는 물살의 검기가 생긴다. 이 물살은 아주 강한 수압을 가져서, 물이라는 액체 특유의 비고정적 성질과 더불어 스치기만 해도 갈갈이 찢어발기는 듯한 참상을 남긴다.
천라수성의 모든 동작들에는 마치 물을 연상케 하는 물살의 검기가 생긴다. 이 물살은 아주 강한 수압을 가져서, 물이라는 액체 특유의 비고정적 성질과 더불어 스치기만 해도 갈갈이 찢어발기는 듯한 참상을 남긴다.


물살과도 같은 검기가 나타나는 거지, '''실제 물을 다루는 검술이 아니다.''' 단적인 예로 '''이 검술로 발생한 물살에 맞는다고 해도 물살에 의해 찢긴 흔적만 있을 뿐 전혀 젖거나 하진 않는다.''' <u>물과 같은 검술일 뿐 물의 검술이 아니라는 것</u>이다.
물살과도 같은 검기가 나타나는 거지, '''실제 물을 다루는 검술이 아니다.''' 단적인 예로 '''이 검술로 발생한 물살에 맞는다고 해도 물살에 의해 찢긴 흔적만 있을 뿐 전혀 젖거나 하진 않는다.''' {{u|물과 같은 검술일 뿐 물의 검술이 아니라는 것}}이다.


== 기본 동작 ==
== 기본 동작 ==
각 동작에 숫자로 번호를 매기고 뒤에 형(形) 자를 붙여 구분한다. 뒤로 갈수록 동작이 위력적이고 광범위해지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1형부터 10형까지 10개 동작이 존재하며, 그외에는 개인의 고유형이다. 1형을 제외하고 2형부터 10형으로 갈수록 이름의 글자수가 늘어나는 것도 특징.
각 동작에 숫자로 번호를 매기고 뒤에 형(形) 자를 붙여 구분한다. 뒤로 갈수록 동작이 위력적이고 광범위해지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1형부터 10형까지 10개 동작이 존재하며, 그외에는 개인의 고유형이다. 1형을 제외하고 2형부터 10형으로 갈수록 이름의 글자수가 늘어나는 것도 특징.
=== 1형 ===
=== 1형 ===
{{ruby|1형・파도괘|一形・波濤罫}}
{{ruby|1형・파도괘|一形・波濤罫}}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베기. 방향은 횡, 종, 사선 상관 없다. 검격이 지난 자리에 남는 물살의 검기가 마치 파도가 이루는 구불거리는 곡선과도 같아 파도괘라 지어졌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베기. 방향은 횡, 종, 사선 상관 없다. 검격이 지난 자리에 남는 물살의 검기가 마치 파도가 이루는 구불거리는 곡선과도 같아 파도괘라 지어졌다.
=== 2형 ===
=== 2형 ===
{{ruby|2형・수륜|二形・水輪}}
{{ruby|2형・수륜|二形・水輪}}


일반적인 베기처럼 보이지만, 베고 지나간 자리에 생긴 물살의 검기가 둥근 고리의 모양을 띤다. 즉 전방향 공격이 가능한 동작이라는 것.
일반적인 베기처럼 보이지만, 베고 지나간 자리에 생긴 물살의 검기가 둥근 고리의 모양을 띤다. 즉 전방향 공격이 가능한 동작이라는 것.
=== 3형 ===
=== 3형 ===
{{ruby|3형・곡우|三形・曲雨}}
{{ruby|3형・곡우|三形・曲雨}}


거의 동시처럼 보일 정도로 아주 빠르게 종으로 두 번 베는 동작. 전방을 향하지만 좌우 각도가 약간 틀어져 손톱의 참격 같기도 하다.
거의 동시처럼 보일 정도로 아주 빠르게 종으로 두 번 베는 동작. 전방을 향하지만 좌우 각도가 약간 틀어져 손톱의 참격 같기도 하다.
=== 4형 ===
=== 4형 ===
{{ruby|4형・적로|四形・滴露}}
{{ruby|4형・적로|四形・滴露}}


유일한 찌르기 동작. 잔잔한 수면 위에 떨어지는 물방울처럼 한 점을 노려 찌른다. 물살의 검기는 생기지 않지만 물방울에 수면이 일렁거리는 듯한 파동이 일어난다.
유일한 찌르기 동작. 잔잔한 수면 위에 떨어지는 물방울처럼 한 점을 노려 찌른다. 물살의 검기는 생기지 않지만 물방울에 수면이 일렁거리는 듯한 파동이 일어난다.
=== 5형 ===
=== 5형 ===
{{ruby|5형・급류|五形・急流}}
{{ruby|5형・급류|五形・急流}}


공중에서 나선을 그리며 돌아 몸을 던져 베는 동작. 상당히 어지럽고 난해한 움직임을 보이는 탓에 그 동작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공중에서 나선을 그리며 돌아 몸을 던져 베는 동작. 상당히 어지럽고 난해한 움직임을 보이는 탓에 그 동작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 6형 ===
=== 6형 ===
{{ruby|6형・수상월|六形・水上月}}
{{ruby|6형・수상월|六形・水上月}}


고속의 비틀림과 회전으로 회피와 동시에 참격을 날리는 동작. 회피 및 반격에 특화된 동작이며, 회피한 자리에는 잔상이 남는데 이는 상대의 역량이 뛰어날수록 더욱 짙고 오래 남아 혼란을 가중한다.
고속의 비틀림과 회전으로 회피와 동시에 참격을 날리는 동작. 회피 및 반격에 특화된 동작이며, 회피한 자리에는 잔상이 남는데 이는 상대의 역량이 뛰어날수록 더욱 짙고 오래 남아 혼란을 가중한다.
=== 7형 ===
=== 7형 ===
{{ruby|7형・적림기|七形・積霖期}}
{{ruby|7형・적림기|七形・積霖期}}


전방을 나선 모양으로 넓게 여러 번 내질러 베는 동작. 물살의 검기 덕에 단순한 참격마저도 광역기로 만드는 천라수성 중에서도 특히 방대한 광역기다. 그 물살이 이루는 모습이 마치 소용돌이 같다.
전방을 나선 모양으로 넓게 여러 번 내질러 베는 동작. 물살의 검기 덕에 단순한 참격마저도 광역기로 만드는 천라수성 중에서도 특히 방대한 광역기다. 그 물살이 이루는 모습이 마치 소용돌이 같다.
=== 8형 ===
=== 8형 ===
{{ruby|8형・회수라|八形・回水螺}}
{{ruby|8형・회수라|八形・回水螺}}


온몸을 비틀어 몸을 두르는 나선 소용돌이 모양의 참격을 전방위로 날리는 동작. 10형을 제외하면 7형 적림기와 더불어 천라수성에서 가장 방대한 광역기다. 7형이 전방을 향해 소용돌이를 쏜다면 8형을 저를 중심으로 소용돌이를 만들며, 때문에 7형의 하위호환일 것 같지만 소용돌이 자체는 8형이 더 크다.
온몸을 비틀어 몸을 두르는 나선 소용돌이 모양의 참격을 전방위로 날리는 동작. 10형을 제외하면 7형 적림기와 더불어 천라수성에서 가장 방대한 광역기다. 7형이 전방을 향해 소용돌이를 쏜다면 8형을 저를 중심으로 소용돌이를 만들며, 때문에 7형의 하위호환일 것 같지만 소용돌이 자체는 8형이 더 크다.
=== 9형 ===
=== 9형 ===
{{ruby|9형・수천일벽|九形・水天壹碧}}
{{ruby|9형・수천일벽|九形・水天壹碧}}


베어낼 때 물살의 검기가 보이지 않고, 칼끝은 일렁이는 수면처럼 희미하게 보이게 하는 동작. 물살의 검기는 없어진 것이 아니라 안 보이는 것이라 이와 더불어 상대가 검의 사정거리와 방향을 제대로 간파하기 힘들게 한다.
베어낼 때 물살의 검기가 보이지 않고, 칼끝은 일렁이는 수면처럼 희미하게 보이게 하는 동작. 물살의 검기는 없어진 것이 아니라 안 보이는 것이라 이와 더불어 상대가 검의 사정거리와 방향을 제대로 간파하기 힘들게 한다.
=== 10형 ===
=== 10형 ===
{{ruby|10형・어룡장화|十形・魚龍將化}}
{{ruby|10형・어룡장화|十形・魚龍將化}}
66번째 줄: 78번째 줄:


[[현천]]의 고유형. 검을 바닥으로 내리치듯 수직으로 강하게 베어 찍는 동작. 이때 발생하는 물살은 마치 절벽에서 흘러 떨어지는 폭포수와도 같다.
[[현천]]의 고유형. 검을 바닥으로 내리치듯 수직으로 강하게 베어 찍는 동작. 이때 발생하는 물살은 마치 절벽에서 흘러 떨어지는 폭포수와도 같다.
=== 12형 ===
=== 12형 ===
{{ruby|12형・멸검|十二形・滅劍}}
{{ruby|12형・멸검|十二形・滅劍}}


[[현천]]의 고유형. 마기를 한껏 끌어모아 구의 형태로 쏘아내는, 멸급의 마귀만이 가능하다는 멸옥(滅玉)을 검에 흡수하고 둘러 거대한 검기를 쏘아낸다.
[[현천]]의 고유형. 마기를 한껏 끌어모아 구의 형태로 쏘아내는, 멸급의 마귀만이 가능하다는 멸옥(滅玉)을 검에 흡수하고 둘러 거대한 검기를 쏘아낸다.
=== 최종형 ===
=== 최종형 ===
{{스포일러}}
{{스포일러}}
{{인용문N|인간으로 태어나,<br>스칠 뿐인 생채기에도 아파하던 고귀함을 지니고,<br>돌연 영안을 떠 [[퇴마사]]로 살아가는 [[마멸회|우리]]에게 주어진 일은...<br>'''[[마귀|너희]] 같은 지독한 것들을 깨부수는 일이다.'''|[[천태인]], 홍련과의 전투 中 천라수성의 최종형을 사용하면서}}
 
'''{{ruby|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ruby|혈우|血雨}}'''
{{인용문1|인간으로 태어나,<br>스칠 뿐인 생채기에도 아파하던 고귀함을 지니고,<br>돌연 영안을 떠 [[퇴마사]]로 살아가는 [[마멸회|우리]]에게 주어진 일은...<br>'''[[마귀|너희]] 같은 지독한 것들을 깨부수는 일이다.'''|[[천태인]], 홍련과의 전투 中 천라수성의 최종형을 사용하면서}}
 
{{center|{{fs|14|{{ruby|{{c|blue|복수불반분}}|{{c|gray|覆水不返盆}}}}<br>'''{{ruby|{{c|red|혈우}}|{{c|gray|血雨}}}}'''}}}}
{{brbr}}


[[천태인]]의 고유형. 이름인 복수불반분을 직역하면 "한번 쏟은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다", 즉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자폭기를 암시한다. 뜻풀이 그대로 이 동작은 자폭기이며, 동시에 10형 어룡장화를 뛰어넘는 '''천라수성의 진정한 최강의 품새'''이다.
[[천태인]]의 고유형. 이름인 복수불반분을 직역하면 "한번 쏟은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다", 즉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자폭기를 암시한다. 뜻풀이 그대로 이 동작은 자폭기이며, 동시에 10형 어룡장화를 뛰어넘는 '''천라수성의 진정한 최강의 품새'''이다.
84번째 줄: 101번째 줄:


== 사용자 ==
== 사용자 ==
* '''천 가문 전원'''
* '''[[천 가문]] 전원'''
* 천백강
* 천백강
* 리윤페이
* 리윤페이
* 천하랑
* 천하랑
* 천태운
* 천태운
* [[천태인]]<ref>{{글씨 크기|10|추가로 최종형 사용 가능.}}</ref>
* [[천태인]]{{ref|추가로 최종형 사용 가능.}}
* [[도세음]]<ref>{{글씨 크기|10|천태인의 연인이었던 자로, 천태인의 사후 그의 신기를 몸에 받아들임으로써 일부 동작만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ref>
* [[도세음]]{{ref|천태인의 연인이었던 자로, 천태인의 사후 그의 신기를 몸에 받아들임으로써 일부 동작만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 [[현천]]<ref>{{글씨 크기|10|추가로 11형, 12형 사용 가능.}}</ref>
* [[현천]]{{ref|추가로 11형, 12형 사용 가능.}}
* [[샤오랑]]
* [[샤오랑]]



2023년 12월 6일 (수) 18:40 기준 최신판

분류:
천라수성의 계보
[ 펼치기 · 접기 ]

개요

하늘의 그물은 물이 이룬다.[1]

天羅水成(てんらすいせい)[2]

퇴귀야담에 등장하는 퇴마사의 술법 중 하나이자, 천 가문의 상징과도 같은 술법.

동작들도 그렇고 콘셉트도 그렇고 귀멸의 칼날물의 호흡에서 이름만 조금 바꾼 것이다. 물론 11, 12형과 최종형은 독자적이다.

상세

술법이라고는 하나 술법에 사용되는 신기보다도 술법을 이루고 있는 동작 그 자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큰 술법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신기로도 술법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기가 소진된 상태에서도 동작만을 펼쳐 마귀에 대응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검술이기 때문에 천 가문의 대부분은 천라수성과 더불어 천 가문의 상징인 귀어멸검으로 천라수성을 구현하지만 귀어멸검이 아닌 지극히 평범한 검으로도 얼마든지 술법을 구현할 수 있다.

천라수성의 모든 동작들에는 마치 물을 연상케 하는 물살의 검기가 생긴다. 이 물살은 아주 강한 수압을 가져서, 물이라는 액체 특유의 비고정적 성질과 더불어 스치기만 해도 갈갈이 찢어발기는 듯한 참상을 남긴다.

물살과도 같은 검기가 나타나는 거지, 실제 물을 다루는 검술이 아니다. 단적인 예로 이 검술로 발생한 물살에 맞는다고 해도 물살에 의해 찢긴 흔적만 있을 뿐 전혀 젖거나 하진 않는다. 물과 같은 검술일 뿐 물의 검술이 아니라는 것이다.

기본 동작

각 동작에 숫자로 번호를 매기고 뒤에 형(形) 자를 붙여 구분한다. 뒤로 갈수록 동작이 위력적이고 광범위해지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1형부터 10형까지 10개 동작이 존재하며, 그외에는 개인의 고유형이다. 1형을 제외하고 2형부터 10형으로 갈수록 이름의 글자수가 늘어나는 것도 특징.

1형

1형・파도괘(一形・波濤罫)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베기. 방향은 횡, 종, 사선 상관 없다. 검격이 지난 자리에 남는 물살의 검기가 마치 파도가 이루는 구불거리는 곡선과도 같아 파도괘라 지어졌다.

2형

2형・수륜(二形・水輪)

일반적인 베기처럼 보이지만, 베고 지나간 자리에 생긴 물살의 검기가 둥근 고리의 모양을 띤다. 즉 전방향 공격이 가능한 동작이라는 것.

3형

3형・곡우(三形・曲雨)

거의 동시처럼 보일 정도로 아주 빠르게 종으로 두 번 베는 동작. 전방을 향하지만 좌우 각도가 약간 틀어져 손톱의 참격 같기도 하다.

4형

4형・적로(四形・滴露)

유일한 찌르기 동작. 잔잔한 수면 위에 떨어지는 물방울처럼 한 점을 노려 찌른다. 물살의 검기는 생기지 않지만 물방울에 수면이 일렁거리는 듯한 파동이 일어난다.

5형

5형・급류(五形・急流)

공중에서 나선을 그리며 돌아 몸을 던져 베는 동작. 상당히 어지럽고 난해한 움직임을 보이는 탓에 그 동작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6형

6형・수상월(六形・水上月)

고속의 비틀림과 회전으로 회피와 동시에 참격을 날리는 동작. 회피 및 반격에 특화된 동작이며, 회피한 자리에는 잔상이 남는데 이는 상대의 역량이 뛰어날수록 더욱 짙고 오래 남아 혼란을 가중한다.

7형

7형・적림기(七形・積霖期)

전방을 나선 모양으로 넓게 여러 번 내질러 베는 동작. 물살의 검기 덕에 단순한 참격마저도 광역기로 만드는 천라수성 중에서도 특히 방대한 광역기다. 그 물살이 이루는 모습이 마치 소용돌이 같다.

8형

8형・회수라(八形・回水螺)

온몸을 비틀어 몸을 두르는 나선 소용돌이 모양의 참격을 전방위로 날리는 동작. 10형을 제외하면 7형 적림기와 더불어 천라수성에서 가장 방대한 광역기다. 7형이 전방을 향해 소용돌이를 쏜다면 8형을 저를 중심으로 소용돌이를 만들며, 때문에 7형의 하위호환일 것 같지만 소용돌이 자체는 8형이 더 크다.

9형

9형・수천일벽(九形・水天壹碧)

베어낼 때 물살의 검기가 보이지 않고, 칼끝은 일렁이는 수면처럼 희미하게 보이게 하는 동작. 물살의 검기는 없어진 것이 아니라 안 보이는 것이라 이와 더불어 상대가 검의 사정거리와 방향을 제대로 간파하기 힘들게 한다.

10형

10형・어룡장화(十形・魚龍將化)

천라수성 최강의 품새. 거대한 용의 형상이 나타나 검과 함께 나아간다. 동작의 시전 준비만 해도 일대가 마치 파도에 출렁이는 대양과 같은 형세가 된다. 용은 머리만 해도 사람 한 명 정도의 크기를 아득히 넘고, 그 용과 함께 나아가는 검은 너무나도 폭발적인 속도에 잔상마저 제대로 보이지 않는 지경이다.

그외 동작

11형

11형・용소(十一形・滝壺)

현천의 고유형. 검을 바닥으로 내리치듯 수직으로 강하게 베어 찍는 동작. 이때 발생하는 물살은 마치 절벽에서 흘러 떨어지는 폭포수와도 같다.

12형

12형・멸검(十二形・滅劍)

현천의 고유형. 마기를 한껏 끌어모아 구의 형태로 쏘아내는, 멸급의 마귀만이 가능하다는 멸옥(滅玉)을 검에 흡수하고 둘러 거대한 검기를 쏘아낸다.

최종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인간으로 태어나,
스칠 뿐인 생채기에도 아파하던 고귀함을 지니고,
돌연 영안을 떠 퇴마사로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어진 일은...
너희 같은 지독한 것들을 깨부수는 일이다.
천태인, 홍련과의 전투 中 천라수성의 최종형을 사용하면서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혈우(血雨)

천태인의 고유형. 이름인 복수불반분을 직역하면 "한번 쏟은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다", 즉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자폭기를 암시한다. 뜻풀이 그대로 이 동작은 자폭기이며, 동시에 10형 어룡장화를 뛰어넘는 천라수성의 진정한 최강의 품새이다.

지금까지의 천라수성이 남기는 물살의 검기가 전부 참격만 주는 허상에 불과했다면, 이 동작의 물살은 허상이 아닌 진짜 물살이 된다. 물을 만들어 낼 수는 없으므로 수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사용하는데, 근처에 수원이 있을 경우 그곳의 물을 가져오지만 여의치 못할 경우 자신의 체내 수분을 사용하며, 추가로 자신의 혈액을 기술에 사용한다.

둘러싼 공간 전체가 10형처럼 거센 파도가 치는 대양처럼 변하고 여기에 추가로 비바람을 몰고 오는데, 혈액을 사용하는 만큼 이 모든 물이 붉다. 천라수성의 푸른 물살들 중 유일한 붉은 물살이기도 하다. 이 붉은 물들에는 모두 천태인 본인의 짙은 신력이 담긴 혈액이 섞여 있으므로 빗방울에 맞는 것만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 혈액을 사용할 뿐 아니라 그 혈액에 전부 농도 짙은 신력이 담겨 있으므로 자폭기인 것.

동작 자체는 10형과 비슷하다. 거대한 용의 형상과 함께 폭발적으로 돌진하는 것. 하지만 용의 크기는 머리만 해도 사람 한 명을 아득히 넘을 정도고, 마찬가지로 용마저 붉다. 그만큼 위력과 파괴력은 기존 최강의 형이었던 10형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다.

사용자

기타

  1. 천라수성을 나타내는 말이며 동시에 천라수성의 한자를 직역한 말이기도 하다.
  2. 발음은 "텐라스이세에".
  3. 추가로 최종형 사용 가능.
  4. 천태인의 연인이었던 자로, 천태인의 사후 그의 신기를 몸에 받아들임으로써 일부 동작만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5. 추가로 11형, 12형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