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실용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실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수정이나 왜곡은 불가합니다.
유형 표어문자
표기언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민어, 객가어, 상어, 광동어, 오어, 류큐어, 베트남어
사용시기 기원전 14세기 경 ~ 현재
사용국가 중화권 및 동아시아 문화권
ISO 15924 Hani
한자의 표기법
중국어
간체자 汉字
정체자 漢字
한어병음 Hànzì
주음부호 ㄏㄢˋ ㄗˋ
IPA [xân.tsɨ̂]
오어
상하이 로마자 변환 [høz]
간어
로마자 변환 hon5-ci5
객가어
로마자 변환 hon55 sii55
광동어
로마자 변환 hon-jih
월병 hon3-zi6
IPA [hɔ̄ːn.tsìː]
민난어
조어병음 hang3 ri7
POJ hàn-jī
중고한어
중고한어 xanCdzɨC
베트남어
베트남어 Hán tự
쯔놈 漢字
한국어
한글 한자
한자 漢字
로마자 변환 Hanja
일본어
간지 漢字
히라가나 かんじ
가타카나 カンジ
로마자 변환 Kanji
크메르
크메르 문자 តួអក្សរចិន

개요

한자(漢字)는 중국에서 기원하여 동아시아 권역에서 사용되는 표어문자이다. 자국어의 표기에 공식적으로 한자를 사용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대만), 일본을 비롯해 대한민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역사

자형

馬의 변천사
馬를 예시로 보인 한자의 변천

한자는 사물의 모양을 본뜬 갑골문에서 기원하여 금문, 전서, 예서, 해서와 초서, 행서 등 다양한 서체로 발전해 왔다. 갑골문(甲骨文)은 거북의 배딱지나 짐승의 뼈에 새긴 글자로, 한자의 기원으로 취급받는다. 중국 고대 상(商)나라 시절 점을 친 결과를 거북 등딱지에 기록한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금문(金文)은 청동으로 만든 솥이나 종 등에 새겨놓은 글자이다. 전서(篆書)는 소전과 대전으로 나뉘는데, 대전(大篆)은 진시황이 문자를 통일하기 이전 지역 각지마다 달랐던 글자를 나타내는 말로 통용되나, 넓게는 진시황 통일 이전의 한자인 갑골문과 금문도 대전에 해당한다. 전국시대 7웅의 글자는 제각각의 자형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문서에 첨부된 대전은 진나라의 자형이다. 이후 진(秦) 시황제 때 승상 이사(李斯)가 중국 지방 각지의 자형을 통합하여 만든 자형을 소전(小篆)으로 칭한다. 예서(隸書)는 소전을 편하게 쓰기 위해 만들어진 서체로, 이 때부터 현재 한자와 유사한 모양을 가지게 되었다. 사서에 의하면 진시황 때 정막(程邈)이 만들었다고 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익숙한 한자의 모습은 해서(楷書)로, 육조시대를 거쳐 당나라 때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초서와 행서는 필기체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초서(草書)는 최소한의 모양만 유지한 채 획을 흘려 쓴 형태이나, 과도하게 흘려 쓴 탓에 쉽게 읽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어]의 히라가나가 초서체에서 유래하였다. 행서(行書)는 초서의 단점을 보완한 형태로, 초서와 달리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쉽게 읽을 수 있다.

한반도

한자는 기원전 2세기 경 위만조선 시기에 한반도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한자를 사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해 이두(吏讀), 구결(口訣), 향찰(鄕札)이 만들어져 널리 쓰였다. 1443년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후에도 대중적으로 사용되던 한자는 개화기와 왜정을 겪으며 국한문혼용체로 이어지다가 박정희 정권의 한글화 정책에 의해 그 사용이 크게 줄었으며, 현재에 들어서는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은 없다시피 하다.

일본

섬나라인 일본에서는 기원후 5세기 경에 들어서야 백제에 의해 한자가 전래되었다. 일본 역시 한국의 향찰과 유사한 만요가나(万葉仮名)를 사용하여 자국어를 표기하였으며, 이는 현재 일본의 문자인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기원이 되었다. 히라가나는 한자의 초서체를 변형하여, 가타카나는 한자의 일부 획만을 취하여 만들어졌다.

베트남

중국 왕조의 지배 하에 오래 놓여있던 베트남은 비교적 빨리 한자를 수용하였다. 13세기에 만들어진 베트남 고유의 한자 쯔놈(字喃)은 20세기까지 베트남어의 표기 수단으로 활약하였으나, 프랑스의 지배를 겪으며 쯔놈보다 간단한 라틴어 표기법인 쯔꾸옥응으를 수용하게 되었다.

기타

이민족인 거란과 서하 민족 역시 한자와 유사한 형태를 지닌 거란 문자와 서하 문자를 독창적으로 창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