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통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역대 청 황제 (동방)}}
{{역대 청 황제 (동방)}}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00386a;max-width:450px;"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00386a;max-width:450px;"
! colspan="5" width="450px" style="padding: 6px 0px 3px 0px; background-color: #00386a; color: #fecd21; font-size: 12.5pt; line-height: 1.7em" | [[파일:Imperial standard of the Qing Emperor.svg|20px]][[옹청|<span style="color: #fecd21; font-size: 12.5pt;">옹청]] 초대 황제<Big><br>憲武帝<br></Big>헌무제
! colspan="5" width="450px" style="padding: 6px 0px 3px 0px; background-color: #00386a; color: #fecd21; font-size: 12.5pt; line-height: 1.7em" | [[파일:Imperial standard of the Qing Emperor.svg|20px]][[옹청|<span style="color: #fecd21; font-size: 12.5pt;">옹청]] 초대 황제<Big><br>成祖 太皇帝<br></Big>성조 태황제
|-
|-
! colspan="5"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제2대 순친왕 아이신기오로 자이펑.jpg]]
! colspan="5"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제2대 순친왕 아이신기오로 자이펑.jpg]]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묘호
! colspan="1" rowspan="2"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출생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성조(成祖)'''
| colspan="4" style=" | 1883년 2월 12일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시호
| colspan="4" style=" | 청나라 직예성 북경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창성계운소헌각명유의평세이현정세충영헌무황제태황제<ref>[[옹청]]에서 올린 시호</ref><br><br>(正世忠營憲武皇帝)<ref>한국에서 올린 시호</ref>
|-
|-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출생
! colspan="1" rowspan="2"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사망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883년 2월 12일
| colspan="4" style=" | 1953년 6월 2일 (70세)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청나라 직예성 북경
| colspan="4" style=" | [[옹청]] 섬서성 서안
|-
|-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사망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능묘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953년 6월 2일 (70세)
| colspan="4" align=left style=" | 경릉(敬陵)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옹청|청나라]] 섬서성 서안시
! colspan="1" rowspan="4"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재위
| colspan="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청 감국섭정왕'''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능묘
| colspan="4" style="" | 1910년 5월 2일 ~ 1945년 12월 31일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경릉(敬陵)
|-
|-
! colspan="1" rowspan="4"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재위
| colspan="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옹청|<span style="color: #fecd21;">옹청]] 황제'''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청 감국섭정왕'''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910년 5월 2일 ~ 1939년 12월 31일
| colspan="4" style="" | 1946년 1월 1일 ~ 1953년 6월 2일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옹청|<span style="color: #fecd21;">옹청]] 황제'''
| colspan="5" style="border: 0px; background: none;" | <div id="toggle-1stemwq" class="toggleBtn" data-target="collapsible-1stemwq"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 #00386a; color: #ffd400; margin: -4.5px -10px -6.5px; padding: 4px 0px 5px; min-height: 26px; font-size:100%;">'''[ 펼치기 · 접기 ]'''</div>
<div id="collapsible-1stemwq" style="display: none; margin: 0px -13px 4px -15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style="margin: 4.5px -10px -12px 3px; 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 background: #fff; font-size: 100%"
|-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940년 1월 1일 ~ 1953년 6월 2일
! colspan="1" width="24%" style="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성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 #fff; |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연호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 선통(宣統)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 #fff; | 자이펑(載灃, ᡯᠠᡳ ᡶᡝᠩ)
|-
|-
| colspan="5" style="background:#00386a;" |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부모
<div class="mw-customtoggle-gwangseo"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text-align:center; color:#fecd21; font-size: 10.5pt;">'''[ 펼치기 · 접기 ]'''</div>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 #fff; | 부친 조문왕 애신각라 혁현<br>친모 소복진 유가씨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wangseo"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font-size: 9pt; 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형제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background: #fff; |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 #fff; | 이복형 [[광서제|공종 경황제]]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배우자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background: #fff; | 자이펑(載灃, ᡯᠠᡳ ᡶᡝᠩ)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 #fff; | 효정황후 구왈기야씨<br>문귀비 텅자씨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부모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자녀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background: #fff; | 부친: 조문왕 애신각라 혁현<br>친모: 소복진 유가씨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 #fff; | 장남 [[혜의제]]<br>차남 [[순성제|효종 의황제]]<br>그 외 1남 7녀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형제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묘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background: #fff; | 이복형 [[광서제 (동방)|덕종 광서제]]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23fff; | '''성조(成祖)'''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배우자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시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background: #fff; | 효정황후 구왈기야씨<br>문귀비 텅자씨
| colspan="4" align=left style="background:#fff;" | 창성계명헌소유의이현평세충영헌무'''태황제'''<br>(昌聖係明獻昭裕義彛玄平世忠營憲武'''太皇帝''')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10.5pt; 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자녀
! colspan="1" width="24%" style="color: #fecd21; background: #00386a;" | 연호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10.5pt; background: #fff; | [[말제(양청)|말제]]외 3남 7녀
| colspan="4" align=left style=" | '''선통(宣統)'''
|}
|}
|}
|}
66번째 줄: 63번째 줄:
{{clearfix}}
{{clearfix}}
= 개요 =
= 개요 =
{{인용문7|'''하늘이 청나라를 저버렸구나! 청나라의 명이 다하였구나!'''<br>(天棄淸! 淸命絶!)|헌무제가 [[신안대전]]에서 패한뒤 내뱉은 탄식}}
{{인용문7|'''하늘이 청나라를 저버렸구나! 청나라의 명이 다하였구나!'''<br>(天棄淸! 淸命絶!)|헌무제가 [[보계 전투]]에서 패한뒤 내뱉은 탄식}}
[[옹청]] 초대 황제이자, 청나라의 2대 순현친왕. 시호는 헌무황제(憲武皇帝), 연호는 선통(宣統). [[세조 (동방)|세조]] 황제는 헌무제를 정식 황제로 인정하여 헌무황제라는 시호를 올렸으나 적법한 절차를 통해 제위를 승계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묘호는 올리지 않았다.
[[옹청]] 초대 황제이자, 청나라의 2대 순현친왕. 묘호는 성조(成祖), 시호는 태황제(太皇帝), 연호는 선통(宣統). [[세조 (동방)|세조]] 황제는 헌무제를 정식 황제로 인정하여 헌무황제라는 시호를 올렸으나 적법한 절차를 통해 제위를 승계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묘호는 올리지 않았다. 그러나 1988년 옹청측에서 올린 묘호와 시호를 인정하였고 위패를 태묘에 모셨다. 시호는 태황제고, 여타 청 황제는 연호+제로 부르는 관습상 '선통제'로 호칭해야 하나 한국 민간에서는 절대다수가 헌무제로 부른다.


[[광서제 (동방)|광서제]]의 선양으로 청나라가 실질적으로 멸망한 뒤에도 각지의 친황실 세력을 이끌어 중국 섬서, 감숙, 사천 일대에서 청조를 재건한뒤 초대 황제가 되었다. 이후 서조남민북공(西朝南民北共)<ref>천하를 서부의 청나라, 남부의 중화민국, 북부의 중국 공산당이 가른다는 의미</ref>를 구호로 내걸고 천하삼분지계를 이룩하려 하였으나 [[신안대전]]에서 공산군에게 참패한뒤 서안에서 내응한 반란군에게 사로잡혀 교살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유능했던 인물이고 국가의 기반을 닦은 명군이었으나 전투 하나로 몰락하여 최후를 맞이한 군주라는 점에서 전진 세조 부견에 비교되기도 한다.
[[광서제 (동방)|광서제]]의 선양으로 청나라가 실질적으로 멸망한 뒤에도 각지의 친황실 세력을 이끌어 중국 섬서 일대에서 청조를 재건한뒤 초대 황제가 되었다. 이후 세력을 키워 중원과 사천성을 장악하였으며 장강을 사이에 두고 [[중화민국 (동방)|중화민국]]과 대치하는 양대 세력으로 거듭났으나 신장에서 세력을 키우다 동진한 공산군에게 [[보계 전투]]에서 패한뒤 서안에서 내응한 반란군에게 사로잡혀 교살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유능했던 인물이고 국가의 기반을 닦은 명군이었으나 전투 하나로 몰락하여 최후를 맞이한 군주라는 점에서 전진 세조 부견에 비교되기도 한다.


= 생애 =
= 생애 =
각지의 복벽파 세력(특히 감숙, 섬서, 사천, 호북, 하남성 지역의)을 이끌고 청조 재건에 힘썼다. 이후 조카인 [[대한국 (동방)|한국]] 만주왕으로 있던 [[김건|베키투]]를 청 황제로 추대하려 하였으나 그가 훙하자 주위 신료의 설득에 직접 청 황제 자리에 올랐다.
== 초기 생애 ==
각지의 복벽파 세력(특히 감숙, 섬서, 사천, 호북, 하남성 지역의)을 이끌고 청조 재건에 힘썼다. 이후 [[대한국 (동방)|한국]] 만주왕으로 있던 조카 [[김건|베키투]]를 청 황제로 추대하려 하였으나 그가 훙하자 주위 신료의 설득에 직접 청 황제 자리에 올랐다.
== [[대한국 (동방)|한국]]에 [[하북봉기|대항하다.]] ==
1907년 10월 2일, 구국군은 하북성 남부 제남에서 [[제남 전투|최후의 전투]]를 벌였으나 한국군에게 패배하였고 자이펑은 잔존 병력을 이끌고 태산에서 농성을 벌였다. 황하 이북만 통치할 생각이었던 한국은 자이펑을 가만 두었다가는 하북 통치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 판단, 태산 남부의 태안과 래무를 점령하여 구국군을 포위 섬멸하려 하였다. 그러나 12월 6일, 약 2천여명의 구국군은 태안 동부에 위치한 한국군의 약한 거점을 공략하여 포위망을 뚫었고 약 90km를 행군하여 제녕시로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 서안에서 ==
== 제위에 오르다 ==


다행히 헌무제의 유해를 무사히 빼돌린 옹청 신하들은 유해를 한국에 있던 만왕 일가에게 송환했고 1954년 2월 7일 [[심양도급시|심양]]에서 장례가 치러졌다.
== 최후 ==
궁내에서 내응한 반군들은 잠시동안이나마 진압당했고 그틈을 타 헌무제의 유해는 무사히 수습되었다. 유해는 한국에 있던 만왕 일가에게 송환되었고 1954년 2월 7일 [[성경특별시|심양]]에서 장례가 치러졌다. 선통제는 하북에 있던 청서릉에 묻혔고 능호는 경릉으로 했다. 이후 2001년 5월 성도에 있던 아들 [[순성제|효종 의황제]]의 강릉(康陵) 옆으로 이장되었다.

2024년 2월 27일 (화) 11:38 기준 최신판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청 황제
[ 펼치기 · 접기 ]
옹청 초대 황제
成祖 太皇帝
성조 태황제
출생 1883년 2월 12일
청나라 직예성 북경
사망 1953년 6월 2일 (70세)
옹청 섬서성 서안
능묘 경릉(敬陵)
재위 청 감국섭정왕
1910년 5월 2일 ~ 1945년 12월 31일
옹청 황제
1946년 1월 1일 ~ 1953년 6월 2일
[ 펼치기 · 접기 ]

개요

하늘이 청나라를 저버렸구나! 청나라의 명이 다하였구나!
(天棄淸! 淸命絶!)
헌무제가 보계 전투에서 패한뒤 내뱉은 탄식

옹청 초대 황제이자, 청나라의 2대 순현친왕. 묘호는 성조(成祖), 시호는 태황제(太皇帝), 연호는 선통(宣統). 세조 황제는 헌무제를 정식 황제로 인정하여 헌무황제라는 시호를 올렸으나 적법한 절차를 통해 제위를 승계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묘호는 올리지 않았다. 그러나 1988년 옹청측에서 올린 묘호와 시호를 인정하였고 위패를 태묘에 모셨다. 시호는 태황제고, 여타 청 황제는 연호+제로 부르는 관습상 '선통제'로 호칭해야 하나 한국 민간에서는 절대다수가 헌무제로 부른다.

광서제의 선양으로 청나라가 실질적으로 멸망한 뒤에도 각지의 친황실 세력을 이끌어 중국 섬서 일대에서 청조를 재건한뒤 초대 황제가 되었다. 이후 세력을 키워 중원과 사천성을 장악하였으며 장강을 사이에 두고 중화민국과 대치하는 양대 세력으로 거듭났으나 신장에서 세력을 키우다 동진한 공산군에게 보계 전투에서 패한뒤 서안에서 내응한 반란군에게 사로잡혀 교살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유능했던 인물이고 국가의 기반을 닦은 명군이었으나 전투 하나로 몰락하여 최후를 맞이한 군주라는 점에서 전진 세조 부견에 비교되기도 한다.

생애

초기 생애

각지의 복벽파 세력(특히 감숙, 섬서, 사천, 호북, 하남성 지역의)을 이끌고 청조 재건에 힘썼다. 이후 한국 만주왕으로 있던 조카 베키투를 청 황제로 추대하려 하였으나 그가 훙하자 주위 신료의 설득에 직접 청 황제 자리에 올랐다.

한국대항하다.

1907년 10월 2일, 구국군은 하북성 남부 제남에서 최후의 전투를 벌였으나 한국군에게 패배하였고 자이펑은 잔존 병력을 이끌고 태산에서 농성을 벌였다. 황하 이북만 통치할 생각이었던 한국은 자이펑을 가만 두었다가는 하북 통치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 판단, 태산 남부의 태안과 래무를 점령하여 구국군을 포위 섬멸하려 하였다. 그러나 12월 6일, 약 2천여명의 구국군은 태안 동부에 위치한 한국군의 약한 거점을 공략하여 포위망을 뚫었고 약 90km를 행군하여 제녕시로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서안에서

제위에 오르다

최후

궁내에서 내응한 반군들은 잠시동안이나마 진압당했고 그틈을 타 헌무제의 유해는 무사히 수습되었다. 유해는 한국에 있던 만왕 일가에게 송환되었고 1954년 2월 7일 심양에서 장례가 치러졌다. 선통제는 하북에 있던 청서릉에 묻혔고 능호는 경릉으로 했다. 이후 2001년 5월 성도에 있던 아들 효종 의황제의 강릉(康陵) 옆으로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