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혁명: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13번째 줄:
안드로포프는 일린에게 사형 선고를 내리지 않았고 정신 이상을 명목으로 정신 병원에 수감시켰다. 소련의 최고지도자를 암살하려 했던 사람이 정상적인 정신을 가지고 있다면 이는 곧 체제에 대한 불만이 만연함을 공인하는 것과 다름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브레즈네프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난지 2달 만에 중소 국경 분쟁이 발발하면서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이 가시화되었다. 1969년 말, 소련이 아닌 중국을 따르기 시작하는 사회주의 국가가 생기자 소련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체제의 한계를 느끼고 결국 개혁을 위한 쿠데타를 계획하게 됐다. 안드로포프가 가장 먼저 진행한 일은 거사 시 KGB와 자신을 도울 군내 비밀 사조직을 결성하게 하는 것이었다.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서기장의 전공을 부풀리도록 강한 압박을 받았음에도 거절해온 [[알렉산더 포크리쉬킨]] 당시 소련 방공군 부사령관을 포섭했다. 1970년 4월,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설적인 조종사였던 포크리쉬킨은 안드로포프의 요청대로 [[프룬제 군사대학]] 출신의 장교들로 이루어진 사조직을 결성한다. [[프룬제 볼셰비키]]라고 불리는 이 조직에는 당시 소련 해군 북방함대 참모장이었던 [[게오르기 예고로프]], 소련 육군 제2근위전차군 사령관이었던 [[블라디미르 고보로프]]와 같은 고위 장교부터 [[발레리 사블린]] 등, 젊은 정치 장교들도 가입했다.
안드로포프는 일린에게 사형 선고를 내리지 않았고 정신 이상을 명목으로 정신 병원에 수감시켰다. 소련의 최고지도자를 암살하려 했던 사람이 정상적인 정신을 가지고 있다면 이는 곧 체제에 대한 불만이 만연함을 공인하는 것과 다름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브레즈네프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난지 2달 만에 중소 국경 분쟁이 발발하면서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이 가시화되었다. 1969년 말, 소련이 아닌 중국을 따르기 시작하는 사회주의 국가가 생기자 소련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체제의 한계를 느끼고 결국 개혁을 위한 쿠데타를 계획하게 됐다. 안드로포프가 가장 먼저 진행한 일은 거사 시 KGB와 자신을 도울 군내 비밀 사조직을 결성하게 하는 것이었다.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서기장의 전공을 부풀리도록 강한 압박을 받았음에도 거절해온 [[알렉산더 포크리쉬킨]] 당시 소련 방공군 부사령관을 포섭했다. 1970년 4월,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설적인 조종사였던 포크리쉬킨은 안드로포프의 요청대로 [[프룬제 군사대학]] 출신의 장교들로 이루어진 사조직을 결성한다. [[프룬제 볼셰비키]]라고 불리는 이 조직에는 당시 소련 해군 북방함대 참모장이었던 [[게오르기 예고로프]], 소련 육군 제2근위전차군 사령관이었던 [[블라디미르 고보로프]]와 같은 고위 장교부터 [[발레리 사블린]] 등, 젊은 정치 장교들도 가입했다.


===스토로제보이 호 장악===
===혁명의 신호탄===
===크렘린 습격===
===크렘린 습격과 모스크바 점령===
===레닌그라드 입성===
===혁명===
 
==제2의 10월 혁명==
==제2의 10월 혁명==
==결과==
==결과==

2021년 8월 30일 (월) 09:40 판

11월 혁명
Ноябрьская революция

레닌그라드로 진격하는 스토로제보이 호
날짜
1975년 11월 8일
장소
소비에트 연방 소련 레닌그라드
소비에트 연방 소련 모스크바
결과
혁명파의 승리
교전국
혁명파
소련 공산당
지휘관
유리 안드로포프
게오르기 예고로프
알렉산더 포크리쉬킨
블라디미르 고보로프
발레리 사블린
알렉산드르 셰인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레치코
안드레이 그로미코


11월 혁명(러시아어: Ноябрьская революция)은 소련 해군 정치장교 발레리 사블린국가보안위원회 주석 유리 안드로포프가 1975년 11월 8일 소비에트 연방 레닌그라드모스크바에서 일으킨 혁명이다. 이 혁명으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이 실각했으며, 노멘클라투라가 몰락했다. 또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알렉산데르 둡체크 서기장이 내세운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현실사회주의를 대체했다. 이는 극도로 경직된 관료주의 사회였던 소비에트 연방이 변화하는 계기였다.

배경

당시 서기장이었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1968년 11월,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통해 당해 8월에 일어난 프라하의 봄을 막기 위해 진행했던 군사적 개입을 정당화했다.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공산주의에 적대적인 세력이 공산주의 국가를 자본주의 국가로 변화시키려 하거나 공산주의 국가가 소련의 영향에서 벗어나려는 행동을 할 때 개별 국가의 주권은 제한될 수도 있다는 내용의 독트린이다. 이는 1956년 헝가리 혁명을 포함한 동구권의 민주화 요구를 탄압하고 앞으로의 민주화 가능성 역시 차단하겠다는 의미였다. 또한 소련 내부를 개혁하려는 의지 역시 보이지 않으며 소련 사회를 더 경직시키고 보수적으로 만들었다. 결국 소련은 노멘클라투라를 중심으로한 극심한 관료주의와 부정부패의 늪에 빠져들게 됐다. 브레즈네프의 이런 행보는 소련 내외에서 큰 불만을 야기했다. 실제로 1969년 1월 22일, 빅토르 일린이 암살을 시도했을 정도로 브레즈네프 체제에 대한 불만은 강해지고 있었다.

과정

빅토르 일린과 KGB

1969년 1월 22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암살 미수범인 빅토르 일린은 체포된 직후 KGB로 이송되었다. 일린은 조사 과정에서 유리 안드로포프에게 직접 암살 동기를 밝혔다. 일린은 지질학자가 되고자 지형기술학교에 입학했었는데 이때 소련의 많은 지역을 돌아다니며 빈곤, 알코올 중독 등으로 황폐해진 모습을 봤다고 말했다. 일린은 TV에서 보던 모습과는 상반되는 현실에 소련 지도부가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깨달았다고 했다. 이에 일린은 정체된 소련의 체제를 변화시키고자 천연자원 판매 수익금을 모든 시민에게 재분배하는 내용 등의 개혁안을 브레즈네프 앞으로 보냈지만 답장을 받지 못했고 결국 암살을 결심하게 됐다고 했다. 거기다 일린은 소련이 프라하의 봄을 중단시키기 위해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과 함께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면서 변화의 의지를 완전히 상실했다고 생각해 괴로웠다고 설명했다. 안드로포프는 이런 일린의 생각에 큰 충격을 받았다. 상당수의 소련 시민들이 브레즈네프 아래의 소련 체제에 불만을 가지고 있으며 서기장의 목숨까지 위협할 정도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는 사실에 사회주의 진영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안드로포프는 일린에게 사형 선고를 내리지 않았고 정신 이상을 명목으로 정신 병원에 수감시켰다. 소련의 최고지도자를 암살하려 했던 사람이 정상적인 정신을 가지고 있다면 이는 곧 체제에 대한 불만이 만연함을 공인하는 것과 다름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브레즈네프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난지 2달 만에 중소 국경 분쟁이 발발하면서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이 가시화되었다. 1969년 말, 소련이 아닌 중국을 따르기 시작하는 사회주의 국가가 생기자 소련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체제의 한계를 느끼고 결국 개혁을 위한 쿠데타를 계획하게 됐다. 안드로포프가 가장 먼저 진행한 일은 거사 시 KGB와 자신을 도울 군내 비밀 사조직을 결성하게 하는 것이었다. 안드로포프는 브레즈네프 서기장의 전공을 부풀리도록 강한 압박을 받았음에도 거절해온 알렉산더 포크리쉬킨 당시 소련 방공군 부사령관을 포섭했다. 1970년 4월,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설적인 조종사였던 포크리쉬킨은 안드로포프의 요청대로 프룬제 군사대학 출신의 장교들로 이루어진 사조직을 결성한다. 프룬제 볼셰비키라고 불리는 이 조직에는 당시 소련 해군 북방함대 참모장이었던 게오르기 예고로프, 소련 육군 제2근위전차군 사령관이었던 블라디미르 고보로프와 같은 고위 장교부터 발레리 사블린 등, 젊은 정치 장교들도 가입했다.

혁명의 신호탄

크렘린 습격과 모스크바 점령

혁명

제2의 10월 혁명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