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20 페디손 자동소총


개요

자동소총-20 '페디손'(아우트론악시필리-20 '페디손', Autron Aksipili-20 'Pederson')은 제1차 대전쟁기 사용된 루이나 제국군의 제식 반자동소총이다. 특이하게 이름은 '자동소총'인데 당시에는 볼트를 당기지 않고 자동으로 차탄이 장전되면 '자동소총'으로 분류됬기 때문이다. AK-9 자동소총도 이에 해당한다.

상세

AK-20
역사 전쟁원년~전후기 41년
개발 및 생산 냐이스 황립 조병창
사용국 루이나 제국
제원
종류 후장식 소총
탄약 8x44mm 그라우제
장탄수 10발
작동 방식 반자동(가스 작동식)
총열 길이 648mm
전장 1,183mm (총검 미부착)
중량 3.1 kg
발사 속도 70 RPM
탄속 880m/s
최대 사거리 611m
총검 S2 철검
유탄 발사기 G60 유탄 발사기


역사

전전기 11년 AK-9 자동소총을 개발한 후 AK-9A의 자동장전 속도를 조금이라도 빠르게 하기 위해 연구를 하던 냐이스 황립 조병창 소속 공학자들과 안드리우 페디손 개발부장은 각종 기계식 장치들을 설계하던 중 가스 작동식의 반자동 방식을 고안하게 된다. 그리고 이 방식으로 AK-20의 전전기 9년 초기형인 AK-9G를 개발하지만 볼트의 내구성과 큰 반동으로 연사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고 설상가상으로 AK-9에 개발에 집중하라는 상부의 명령으로 인해 AK-9G는 그렇게 잊혀지게 된다. 그러나 이 총에게도 기회가 찾아오니 제1차 대전쟁이 발발하며 AK-9의 문제점이 속속들이 발견된 것이다. AK-9의 문제점이 고질적이라는 것을 깨닳은 제국 군사부는 냐이스 황립 조병창에게 새로운 작동방식의 소총 개발을 명령하게되고 이로 인해 무기한 보류되었던 AK-9G 프로젝트가 제개되게 되고 AK-9G를 개선한 EAK-20이 군에 채택되며 EAK-20은 AK-20이라는 제식명칭을 달고 전장에 투입되게된다.

새로 보급된 AK-20은 최전선 장병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고 대전쟁 8년동안 제국 병사들의 곁을 지켰다. 이후 BA-48 아니머 경기관총으로 제식소총이 교체된 이후에도 경찰, 해안경비대등 다양한 곳에서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