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국 목록 ]
[ 설정 목록 ]

현재 접속하신 문서에서 모바일 열람이 감지되었습니다.
PC에서의 열람을 권장합니다.



우크라이나
Україна

잿속에서의 부활
돈바스부터 흑해 해안까지 모든 곳에 그림자 드리웠습니다.
동부는 연방에 충성하는 매국노들이 자리 잡았으며 서부는 정치적 폭력과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인정하기 싫지만 조국을 위해서는 조국의 일부와 싸워야 합니다.
전쟁은 삶의 일부가 되었고 잿속에서의 부활을 위한 내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세력


   
리비우 정부   국민저항전선   국가구원군


미수복 영토
말로로씨아 연방

역사


바람 혁명과 태동기

우크라이나의 친러 성향의 정부였던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권이 대침체 이후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가 붕괴하고 유럽을 비롯한 서방권이 경제 위기로 몰락하며 친서방 정책을 철회하고 친러 정책을 밀어 붙였다. 이 여파로 우크라이나 서부에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경제 종속 위협을 이유로 반러 시위가 시작되었고 우익 반러 정치 세력이 이에 참여하며 우크라이나의 범민족주의 혁명인 바람 혁명이 발생하게 된다.

2014년, 모든 표식을 제거한 러시아군이 크림 반도의 친러 민병대와 합세하여 지방 라다를 점령하고 크림 공화국을 선포했다. 이후 친러파의 활동이 거세지기 시작했으며 러시아인들이 다수 분포한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일대인 돈바스에서 러시아군의 지원아래 친러 국가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반군들에 의해 선포되고 우크라이나 정부군이 이를 제지하기 위해 군사를 투입하며 돈바스 전쟁이 시작되었다.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점령과 돈바스 전쟁이라는 긴박 상황 때문에 당시 초강경 반러파였던 아르세니 야체뉴크가 대통령으로 당선되게 되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반발을 키웠고 두 국가 모두 자신의 안보에 위협이 되던 상황이 이어졌다. 또한 돈바스 전쟁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지지부진 했고 전선이 고착화되며 몇년 동안 의미 없는 피해만 늘어갔다. 반면 10년 평화의 시기를 보내던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지원 요청을 무시하고 사태를 방관하며 국민적인 반미 감정이 생겨나며 바람 혁명은 가속화 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그러던 와중 2019년, 미국의 외무장관인 랜드 폴과 딕 체니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새로운 외교정책인 대중국 포위망을 완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러시아와 협력하기 시작했고 친서방 노선을 걷던 우크라이나는 큰 위기에 빠진다. 결국 어떠한 강대국들의 지지없이 홀로 남겨진 우크라이나는 2019년 1월, 러사아군의 침공을 받게 된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네오 나치 정권으로 부터 러시아인들을 보호하고 유럽에서의 나치즘을 뿌리 뽑기 위한 특수 군사작전이라는 명분을 국제 사회에 내세우며 군대를 동원했고 개전 초기부터 우크라이나군은 패배를 반복하게 된다. 당시 우크라이나군은 제대로 된 지휘체계가 없이 따로 노는 판국 이었고 거기에 아조우 연대와 같은 민병대들이 끼어들며 혼란은 가중되었다.

2019년 3월 20일, 개전 3개월 만에 우크라이나의 수도인 키이우의 코앞까지 러시아군이 들어왔고 키이우는 시민들과 군인들에 의해 요새화 되어 몇주간 공방전을 치루게 되었다. 이 공방전으로 키이우의 시가지는 폐허가 되고 많은 민간인들이 도시에서 빠져나가지 못한체 폭격을 피하는 모습이 인터넷을 통해 퍼지며 전 세계적인 반전운동이 일어난다. 여러 저항에도 4월 3일 키이우가 함락되었으며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군의 사기는 크게 꺾이고 몇번의 탈환 시도를 하게 되나 실패한다. 이후 우크라이나군은 게릴라 전술을 통해 저항을 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러시아군에게 유의미한 피해를 입히는데 성공한다. 덕분에 러시아군은 키이우를 제외하고 드니프로강 서부에서 후퇴하게 되었으며 전쟁을 쉬쉬하던 국제 정세 속에서도 우크라이나를 지원한 폴란드와 체코 덕에 동부 영토를 수복하기 위한 계획인 서풍 작전을 준비하게 돈다.

그러나 전쟁은 장기전으로 치달았고 우크라이나군은 자포리자 원전을 포기하고 일부로 붕괴 시켜 러시아군을 동부로 후퇴 시키나 이러한 강경한 조치는 러시아의 마지막 카드였던 핵무기까지 꺼내게 만들었고 핵전쟁의 공포와 다른 국가들의 평화 조약 압박으로 결국 7월 18일, 미르고르드 정전 협정이 체결 되며 드니프로 강을 기준으로 동쪽 영토를 잃고 혼란에 빠지게 된다.


전후 우크라이나

정전 협정이 체결 된 이후 키이우는 국경 도시가 되어 리비우로 수도를 이전하고 경제 구조를 재편한다. 아르세니 애체뉴크 정부는 전시 상황을 이유로 선거를 연기하고 계엄령을 선포했으며 동방 영토 재수복이라는 공약으로 무자비하게 군사 개혁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공적을 올린 아조우 연대는 특수부대로 내무군에 편입되는 등 민병대들이 정규군으로 인정 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계엄령이 2년 이상 계속되자 저항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일부 정당 정치인들과 탈영 군인들, 자유 러시아군이 합류하며 국민저항전선이 처음 창설되고 배우 출신 정치인이자 전쟁중 전국민적인 지지를 받던 블로디미르 젤렌스키가 합류하며 더 큰 힘을 얻게 되었다. 극단주의 또한 판을 치며 내셔널리즘과 네오나치들이 만든 준군사조직인 국가구원군이 만들어 졌다. 아조우 연대는 병사들의 이탈로 인해 국가구원군과 2024년,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반군 제압에 실패하며 내전이 시작되었고 여러 군사 조직이 교전을 치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