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실용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실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수정이나 왜곡은 불가합니다.

한국어족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부여어
고구려
백제어
신라어

표준어
문화어
한국어 방언
해외 한국어
제주어
육진 방언
연변 사투리
* 중국 조선어, 재일 한국어, 미주 한인어, 중앙아시아 한국어 등을 포함한다.
조선말
North Korean
유형 교착어
어순 S-O-V
서자방향 죄횡서, 우종서
문자 한글(조선글)
점자 한글 점자
지역 북한 전역
원어민 약 3,500만여 명

개요

조선말은 북한이 채택하는 한국어의 한 종류이며, 북한의 표준어이다. 문화어는 조선말 중 한국의 표준어에 해당하는 지위이며, 사실상 한국어와 조선말은 같은 언어이다.

《조선말대사전》(1992년)에 의하면,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라고 되어있다. 

또 《조선말규범집》(1998년) 중의 《문화어발음법》 총칙에 따르면 「조선말발음법은 혁명의 수도 평양을 중심지로 하고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이룩된 문화어의 발음에 기준한다」라고 한다. 이와 같은 규정들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는 평양말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표준어 제정의 역사적 경위를 고려하면 조선말은 순수한 평양 방언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서울사투리를 중심으로 한 중부사투리를 바탕으로 하여 그것에 평양방언기적인 요소와 순화에 의한 어휘정리성과따위를 약간 더하면서 이룬것으로 생각된다.

특징

남한에서는 영어 등 외래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어휘를 북한에서는 순수한 고유어나 한자어로 바꾸어 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횡단보도(한국어) - 건늠길(조선말)
판정승(한국어) - 점수이김(조선말)

외래어로 유입된 외국어 낱말들은 러시아어, 중국어, 영어, 일본어가 쓰이며, 다른 나라의 이름 표기법은 러시아어 발음과 비슷하게 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미국의 언어인 영어의 영향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어인 문화어는 러시아 등의 구 공산권이던 동유럽 국가들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국가명 표기도 표준어는 영어의 영향을 받은 반면, 조선말로는 원어를 존중하여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 정책에서는 형태주의를 한자음에도 적용해, 동일 한자의 한자음은 단어의 어느 위치에서든 항상 동일하게 발음하기로 했기 때문에, 어두에 오는 음소의 제약(어두에는 'ㄹ'이나 '녀, 뇨, 뉴, 니'가 올 수 없다.)인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문화어는 한자음 본연의 소리 그대로를 적는 방식을 채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