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munist 1968, 2022 | CC-0
부여황제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횡빈사태
橫浜事態 | Hoengbin Incident
시민군을 진압하는 시위 진압군의 모습.
날짜
1982년 7월 12일 ~ 1982년 7월 31일
장소
부여 일본 관동도 횡빈현급시
관동도 일대 지역
원인
하단 항목 참조
교전 세력
부여
부여 황제군
횡빈시 민병대
일본국 자치정부
횡빈 시민군
대일본제국 임시정부
일본공산당
지원 세력
제정당 미국
영국
부여국민당
지휘관
인종 황제
세종 상황
전성주
서현진
홍영재
김의용
최무경
김소전
아키바 겐이치로
요시다 하지메
인적 피해
36명[1] 사망
163명[2] 부상
27[3] ~ 8,000[4]명 사망
20명 실종
3,000여명 부상
결과
시민군의 패배, 봉기 진압 성공
영향
내각총리제도 폐지 및 군사독재 강화
일본 독립운동 세력의 쇠퇴
민주주의 운동권의 쇠퇴

지도를 불러오는 중...

사태가 일어난 횡빈현급시의 위치

개요

서로 폭력적으로 대하는 사람들은 모두 패자가 될 것이고, 그런 사람들이 살고 있는 국가는 실패한 국가가 될 것이다. 유적과 파편만이 남은 현장에 승자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답이 자명하지 않은가?
인종의 소요사태 종결 이후 연설

1982년 7월 횡빈현급시에서 일어난 일련의 소요 사태를 뜻한다.

부여 역사상 최대규모의 민주화 운동이다. 시민군 병력만 하더라도 1~2만명 규모로 추정되며, 시위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인원만 따지자면 수십만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급진적인 반제국주의 세력과 결합하여 폭력 시위의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에 대항해 부여황제군이 무자비한 진압 작전을 펼쳐 장기적으로 부여의 민주화 운동이 쇠퇴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으로 인해 큰 충격을 받은 부여 황실 및 군부 독재 정권은 제2의 횡빈 사태를 막기 위해 민주화 및 야당 세력을 철저히 감시하여 분쇄하는 작전으로 회귀하였으며, 이는 부여의 민주주의를 크게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명칭

부여 정부 측에서는 횡빈사태(橫浜事態)로 부를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해당 사건을 시위도, 폭동도 아닌 소요 사태로 여기는 가치중립적인 명칭이다. 본래는 횡빈폭동이나 횡빈소요사태 등으로 하자는 여론이 높았지만, 인종 황제가 억울하게 죽은 시민들을 위한 예의가 아니라면서 스스로 횡빈 사태라고 불려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민주화 운동권 및 지하 세력에게는 횡빈민주화운동, 횡빈민중항쟁, 횡빈혁명 등 세가지 명칭으로 주로 불리고 있다. 우익 성향 민주화운동가들에게는 민주화운동으로, 좌익 성향 민주화운동가들에게는 민중항쟁이라고 불리는 경향이 있다. 부여 황제군의 잔혹한 진압에 집중하는 일부는 횡빈학살이라고 부른다.

한편 교과서에서는 횡빈사태나 사건이 일어난 날짜에서 따온 7.12 사태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국에서는 부여 정부의 이름을 본따 Hoengbin Incident라고 하지만 부여 황실에 비판적인 언론들은 Hoengbin Uprising(횡빈봉기)이나 Hoengbin Massacre(횡빈학살)이라고 부른다.

원인

전개

피해

부여 정부 측에서는 단 27명만이 사망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전투 도중 사망한 민간인만을 추린 것이다. 얼마나 많은 시민군이 사망하였는지는 부여 정부 측에서 공개하지 않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무고하게 죽은 시민마저 시민군으로 간주하여 카운팅하지 않았음이 거의 확실하다는 점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소재를 둔 극렬한 반부여, 반황실 부여계 언론인 선데이 저널최소 3만, 최대 7만 5천명 학살 설을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현실성이 없는 수치이다. 일단 이정도 수치라면 준 내전급이라는 소리가 되기 때문이다.

역사학자들은 대체로 5천명에서 8천여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중 시민군은 4~5,000명, 민간인이 2~4,000명 가량이다. 일반적으로는 8,000명 사망설이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평가

부여 내에서의 평가

외국에서의 평가

영향

여담

  1. 군인 22명, 경찰 14명
  2. 군인 103명, 경찰 60명
  3. 부여 정부 추산
  4. 시위대 및 해외 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