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영연방령 싱가포르 자치왕국
The Commonwealth's Singapore Autonomous Kingdom
국기
국장
국가 정보
위치
국가 표어 A guardian of the Indian Ocean
(영어:인도양의 수호병) [1]
국가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God Save The Queen)
수도 싱가포르 북위 1° 17′ 00″ 동경 103° 50′ 00″
공용어 영어
역사 정보
독립 1945년 8월 15일
영국 총독 부임 1945년 9월 12일
정치 정보
정부 형태 영연방령 싱가포르 자치 왕국, 입헌군주제, 의원 내각제, 다당제
국가원수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
총리 리처드 헨리 스피어스
경제
1인당 GDP 61,046$ (3위)
GDP (PPP) 327,519,425,763$ (38위) 2016년 어림값
그외 정보
국토 면적 718.3km² (190 위)
시간대 SST (UTC) (UTC+8)
인구 5,469,700명 (115위)
인구밀도 6,389명 (3위)
HDI 0.895 (18위) 2017년 조사
국가도메인 .sg
통화 싱가포르 파운드 [[ҫ₤]]
참조
  1. 인도양을 지키는 영국왕의 수호병이자, 인도양 무역의 중심임을 강조한다.

영연방령 싱가포르 자치왕국영연방의 소속국이며, 영국의 여왕이 국가원수이다. 공용어는 영어이며, 국가위원회에서 총리 및 내각을 구성한다. 보통선거를 통해 국가위원회를 구성한다.



역사

1819년 영국 동인도 회사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경이 조호르의 술탄과 계약을 맺어 지역을 장악하였고, 국제 무역항으로 개발하였다. 1858년 영국령 인도 제국이, 1867년 부터는 영국의 정부가 직접 통치하였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해 1942년 2월 15일 점령되었으며, 1945년 9월 12일 영국군이 탈환하였다.


영국령 싱가포르

1819년 1월 28일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경이 싱가포르에 상륙하였고, 싱가포르를 대아시아 무역의 중요한 거점으로 파악했다. 네덜란드인과 부기인을 통치하던 조호르의 술탄의 영토였던 싱가포르는 조호르의 술탄이 파벌간의 분열과 텐쿠 압둘 라흐만의 세력이 리아우 제도로 추방된 그의 형 텐쿠 롱에 충성하면서 세력이 약해지자, 템 웅공의 도움으로 래플스 경은 텡쿠 롱을 싱가포르로 복귀시켰다.래플스 경은 텐쿠 롱의 조호르 술탄으로서의 정통성을 인정하였으며, 술탄 후세인의 칭호와 연간 $5000를, 템 웅공에게는 연간 $3000의 자금을 제공하였다. 술탄 후세인은 영국에게 싱가포르에서 교역소를 건설할 권리를 부여하였으며, 1819년 1월 6일 협정을 체결하였다.

1824년, 술탄과의 협약으로 싱가포르는 영국의 소유가 되었다. 1826년 , 싱가포르는 영국령 인도 제국의 관할권 하에 있는 해협 식민지의 일부가되어 1836년에 수도가 되었다. 래플스 경의 상륙 이전에 싱가포르에는 약 1천 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소수의 중국인과 다수의 말레이인들로 구성되어 있었다1860년에는 8만여 명으로 인구가 늘어났으며, 인구의 절반 이상을 중국인이 구성하고 있었다. 초기의 이민자 중 다수가 후추와 갬비 풍 농업에 종사하였다. 후일 고무 산업이 말라야와 싱가포르에서 구축되었을 때, 1890 년대 에이 섬은 고무의 선별과 수출의 중심지가 되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비교적 전화가 크게 번지지 않았기에, 싱가포르는 제 1 차 세계 대전 (1914-18)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전쟁 중 유일하게 중요하게 작용한 사건은 1915 년에 발생한 싱가포르에서 수감된 영국 인도 출신의 이슬람교도들에 의한 반란이었다. 무슬림 국가인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위해 퇴역시킬 것이라는 소문이 들린 후, 군인들은 반란을 일으켰다. 조호르와 버마에서 도착한 비 이슬람교도 군대에 의해 반란이 진압되었으나, 장교들과 여러 민간인들이 살해당했다.

1887년 래플스 호텔이 설립되었으며, 제 1 차 세계 대전 후 영국군은 방어적인 싱가포르 전략의 일환으로 대규모 해군 기지를 건설했다. 원래 1923 년에 발표 된 기지 건설은 1931 년 만주에 대한 일본의 침략 시기까지 천천히 진행되었습니다. 1939 년 완공되었으며, 이 공사는 5 억달러의 막대한 비용이 소모된 세계 최대의 드라이 도크였고, -세계 3위의 플로팅 도크, 6개월 동안 영국 해군 전체를 지원할 연료 탱크가 구축되었다. 이는 실로소 요새(Fort Siloso), 캐닝 요새(Fort Canning) 및 래브라도르(Labrador)에 배치되었던 15 인치 해안포과 텧가(Tengah) 공군 기지의 왕립 공군 비행장에 의해 방어되었다. 윈스턴 처칠 (Winston Churchill)은 이를 "동방의 지브롤터"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군사적 명칭으로는는 단순히 "동방의 수에즈"라고 종종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 해군기지에 함대는 주둔하지 않았다. 영국 함대는 유럽에 주둔했으며 영국은 아시아에 대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제2 함대를 구축할 여력이 없었다. 비상시에는 본국의 함대가 싱가포르로 신속히 전개할 계획이었으나, 1939 년 제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함대는 영국 본토의 방위에 전념할 수 밖에 없었다.


제 2차 세계대전

제 2 차 세계 대전일본 제국군남방 계획을 실시하면서 영국말라야를 침략하였고, 싱가포르에서 전투는 절정에 달했다. 1942 년 2 월 15 일 6 만명의 영국군이 항복하자, 윈스턴 처칠 (Winston Churchill) 영국 총리는 이 패배를 영국 역사상 최악의 재앙과 최대 항복이라고 탄식했다. 싱가포르와의 전투에서 영국의 패배는 치명적이었고, 말라야 전투 초기 85,000 명의 병력이 포로로 잡혔다. 약 5,000 명이 사망하거나 부상 당했고, 그 중 호주인이 다수를 차지했다. 싱가포르 전투 중 일본 제국군의 사상자는 1,714 명이고, 3,378 명이 부상을 입었다. 싱가포르의 점령은 일본, 영국, 그리고 식민지였던 싱가포르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되었다. 일본 신문들은 이 승리를 전황을 결정짓는 중대한 승리라고 보도하였을 정도였다. 싱가포르는 "남쪽의 빛"을 의미하는 Syonan-to (昭南 島 Shōnan-tō)로 개명되었다. 5,000 명에서 25,000 명의 중국인이 일본 제국군에 의해 자행된 수칭 대학살 (Sook Ching massacre)에 의해 학살당했다.

임팔 작전이 개시되자, 도조 히데키의 지원으로 일본군은 싱가포르 주둔 병력을 차출하여 버마 방면군에 배속시켰고, 이에 따라 일본군 제 7 방면군타나베 중장이 이끄는 제 25군 산하의 다나카 신이치 중장이 이끄는 제 18사단이 이동하였다. - 작성중

영국군은 1945 년에 싱가포르를 해방시키고자 했으나, 작전 시행 이전에 종전되었다. 그 후 1945 년 9 월 일본 항복에 이어 영국, 인도, 호주 군이 싱가포르를 재점령했다. 한편 토모유키 야마시타 (Tomoyuki Yamashita)는 전쟁 범죄에 대한 미군 위촉위원회 (Military Commission)에 의해 재판을 받았지만 말라야 (Malaya) 또는 싱가포르 (Singapore)에서 그의 군대가 범한 범죄에 대해서는 재판에 회부되지 않았다. 그는 유죄 판결을 받고 1946 년 2 월 23 일 필리핀에서 교수형을 언도받고 형이 집행되었다. 이후 1946년 3월 13일, 영국의 신탁통치 결정이 내려지면서, 싱가포르에 미군 위촉위원회 대신 싱가포르 최고 회의소 (Britain's Singapore Prime Chamber)가 정부로써 기능하게 되었다. 이후 영국 육군의 헌병대가 치안을 유지하게 되었고, 싱가포르에 설립되어 있던 항만시설은 영국 해군이 그대로 운용하였다. 1946년 5월 7일 싱가포르 최고 회의소는 1948년까지 싱가포르 자치 정부의 수립을 약속하고 싱가포르 치안대를 조직하였는데, 이는 싱가포르 육군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싱가포르 치안대는 영국인 및 말레이인, 화교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나, 사관들의 대다수가 영국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영국의 자치 군사 조직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였다.

행정 구역

군사

문화

지리

산업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