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영종의 업적: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onlyinclude>{{css|JOtax}}{{css|JObattle}}<div style="margin:15px auto;border:0px solid #e3ba62;max-width:100%;min-width:900px;width:100%;border-radius:10px;overflow:hidden;box-shadow:0px 0px 3px rgba(0,0,0,0.5);text-shadow:0px 0px 1px rgba(0,0,0,.2);font-family:KoPubDotumMedium ;"> <div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100%; text-align: center;padding:4px 0px 5px; 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20%, rgba(79,55...)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css|JOtax}}{{css|JObattle}}<div style="margin:15px auto;border:0px solid #e3ba62;max-width:100%;min-width:900px;width:100%;border-radius:10px;overflow:hidden;box-shadow:0px 0px 3px rgba(0,0,0,0.5);text-shadow:0px 0px 1px rgba(0,0,0,.2);font-family:KoPubDotumMedium ;">
<onlyinclude>{{css|JOtax}}{{css|JObattle}}<div class="JO-WebDisplay" style="margin:15px auto;border:0px solid #e3ba62;max-width:100%;min-width:900px;width:100%;border-radius:10px;overflow:hidden;box-shadow:0px 0px 3px rgba(0,0,0,0.5);text-shadow:0px 0px 1px rgba(0,0,0,.2);font-family:KoPubDotumMedium ;">
<div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100%; text-align: center;padding:4px 0px 5px; 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20%, rgba(79,55,2,0) 100%); color:white;margin-left: 0px;letter-spacing :1px;padding-right:100px;margin-bottom:0px;">
<div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100%; text-align: center;padding:4px 0px 5px; 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20%, rgba(79,55,2,0) 100%); color:white;margin-left: 0px;letter-spacing :1px;padding-right:100px;margin-bottom:0px;">
{| style="padding:0px;width:100%;text-align: center;margin:5px 5px 7px; auto;color:#b22222;"
{| style="padding:0px;width:100%;text-align: center;margin:5px 5px 7px; auto;color:#b22222;"
5번째 줄: 5번째 줄:
| style="text-align:left;padding-left:7px;padding-bottom:1px;line-height:150%;font-size:11.5px;font-weight:bold;" | '''조선 23대 국왕<br><span style="font-size:20px;">영종의 업적</span>'''
| style="text-align:left;padding-left:7px;padding-bottom:1px;line-height:150%;font-size:11.5px;font-weight:bold;" | '''조선 23대 국왕<br><span style="font-size:20px;">영종의 업적</span>'''
|}</div>
|}</div>
<div id="toggle_JKA22" class="toggleBtn mobileBtn" data-target="collapsible_JKA22"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100%; text-align: center;padding:5px; color:#b22222; 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3) 20%, rgba(79,55,2,0.15) 100%); font-size:11.5px;margin-left: 0px;overflow:hidden;"> [ 펼치기 · 접기 ] </div>
<div id="toggle_JKA23" class="toggleBtn mobileBtn" data-target="collapsible_JKA23"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100%; text-align: center;padding:5px; color:#b22222; 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3) 20%, rgba(79,55,2,0.15) 100%); font-size:11.5px;margin-left: 0px;overflow:hidden;"> [ 펼치기 · 접기 ] </div>
<div id="collapsible_JKA22" class="folding-margin-remove" style="background:none; border:none;">
<div id="collapsible_JKA23" class="folding-margin-remove" style="background:none; border:none;">
{| style="width:100%;text-align:center;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size:12.5px;line-height:120%;overflow:hidden;"
{| style="width:100%;text-align:center;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size:12.5px;line-height:120%;overflow:hidden;"
|- style="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3) 10%, rgba(79,55,2,0.2) 70%);color:#b22222;font-weight:bold;font-size:12px;line-height:13px;border-top:1px solid rgba(0,0,0,0.2);"
|- style="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3) 10%, rgba(79,55,2,0.2) 70%);color:#b22222;font-weight:bold;font-size:12px;line-height:13px;border-top:1px solid rgba(0,0,0,0.2);"
| style="padding:8px 0px 14px;width:33%;" |
| style="padding:8px 0px 14px;width:25%;"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font-size:11.5px;">제해즉시평천하</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font-size:11.5px;">욕연명시필정군</div>
| style="padding:8px 0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width:33%;" |
| style="padding:8px 0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width:25%;"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font-size:11.5px;">폐구개신</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font-size:11.5px;">작통신속성만사</div>
| style="padding:8px 0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width:33%;" |
| style="padding:8px 0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width:25%;"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font-size:11.5px;">용기즉시감번로</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font-size:11.5px;">동심기예여백관</div>
| style="padding:8px 0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width:25%;"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font-size:11.5px;">일인불능지만학</div>
|- style="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weight:500;font-size:12px;line-height:13px;border-top:1px solid rgba(0,0,0,0.2);height:90px;font-weight:bold;"
|- style="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weight:500;font-size:12px;line-height:13px;border-top:1px solid rgba(0,0,0,0.2);height:90px;font-weight:bold;"
| style="padding:8px 1px 14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 style="padding:8px 1px 14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동국총치지업<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일본 열도 병탄</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텐메이 기근 이후로 일본 다이묘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고, 많은 경우 조선과의 무역으로 생활을 이어가거나 조선에 귀부하였다. 이들 중에는 전란이 끝난 무사계층 또한 있었는데, 일부는 조선에 고용되어 천황 직할령인 '어료'나 조선인이 매입한 토지의 치안을 유지하게 되었다. 다수 유입된 조선 자본가에 의해 다이묘의 토지는 크게 감소했고, 오히려 도라이-다이묘로 불리는 조선인 대지주들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 다이묘와 로닌들은 이러한 외세 위협에 대응하지 못하는 천황과 태정관에 큰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1800년을 전후로 다테, 우에스기, 오다, 마에다, 호소카와, 마쓰다이라 가문등이 천황보위와 막부재건을 천명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1800년, 관정의 난) 영종이 친정하여 열도를 다시 평정하고 이 죄를 물어 폐번치부하여 다이묘직을 폐하고 지방관(슈고진)을 파견하도록 했으며, 천황을 일본군왕에, 고니키시와 오이치 가문은 각각 산양국공과 산음국공에 봉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신미남정<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영국의 동남아 진출 저지</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1811년 화란의 본토가 나파륜에 점령당하자 영길리는 화란 동인도 회사를 공격하였다. 이에 조선 수군을 원병으로 보내어 대승하여 역으로 영길리의 해협식민지를 점령하고 동남아 진출을 저지시켰다.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계미남정<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여송도 영향력 확대</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7년 전쟁이 발발하면서 영국군은 스페인이 장악한 마닐라 일대를 공격해 장악했는데, 이에 스페인 마닐라 주둔군이 조선에 출병을 요청하였다. 1763년에 조선 수군은 스페인군과 협력하여 마닐라를 공격해 탈환하였고, 그 대가로 조선은 마니라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마니라 기준 북쪽을 장악했다.</div></div></div>
</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기묘남정<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영국의 벵골 진출 저지</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플라시 전투로 벵골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간섭과 폭정 아래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미르 자파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조선에 도움을 요청했고 이에 부응하여 순종은 함대를 파견했다. 친수라 전투에서 조선군이 가까스로 승리하면서 영국의 벵골 통제권을 와해시키고 벵골산 초석 독점 시도를 저지했다. 또한, 이를 통해 조선은 안정적으로 초석을 수입할 수 있는 활로를 개척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동국총치지업<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일본 열도 병탄</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텐메이 기근 이후로 일본 다이묘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고, 많은 경우 조선과의 무역으로 생활을 이어가거나 조선에 귀부하였다. 이들 중에는 전란이후 직위없는 무사계층도 있었는데, 일부는 조선에 고용되어 천황 직할령인 '어료'나 조선인이 매입한 토지의 치안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 시기 다수 유입된 조선 자본가에 의해 다이묘의 토지는 크게 감소했고, 오히려 도라이-다이묘로 불리는 조선인 대지주들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 다이묘와 로닌들은 이러한 외세 위협에 대응하지 못하는 천황과 태정관에 큰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1800년을 전후로 다테, 우에스기, 오다, 마에다, 호소카와, 마쓰다이라 가문등이 천황보위와 막부재건을 천명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1800년, 관정의 난) 이에 영종이 친정하여 열도를 다시 평정하였으며 이 죄를 물어서 폐번치부를 단행했다. 그 결과 다이묘직은 폐지되었고 그 대신 지방관(슈고진)을 파견하여 천황이 국정을 보살피도록 했다. 나아가, 천황을 일본군왕에, 고니키시와 오이치 가문은 각각 산양공과 산음공에 봉하였으며, 열도를 조선의 땅으로 선포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뇌홍 제조법 개발<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군사력 증대</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양이가 개발한 화약으로 뇌홍이라 불리는데, 그 폭발력이 굉장하여 이를 이용해 조총도 새로이 짓고 포탄도 새로이 만들었다. 이를 동국이학원에 연구토록 하여 수 년만에 뇌홍을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동모식 조총과 유산탄을 제작하여 군에 보급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조총과 달리 습기에 불리하지 아니하고 적재적소에 가용토록 하였다. 또한, 뇌홍을 합성하기 위해 북해도 일대의 수은 광산을 개발토록 하여 큰 이익을 내었다. 동모식 조총은 이후 간소화 되어 탄피와 후장식 조총의 개발로 진행되었고, 장총(나봉식 조총)이라 명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경성군제원계<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대대적인 군제 개혁</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철갑함과 동모식 조총, 유산탄등의 개발로 조선군의 전투력은 제고되었으나, 제도가 아직 옛것을 쓰고 있으니, 총체적인 군기, 전선 개량 및 교체 작업과 함께 전술과 작계도 이에 맞게 새로 짓도록 명하여 관료들이 머리를 맞대어 원계를 지어 이행토록 했다.</div></div></div>
| style="padding:8px 1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 style="padding:8px 1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융희조선국제<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헌법 제정</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1787년 미합중국 헌법이 지정되고 이에 영향을 받아 제정한 최상위법령으로 1790년부터 시작하여 익년에 제정되었다. 또한 삼권분립에 따라 판위부를 언론부에 속하게 하는 등, 복잡한 행정체계를 다소 간결하게 변경하였다. 삼부가 합심하면 왕권을 정지시킬 있는 것도 계속 반영되었다. 융희조선국제의 하위법으로는 융희조선규례로 신경국대전에서 거의 변하지 않았다. 행정, 민사, 상사, 형사, 조세, 공법의 육례에 따라 정리되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팔달청<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철도망 증설 계획</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경인철로가 개통되고 나서 군부와 재부는 이를 통해 전국으로 대규모 병사를 이송하고 조세를 안전하게 옮길 있도록 철로망을 대규모로 증설하도록 했다. 영종은 이를 위해서 공부 휘하에 팔달청을 설립하여 국가 철로망 건설을 주관하도록 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형평 운동<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백정 권리 증대</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선대 열왕이 백정의 처우를 개선하여 사회에 통합하려 힘썼으나, 백정이 이를 거부하고 백성도 이를 거부하니 진전이 없었다. 그러나, 사회가 계몽하여 천민도 양민이 되었음이 모름직이 백정에게도 길이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헌종 때에는 대다수 만주에서 새 터전을 찾아 번성했고, 순종에 이르러 형평 운동을 하여 권리를 찾으려 했다. 이에 순종은 법적으로 아무 걸림이 없다하니 관료들 또한 백정의 차별을 줄이도록 힘썼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비구 · 열기구<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수소풍선 · 열기구 개발</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석탄개질법으로 생성되는 수소를 채워서 날리는 물체나 공기를 가열하여 떠오르게 한 열기구 등이 발명되어 각지에서 통신수단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건을 통해 산지나 봉화대끼리 연락할 수 있도록 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당전 도입<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복본위제 실시</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경제 성장을 엽전의 주조량이 따라잡기 힘들자, 고종 이래로 구리 수입양은 꾸준히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화와 금화도 통용되었는데, 이를 법규화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당일전은 동화로 당십전은 은화로 당백전은 금화로 제작되었다. 이와 함께 저화도 1전, 5전, 10전, 50전의 네 종류로 바꾸어 유통되었다. 각 저화에는 순서대로 매란국죽이 그려져 있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광호법<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빛을 이용한 통신</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광원의 개폐 시간에 따라 각 부호를 지정하여 통신하도록 만들어진 일종의 은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봉수대나 전신대 사이에서 간단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군부에서는 이를 개량하여 초성만으로 뜻을 이해하도록 간소화하였다. 이를 편광호라고 하였다.</div></div></div>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증륜 · 증력기<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터빈 증기기관의 개발</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증기기관의 연구는 대기압식 기관과 증로의 개발이후 계속해서 이루어져 왔고, 이미 상업용 증기기관을 이용해 움직이는 궤상차거와 선박, 천공기, 권양기등의 개념도 상당히 발전해 있었다. 이러한 지식인의 기대와 헌종의 학회 지원에 힘입어 융희 시대에 최초의 상업 증기기관인 증력기가 개발되면서 증력차거, 증기선등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수력으로 움직이는 상당수의 제조 공장을 변모시키고 조선의 생산력과 석탄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대시켰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심미원<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문화예술 진흥원</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유년부터 예술에 조예가 깊고 서양의 관현악과 연극, 화풍, 문학을 접하였다. 이에 즉위한 뒤로 조선의 음악, 그림, 문학을 진흥하기 위해서 심미원을 설립했으며, 이를 통해 예술인을 양성 모집하고 각종 문화사업을 장려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철갑선<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해상패권 장악</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반사로법으로 산출되는 막대한 철강과 증기기관을 통해 철갑선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증기선에 철갑을 둘렀으나 이내 철재 골조를 개발되었다. 순종 붕어 이전에 최초의 완전 철갑선인 광무호가 건조되었다. 참고로 광무호는 회전식 포탑을 장비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청량지유원<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왕립 동물원 설립</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문화사업에 많은 공을 들였는데, 관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청량사 일대를 유원으로 조성하여 각종 동물들과 식물들로 꾸몄으며 인공 호수와 폭포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한, 이를 만민에게 열어두어 자유로이 이용하도록 했는데, 이를 통해 왕실의 자비와 권위를 알리고자 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20px;">경인철로<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교통 확장</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증력기의 발명으로 증력차거가 개발되자, 이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곳을 탐색하기로 했다. 그렇게 부설된 최초의 철로는 경인선으로 궤간은 3척으로 약 1400mm이다. 다만, 경인선 공사를 명령하고 얼마되지 않아 순종이 붕어했기에 순종은 경인선 개통을 보지는 못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집옥재<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왕립 박물관 설립</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각종 진귀한 물건과 예술품들을 한데 모아 전람하는 곳으로 왕실의 보물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을 만민에게 공개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div></div></div>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한림원 설립<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전문인력의 국정참여</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예술에서는 뛰어난 두각을 보였으나, 이학과 산학, 율학에서는 그리 뛰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법도나 이치에 대해 다소 밝지 못하여 정사에 수동적인 태도를 지녔는데, 이를 극복하고자 각 분야의 지식인을 한데 모아 왕에게 자문하도록 한림원을 설립하였다. 이는 언론부 사문원과 역할이 비슷했으나, 사문원의 대다수는 유학자로 국가 정신에 맞는 국정운영을 도모하게 간하였고, 한림원은 왕에게 전문지식을 전수하고 이해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었다. 나아가 한림원은 그 자체로 범학계적인 탐구가 이루어지는 곳이 되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수보직 설치<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군주 보좌 직책</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또한, 수보직을 설치하고 여러 학문을 두루 섭렵하거나 당대 가장 뛰어난 인재를 수보로 등용하여 국정을 보좌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후대 열왕에 이르러 각계 지식이 범람함에 따라 군주가 이를 일일이 다루지 못하더라도 정사를 집행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었다. 내각에서는 수보의 권한이 막대해질 것을 우려해 한림원과 사문원이 모두 동의한 자를 등용하며, 언제든 중추부에서 탄핵할 수 있게 하였다.</div></div></div>
|- style="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weight:bold;font-size:12px;line-height:13px;border-top:1px solid rgba(0,0,0,0.2);"
|- style="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weight:bold;font-size:12px;line-height:13px;border-top:1px solid rgba(0,0,0,0.2);"
| style="padding:8px 3px 14px;" |
| style="padding:8px 3px 14px;"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폰트|ChosunSm|制海卽是平天下}}{{V|5}}<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바다를 다스리는 것이 천하를 손에 넣는 것이다.</span></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폰트|ChosunSm|欲延明時必整軍}}{{V|5}}<span style="opacity:0.7;font-size:80%;">평화의 때를 이어가고자 하면 필히 군을 정비하라.</span></div>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폰트|ChosunSm|作通迅速成萬事}}{{V|5}}<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신속하게 다니도록 하여 만사를 이루게 하라</span></div>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 |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폰트|ChosunSm|廢舊改新}}{{V|5}}<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옛 것을 폐하고 새로이 고쳐 국정을 바로잡겠노라</span></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폰트|ChosunSm|動心技藝如百官}}{{V|5}}<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마음을 움직이는 기예는 백 명의 관리와 같다.</span></div>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 |
| style="padding:8px 3px 14px;border-left:1px dotted rgba(178,34,34,0.2);" |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폰트|ChosunSm|用機卽是減煩勞}}{{V|5}}<span style="opacity:0.7;font-size:80%;">기계를 이용함은 곧 번거로움을 줄이는 것이다.</span></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폰트|ChosunSm|一人不能知萬學}}{{V|5}}<span style="opacity:0.7;font-size:80%;">한 사람이 어찌 모든 학문에 통달하리오</span></div>
|-
|-
| colspan="4" style="height:10px;vertical-align:middle;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5) 20%, rgba(79,55,2,0.2) 100%);" |
| colspan="4" style="height:10px;vertical-align:middle;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5) 20%, rgba(79,55,2,0.2) 100%);" |
41번째 줄: 50번째 줄:
|-
|-
| colspan="4" style="padding-top:3px;padding-bottom:3px;vertical-align:bottom;background:#e3cc9a;color:black;font-size:11px;line-height:120%;" | {{1545 국왕의 업적 바닥틀2}}
| colspan="4" style="padding-top:3px;padding-bottom:3px;vertical-align:bottom;background:#e3cc9a;color:black;font-size:11px;line-height:120%;" | {{1545 국왕의 업적 바닥틀2}}
|-
|}</div></div>
<div class="JO-MobileDisplay" style="margin:15px auto;border:0px solid #e3ba62;max-width:100%;min-width:320px;width:100%;border-radius:10px;overflow:hidden;box-shadow:0px 0px 3px rgba(0,0,0,0.5);text-shadow:0px 0px 1px rgba(0,0,0,.2);font-family:KoPubDotumMedium ;">
<div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100%; text-align: center;padding:4px 0px 5px; 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20%, rgba(79,55,2,0) 100%); color:white;margin-left: 0px;letter-spacing :1px;padding-right:100px;margin-bottom:0px;">
{| style="padding:0px;width:100%;text-align: center;margin:5px 5px 7px; auto;color:#b22222;"
| width=50% style="text-align:right;padding-right:7px;" | <span class="JOB-IM2">[[파일:1545 영종.png|x45px|link=]]</span>
| style="text-align:left;padding-left:7px;padding-bottom:1px;line-height:150%;font-size:11.5px;font-weight:bold;" | '''조선 23대 국왕<br><span style="font-size:20px;">영종의 업적</span>'''
|}</div>
<div id="toggle_JKA23M" class="toggleBtn mobileBtn" data-target="collapsible_JKA23M"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100%; text-align: center;padding:5px; color:#b22222; 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3) 20%, rgba(79,55,2,0.15) 100%); font-size:11.5px;margin-left: 0px;overflow:hidden;"> [ 펼치기 · 접기 ] </div>
<div id="collapsible_JKA23M" class="folding-margin-remove" style="background:none; border:none;">
{| style="width:100%;text-align:center;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size:12.5px;line-height:120%;overflow:hidden;"
|- style="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weight:500;font-size:12px;line-height:13px;border-top:1px solid rgba(0,0,0,0.2);height:90px;font-weight:bold;"
| style="padding:8px 1px 14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2) 10%, rgba(79,55,2,0) 70%);" |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신미남정<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영국의 동남아 진출 저지</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1811년 화란의 본토가 나파륜에 점령당하자 영길리는 화란 동인도 회사를 공격하였다. 이에 조선 수군을 원병으로 보내어 대승하여 역으로 영길리의 해협식민지를 점령하고 동남아 진출을 저지시켰다.
</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동국총치지업<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일본 열도 병탄</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텐메이 기근 이후로 일본 다이묘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고, 많은 경우 조선과의 무역으로 생활을 이어가거나 조선에 귀부하였다. 이들 중에는 전란이후 직위없는 무사계층도 있었는데, 일부는 조선에 고용되어 천황 직할령인 '어료'나 조선인이 매입한 토지의 치안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 시기 다수 유입된 조선 자본가에 의해 다이묘의 토지는 크게 감소했고, 오히려 도라이-다이묘로 불리는 조선인 대지주들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 다이묘와 로닌들은 이러한 외세 위협에 대응하지 못하는 천황과 태정관에 큰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1800년을 전후로 다테, 우에스기, 오다, 마에다, 호소카와, 마쓰다이라 가문등이 천황보위와 막부재건을 천명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1800년, 관정의 난) 이에 영종이 친정하여 열도를 다시 평정하였으며 이 죄를 물어서 폐번치부를 단행했다. 그 결과 다이묘직은 폐지되었고 그 대신 지방관(슈고진)을 파견하여 천황이 국정을 보살피도록 했다. 나아가, 천황을 일본군왕에, 고니키시와 오이치 가문은 각각 산양공과 산음공에 봉하였으며, 열도를 조선의 땅으로 선포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뇌홍 제조법 개발<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군사력 증대</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양이가 개발한 화약으로 뇌홍이라 불리는데, 그 폭발력이 굉장하여 이를 이용해 조총도 새로이 짓고 포탄도 새로이 만들었다. 이를 동국이학원에 연구토록 하여 수 년만에 뇌홍을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동모식 조총과 유산탄을 제작하여 군에 보급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조총과 달리 습기에 불리하지 아니하고 적재적소에 가용토록 하였다. 또한, 뇌홍을 합성하기 위해 북해도 일대의 수은 광산을 개발토록 하여 큰 이익을 내었다. 동모식 조총은 이후 간소화 되어 탄피와 후장식 조총의 개발로 진행되었고, 장총(나봉식 조총)이라 명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경성군제원계<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대대적인 군제 개혁</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철갑함과 동모식 조총, 유산탄등의 개발로 조선군의 전투력은 제고되었으나, 제도가 아직 옛것을 쓰고 있으니, 총체적인 군기, 전선 개량 및 교체 작업과 함께 전술과 작계도 이에 맞게 새로 짓도록 명하여 관료들이 머리를 맞대어 원계를 지어 이행토록 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팔달청<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철도망 증설 계획</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경인철로가 개통되고 나서 군부와 재부는 이를 통해 전국으로 대규모 병사를 이송하고 조세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철로망을 대규모로 증설하도록 했다. 영종은 이를 위해서 공부 휘하에 팔달청을 설립하여 국가 철로망 건설을 주관하도록 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비구 · 열기구<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수소풍선 · 열기구 개발</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석탄개질법으로 생성되는 수소를 채워서 날리는 물체나 공기를 가열하여 떠오르게 한 열기구 등이 발명되어 각지에서 통신수단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건을 통해 산지나 봉화대끼리 연락할 수 있도록 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광호법<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빛을 이용한 통신</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광원의 개폐 시간에 따라 각 부호를 지정하여 통신하도록 만들어진 일종의 은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봉수대나 전신대 사이에서 간단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군부에서는 이를 개량하여 초성만으로 뜻을 이해하도록 간소화하였다. 이를 편광호라고 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심미원<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문화예술 진흥원</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유년부터 예술에 조예가 깊고 서양의 관현악과 연극, 화풍, 문학을 접하였다. 이에 즉위한 뒤로 조선의 음악, 그림, 문학을 진흥하기 위해서 심미원을 설립했으며, 이를 통해 예술인을 양성 및 모집하고 각종 문화사업을 장려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청량지유원<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왕립 동물원 설립</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문화사업에 많은 공을 들였는데, 관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청량사 일대를 유원으로 조성하여 각종 동물들과 식물들로 꾸몄으며 인공 호수와 폭포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한, 이를 만민에게 열어두어 자유로이 이용하도록 했는데, 이를 통해 왕실의 자비와 권위를 알리고자 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집옥재<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왕립 박물관 설립</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각종 진귀한 물건과 예술품들을 한데 모아 전람하는 곳으로 왕실의 보물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을 만민에게 공개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한림원 설립<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전문인력의 국정참여</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예술에서는 뛰어난 두각을 보였으나, 이학과 산학, 율학에서는 그리 뛰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법도나 이치에 대해 다소 밝지 못하여 정사에 수동적인 태도를 지녔는데, 이를 극복하고자 각 분야의 지식인을 한데 모아 왕에게 자문하도록 한림원을 설립하였다. 이는 언론부 사문원과 역할이 비슷했으나, 사문원의 대다수는 유학자로 국가 정신에 맞는 국정운영을 도모하게 간하였고, 한림원은 왕에게 전문지식을 전수하고 이해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었다. 나아가 한림원은 그 자체로 범학계적인 탐구가 이루어지는 곳이 되었다.</div></div></div>
<div class="JO-tax-trigger2" style="display:inline-block;margin:5px 1px 0px;border:1px solid rgba(178,34,34,0.45);border-radius:15px;padding:6px 20px 6px;width:200px;">수보직 설치<br><span style="opacity:0.7;font-size:80%;">군주 보좌 직책</span><div class="JO-tax-content"><div style="width:calc(100% + 30px);margin:5px -15px 5px;height:1px;background:rgba(178,34,34,0.45);"></div><div style="font-size:9.5px;text-align: left;opacity:0.75;word-spacing:1px;line-height:150%;">영종은 또한, 수보직을 설치하고 여러 학문을 두루 섭렵하거나 당대 가장 뛰어난 인재를 수보로 등용하여 국정을 보좌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후대 열왕에 이르러 각계 지식이 범람함에 따라 군주가 이를 일일이 다루지 못하더라도 정사를 집행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었다. 내각에서는 수보의 권한이 막대해질 것을 우려해 한림원과 사문원이 모두 동의한 자를 등용하며, 언제든 중추부에서 탄핵할 수 있게 하였다.</div></div></div>
|-
| style="height:10px;vertical-align:middle;background:#e3ba62;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bottom, rgba(79,55,2,0.5) 20%, rgba(79,55,2,0.2) 100%);" |
|-
| style="height:30px;vertical-align:middle;background:#e3ba62;color:#b22222;font-size:8pt;padding:4px 0px 4px;font-weight:bold;" | [[:분류:1545 조선 틀|{{color|#b22222|조선 틀 목록}}]]
|-
|-
|}</div></div></onlyinclude>[[분류:1545 조선 틀]]
|}</div></div></onlyinclude>[[분류:1545 조선 틀]]

2024년 5월 18일 (토) 14:58 기준 최신판

조선 23대 국왕
영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욕연명시필정군
작통신속성만사
동심기예여백관
일인불능지만학
신미남정
영국의 동남아 진출 저지
1811년 화란의 본토가 나파륜에 점령당하자 영길리는 화란 동인도 회사를 공격하였다. 이에 조선 수군을 원병으로 보내어 대승하여 역으로 영길리의 해협식민지를 점령하고 동남아 진출을 저지시켰다.
동국총치지업
일본 열도 병탄
텐메이 기근 이후로 일본 다이묘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고, 많은 경우 조선과의 무역으로 생활을 이어가거나 조선에 귀부하였다. 이들 중에는 전란이후 직위없는 무사계층도 있었는데, 일부는 조선에 고용되어 천황 직할령인 '어료'나 조선인이 매입한 토지의 치안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 시기 다수 유입된 조선 자본가에 의해 다이묘의 토지는 크게 감소했고, 오히려 도라이-다이묘로 불리는 조선인 대지주들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 다이묘와 로닌들은 이러한 외세 위협에 대응하지 못하는 천황과 태정관에 큰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1800년을 전후로 다테, 우에스기, 오다, 마에다, 호소카와, 마쓰다이라 가문등이 천황보위와 막부재건을 천명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1800년, 관정의 난) 이에 영종이 친정하여 열도를 다시 평정하였으며 이 죄를 물어서 폐번치부를 단행했다. 그 결과 다이묘직은 폐지되었고 그 대신 지방관(슈고진)을 파견하여 천황이 국정을 보살피도록 했다. 나아가, 천황을 일본군왕에, 고니키시와 오이치 가문은 각각 산양공과 산음공에 봉하였으며, 열도를 조선의 땅으로 선포하였다.
뇌홍 제조법 개발
군사력 증대
양이가 개발한 화약으로 뇌홍이라 불리는데, 그 폭발력이 굉장하여 이를 이용해 조총도 새로이 짓고 포탄도 새로이 만들었다. 이를 동국이학원에 연구토록 하여 수 년만에 뇌홍을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동모식 조총과 유산탄을 제작하여 군에 보급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조총과 달리 습기에 불리하지 아니하고 적재적소에 가용토록 하였다. 또한, 뇌홍을 합성하기 위해 북해도 일대의 수은 광산을 개발토록 하여 큰 이익을 내었다. 동모식 조총은 이후 간소화 되어 탄피와 후장식 조총의 개발로 진행되었고, 장총(나봉식 조총)이라 명하였다.
경성군제원계
대대적인 군제 개혁
철갑함과 동모식 조총, 유산탄등의 개발로 조선군의 전투력은 제고되었으나, 제도가 아직 옛것을 쓰고 있으니, 총체적인 군기, 전선 개량 및 교체 작업과 함께 전술과 작계도 이에 맞게 새로 짓도록 명하여 관료들이 머리를 맞대어 원계를 지어 이행토록 했다.
팔달청
철도망 증설 계획
경인철로가 개통되고 나서 군부와 재부는 이를 통해 전국으로 대규모 병사를 이송하고 조세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철로망을 대규모로 증설하도록 했다. 영종은 이를 위해서 공부 휘하에 팔달청을 설립하여 국가 철로망 건설을 주관하도록 했다.
비구 · 열기구
수소풍선 · 열기구 개발
석탄개질법으로 생성되는 수소를 채워서 날리는 물체나 공기를 가열하여 떠오르게 한 열기구 등이 발명되어 각지에서 통신수단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건을 통해 산지나 봉화대끼리 연락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광호법
빛을 이용한 통신
광원의 개폐 시간에 따라 각 부호를 지정하여 통신하도록 만들어진 일종의 은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봉수대나 전신대 사이에서 간단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군부에서는 이를 개량하여 초성만으로 뜻을 이해하도록 간소화하였다. 이를 편광호라고 하였다.
심미원
문화예술 진흥원
영종은 유년부터 예술에 조예가 깊고 서양의 관현악과 연극, 화풍, 문학을 접하였다. 이에 즉위한 뒤로 조선의 음악, 그림, 문학을 진흥하기 위해서 심미원을 설립했으며, 이를 통해 예술인을 양성 및 모집하고 각종 문화사업을 장려하였다.
청량지유원
왕립 동물원 설립
영종은 문화사업에 많은 공을 들였는데, 관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청량사 일대를 유원으로 조성하여 각종 동물들과 식물들로 꾸몄으며 인공 호수와 폭포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한, 이를 만민에게 열어두어 자유로이 이용하도록 했는데, 이를 통해 왕실의 자비와 권위를 알리고자 하였다.
집옥재
왕립 박물관 설립
각종 진귀한 물건과 예술품들을 한데 모아 전람하는 곳으로 왕실의 보물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을 만민에게 공개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한림원 설립
전문인력의 국정참여
영종은 예술에서는 뛰어난 두각을 보였으나, 이학과 산학, 율학에서는 그리 뛰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법도나 이치에 대해 다소 밝지 못하여 정사에 수동적인 태도를 지녔는데, 이를 극복하고자 각 분야의 지식인을 한데 모아 왕에게 자문하도록 한림원을 설립하였다. 이는 언론부 사문원과 역할이 비슷했으나, 사문원의 대다수는 유학자로 국가 정신에 맞는 국정운영을 도모하게 간하였고, 한림원은 왕에게 전문지식을 전수하고 이해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었다. 나아가 한림원은 그 자체로 범학계적인 탐구가 이루어지는 곳이 되었다.
수보직 설치
군주 보좌 직책
영종은 또한, 수보직을 설치하고 여러 학문을 두루 섭렵하거나 당대 가장 뛰어난 인재를 수보로 등용하여 국정을 보좌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후대 열왕에 이르러 각계 지식이 범람함에 따라 군주가 이를 일일이 다루지 못하더라도 정사를 집행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었다. 내각에서는 수보의 권한이 막대해질 것을 우려해 한림원과 사문원이 모두 동의한 자를 등용하며, 언제든 중추부에서 탄핵할 수 있게 하였다.
欲延明時必整軍
평화의 때를 이어가고자 하면 필히 군을 정비하라.
作通迅速成萬事
신속하게 다니도록 하여 만사를 이루게 하라
動心技藝如百官
마음을 움직이는 기예는 백 명의 관리와 같다.
一人不能知萬學
한 사람이 어찌 모든 학문에 통달하리오
조선 틀 목록
조선 23대 국왕
영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신미남정
영국의 동남아 진출 저지
1811년 화란의 본토가 나파륜에 점령당하자 영길리는 화란 동인도 회사를 공격하였다. 이에 조선 수군을 원병으로 보내어 대승하여 역으로 영길리의 해협식민지를 점령하고 동남아 진출을 저지시켰다.
동국총치지업
일본 열도 병탄
텐메이 기근 이후로 일본 다이묘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고, 많은 경우 조선과의 무역으로 생활을 이어가거나 조선에 귀부하였다. 이들 중에는 전란이후 직위없는 무사계층도 있었는데, 일부는 조선에 고용되어 천황 직할령인 '어료'나 조선인이 매입한 토지의 치안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 시기 다수 유입된 조선 자본가에 의해 다이묘의 토지는 크게 감소했고, 오히려 도라이-다이묘로 불리는 조선인 대지주들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 다이묘와 로닌들은 이러한 외세 위협에 대응하지 못하는 천황과 태정관에 큰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1800년을 전후로 다테, 우에스기, 오다, 마에다, 호소카와, 마쓰다이라 가문등이 천황보위와 막부재건을 천명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1800년, 관정의 난) 이에 영종이 친정하여 열도를 다시 평정하였으며 이 죄를 물어서 폐번치부를 단행했다. 그 결과 다이묘직은 폐지되었고 그 대신 지방관(슈고진)을 파견하여 천황이 국정을 보살피도록 했다. 나아가, 천황을 일본군왕에, 고니키시와 오이치 가문은 각각 산양공과 산음공에 봉하였으며, 열도를 조선의 땅으로 선포하였다.
뇌홍 제조법 개발
군사력 증대
양이가 개발한 화약으로 뇌홍이라 불리는데, 그 폭발력이 굉장하여 이를 이용해 조총도 새로이 짓고 포탄도 새로이 만들었다. 이를 동국이학원에 연구토록 하여 수 년만에 뇌홍을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동모식 조총과 유산탄을 제작하여 군에 보급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조총과 달리 습기에 불리하지 아니하고 적재적소에 가용토록 하였다. 또한, 뇌홍을 합성하기 위해 북해도 일대의 수은 광산을 개발토록 하여 큰 이익을 내었다. 동모식 조총은 이후 간소화 되어 탄피와 후장식 조총의 개발로 진행되었고, 장총(나봉식 조총)이라 명하였다.
경성군제원계
대대적인 군제 개혁
철갑함과 동모식 조총, 유산탄등의 개발로 조선군의 전투력은 제고되었으나, 제도가 아직 옛것을 쓰고 있으니, 총체적인 군기, 전선 개량 및 교체 작업과 함께 전술과 작계도 이에 맞게 새로 짓도록 명하여 관료들이 머리를 맞대어 원계를 지어 이행토록 했다.
팔달청
철도망 증설 계획
경인철로가 개통되고 나서 군부와 재부는 이를 통해 전국으로 대규모 병사를 이송하고 조세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철로망을 대규모로 증설하도록 했다. 영종은 이를 위해서 공부 휘하에 팔달청을 설립하여 국가 철로망 건설을 주관하도록 했다.
비구 · 열기구
수소풍선 · 열기구 개발
석탄개질법으로 생성되는 수소를 채워서 날리는 물체나 공기를 가열하여 떠오르게 한 열기구 등이 발명되어 각지에서 통신수단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건을 통해 산지나 봉화대끼리 연락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광호법
빛을 이용한 통신
광원의 개폐 시간에 따라 각 부호를 지정하여 통신하도록 만들어진 일종의 은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봉수대나 전신대 사이에서 간단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군부에서는 이를 개량하여 초성만으로 뜻을 이해하도록 간소화하였다. 이를 편광호라고 하였다.
심미원
문화예술 진흥원
영종은 유년부터 예술에 조예가 깊고 서양의 관현악과 연극, 화풍, 문학을 접하였다. 이에 즉위한 뒤로 조선의 음악, 그림, 문학을 진흥하기 위해서 심미원을 설립했으며, 이를 통해 예술인을 양성 및 모집하고 각종 문화사업을 장려하였다.
청량지유원
왕립 동물원 설립
영종은 문화사업에 많은 공을 들였는데, 관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청량사 일대를 유원으로 조성하여 각종 동물들과 식물들로 꾸몄으며 인공 호수와 폭포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한, 이를 만민에게 열어두어 자유로이 이용하도록 했는데, 이를 통해 왕실의 자비와 권위를 알리고자 하였다.
집옥재
왕립 박물관 설립
각종 진귀한 물건과 예술품들을 한데 모아 전람하는 곳으로 왕실의 보물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을 만민에게 공개하여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한림원 설립
전문인력의 국정참여
영종은 예술에서는 뛰어난 두각을 보였으나, 이학과 산학, 율학에서는 그리 뛰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법도나 이치에 대해 다소 밝지 못하여 정사에 수동적인 태도를 지녔는데, 이를 극복하고자 각 분야의 지식인을 한데 모아 왕에게 자문하도록 한림원을 설립하였다. 이는 언론부 사문원과 역할이 비슷했으나, 사문원의 대다수는 유학자로 국가 정신에 맞는 국정운영을 도모하게 간하였고, 한림원은 왕에게 전문지식을 전수하고 이해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었다. 나아가 한림원은 그 자체로 범학계적인 탐구가 이루어지는 곳이 되었다.
수보직 설치
군주 보좌 직책
영종은 또한, 수보직을 설치하고 여러 학문을 두루 섭렵하거나 당대 가장 뛰어난 인재를 수보로 등용하여 국정을 보좌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후대 열왕에 이르러 각계 지식이 범람함에 따라 군주가 이를 일일이 다루지 못하더라도 정사를 집행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었다. 내각에서는 수보의 권한이 막대해질 것을 우려해 한림원과 사문원이 모두 동의한 자를 등용하며, 언제든 중추부에서 탄핵할 수 있게 하였다.
조선 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