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목조
태조 4대조
추존
익조
태조 3대조
추존
도조
태조 2대조
추존
환조
태조 1대조
초대
태조
1392 - 1398
2대
정종
1398 - 1400
3대
태종
1400 - 1418
4대
세종
1418 - 1450
5대
문종
1450 - 1466
6대
광종
1466 - 1480
7대
인종
1480 - 1501
8대
성종
1501 - 1529
9대
현종
1529 - 1538
10대
혜종
1538 - 1543
11대
경종
1543 - 1558
12대
명종
1558 - 1581
13대
중종
1581 - 1605
14대
숙종
1605 - 1617
15대
덕종
1617 - 1634
16대
정조
1634 - 1656
17대
단종
1656 - 1660
18대
선종
1660 - 1678
19대
고종
1678 - 1699
20대
헌종
1699 - 1742
21대
철종
1742 - 1745
22대
순종
1745 - 1791
23대
영종
1791 - 1814
24대
성원군
1814 - 1828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목조
태조 4대조
추존
익조
태조 3대조
추존
도조
태조 2대조
추존
환조
태조 1대조
초대
태조
1392 - 1398
2대
정종
1398 - 1400
3대
태종
1400 - 1418
4대
세종
1418 - 1450
5대
문종
1450 - 1466
6대
광종
1466 - 1480
7대
인종
1480 - 1501
8대
성종
1501 - 1529
9대
현종
1529 - 1538
10대
혜종
1538 - 1543
11대
경종
1543 - 1558
12대
명종
1558 - 1581
13대
중종
1581 - 1605
14대
숙종
1605 - 1617
15대
덕종
1617 - 1634
16대
정조
1634 - 1656
17대
단종
1656 - 1660
18대
선종
1660 - 1678
19대
고종
1678 - 1699
20대
헌종
1699 - 1742
21대
철종
1742 - 1745
22대
순종
1745 - 1791
23대
영종
1791 - 1814
24대
성원군
1814 - 1828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대한 황제
[ 펼치기 · 접기 ]
추존
철조 의황제
세조 4대조
추존
순조 열황제
세조 3대조
추존
영조 명황제
세조 2대조
추존
원종 장황제
세조 1대조
초대
세조 태황제
1844 - 1861
2대
열조 인황제
1861 - 1888
비정통 추존
 회황제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대한 황제
[ 펼치기 · 접기 ]
추존
철조 의황제
세조 4대조
추존
순조 열황제
세조 3대조
추존
영조 명황제
세조 2대조
추존
원종 장황제
세조 1대조
초대
세조 태황제
1844 - 1861
2대
열조 인황제
1861 - 1888
비정통 추존
 회황제
조선 국왕 · 조선 총재 · 대한 황제
조선의 연호
천우
天祐
1743년 1월 26일 ~ 1746년 1월 21일
천우 1년 1월 1일 ~ 천우 3년 12월 30일
융희
隆熙
1746년 1월 22일 ~ 1792년 1월 23일
융희 1년 1월 1일 ~ 융희 46년 12월 30일
경성
慶成
1792년 1월 24일 ~ 1815년 2월 8일
경성 1년 1월 1일 ~ 경성 23년 12월 30일
조선 22대 국왕
純宗 · 순종
대한 추존 황제
純祖 烈皇帝 · 순조 열황제
왕세손
1740년 10월 1일 ~ 1742년 7월 20일
경희 41년 8월 11일 ~ 경희 42년 6월 19일
왕세자
1742년 7월 20일 ~ 1745년 5월 7일
경희 42년 6월 19일 ~ 천우 3년 4월 6일
국왕
1745년 5월 7일 ~ 1791년 9월 1일
천우 3년 4월 6일 ~ 융희 46년 8월 4일
출생
1733년 9월 28일
경희 35년 8월 21일
즉위
1745년 5월 7일 (11세)
천우 3년 4월 6일
사망
1791년 9월 1일 (57세)
융희 46년 8월 4일
본관
전주 이씨
척 · 坧
부모
철종 / 공효왕후
형제자매
1남 1녀 중 장남
왕비
공의왕후
묘호
순종 · 純宗
22대
순종
1745 - 1791
조선 22대 국왕
純宗 · 순종
대한 추존 황제
純祖 烈皇帝 · 순조 열황제
왕세손
1740년 10월 1일 ~ 1742년 7월 20일
경희 41년 8월 11일 ~ 경희 42년 6월 19일
왕세자
1742년 7월 20일 ~ 1745년 5월 7일
경희 42년 6월 19일 ~ 천우 3년 4월 6일
국왕
1745년 5월 7일 ~ 1791년 9월 1일
천우 3년 4월 6일 ~ 융희 46년 8월 4일
출생
1733년 9월 28일
경희 35년 8월 21일
즉위
1745년 5월 7일 (11세)
천우 3년 4월 6일
사망
1791년 9월 1일 (57세)
융희 46년 8월 4일
본관
전주 이씨
척 · 坧
부모
철종 / 공효왕후
형제자매
1남 1녀 중 장남
왕비
공의왕후
묘호
순종 · 純宗
조선 22대 국왕
순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제해즉시평천하
폐구개신
용기즉시감번로
정동지책
일본 복속
텐메이 대기근으로 관동 연맹에 속한 다이묘가 큰 타격을 받자, 조선은 오우치를 도와 동정하여 에도의 도쿠가와 일족을 멸문시켰다. 외에도 기근으로 인해 국정을 안정시킬 수 없었던 다이묘가 대거 조선에 재정을 의탁했으며, 이를 대가로 각 다이묘는 자치권이 축소되면서 조선의 지방관과 비슷하게 변모했다. 고가쿠 천황과 협조하여 막부를 무너뜨리고 쇼군과 관백을 폐직하게 했다. 이에 따라 천황의 권한은 증대되었으나, 조선의 영향력 아래에 있게 되었다. 천황은 지방관을 직접 임명했으나, 이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동조가 있어야했고, 내각대학사에 봉해진 오우치와 고니키시 가문은 조선에 귀부하면서 일본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계미남정
여송도 영향력 확대
7년 전쟁이 발발하면서 영국군은 스페인이 장악한 마닐라 일대를 공격해 장악했는데, 이에 스페인 마닐라 주둔군이 조선에 출병을 요청하였다. 1763년에 조선 수군은 스페인군과 협력하여 마닐라를 공격해 탈환하였고, 그 대가로 조선은 마니라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마니라 기준 북쪽을 장악했다.
기묘남정
영국의 벵골 진출 저지
플라시 전투로 벵골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간섭과 폭정 아래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미르 자파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조선에 도움을 요청했고 이에 부응하여 순종은 함대를 파견했다. 친수라 전투에서 조선군이 가까스로 승리하면서 영국의 벵골 통제권을 와해시키고 벵골산 초석 독점 시도를 저지했다. 또한, 이를 통해 조선은 안정적으로 초석을 수입할 수 있는 활로를 개척했다.
융희조선국제
헌법 제정
1787년 미합중국 헌법이 지정되고 이에 영향을 받아 제정한 최상위법령으로 1790년부터 시작하여 익년에 제정되었다. 또한 삼권분립에 따라 판위부를 언론부에 속하게 하는 등, 복잡한 행정체계를 다소 간결하게 변경하였다. 삼부가 합심하면 왕권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도 계속 반영되었다. 융희조선국제의 하위법으로는 융희조선규례로 신경국대전에서 거의 변하지 않았다. 행정, 민사, 상사, 형사, 조세, 공법의 육례에 따라 정리되었다.
형평 운동
백정 권리 증대
선대 열왕이 백정의 처우를 개선하여 사회에 통합하려 힘썼으나, 백정이 이를 거부하고 백성도 이를 거부하니 진전이 없었다. 그러나, 사회가 계몽하여 천민도 양민이 되었음이 모름직이 백정에게도 길이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헌종 때에는 대다수 만주에서 새 터전을 찾아 번성했고, 순종에 이르러 형평 운동을 하여 권리를 찾으려 했다. 이에 순종은 법적으로 아무 걸림이 없다하니 관료들 또한 백정의 차별을 줄이도록 힘썼다.
당전 도입
복본위제 실시
경제 성장을 엽전의 주조량이 따라잡기 힘들자, 고종 이래로 구리 수입양은 꾸준히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화와 금화도 통용되었는데, 이를 법규화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당일전은 동화로 당십전은 은화로 당백전은 금화로 제작되었다. 이와 함께 저화도 1전, 5전, 10전, 50전의 네 종류로 바꾸어 유통되었다. 각 저화에는 순서대로 매란국죽이 그려져 있었다.
증륜 · 증력기
터빈 및 증기기관의 개발
증기기관의 연구는 대기압식 기관과 증로의 개발이후 계속해서 이루어져 왔고, 이미 상업용 증기기관을 이용해 움직이는 궤상차거와 선박, 천공기, 권양기등의 개념도 상당히 발전해 있었다. 이러한 지식인의 기대와 헌종의 학회 지원에 힘입어 융희 시대에 최초의 상업 증기기관인 증력기가 개발되면서 증력차거, 증기선등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수력으로 움직이는 상당수의 제조 공장을 변모시키고 조선의 생산력과 석탄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대시켰다.
철갑선
해상패권 장악
반사로법으로 산출되는 막대한 철강과 증기기관을 통해 철갑선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증기선에 철갑을 둘렀으나 이내 철재 골조를 개발되었다. 순종 붕어 이전에 최초의 완전 철갑선인 광무호가 건조되었다. 참고로 광무호는 회전식 포탑을 장비하였다.
경인철로
교통 확장
증력기의 발명으로 증력차거가 개발되자, 이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곳을 탐색하기로 했다. 그렇게 부설된 최초의 철로는 경인선으로 궤간은 3척으로 약 1400mm이다. 다만, 경인선 공사를 명령하고 얼마되지 않아 순종이 붕어했기에 순종은 경인선 개통을 보지는 못했다.
制海卽是平天下
바다를 다스리는 것이 천하를 손에 넣는 것이다.
廢舊改新
옛 것을 폐하고 새로이 고쳐 국정을 바로잡겠노라
用機卽是減煩勞
기계를 이용함은 곧 번거로움을 줄이는 것이다.
조선 틀 목록
순종
조선 22대 국왕
순종의 업적
[ 펼치기 · 접기 ]
정동지책
일본 복속
텐메이 대기근으로 관동 연맹에 속한 다이묘가 큰 타격을 받자, 조선은 오우치를 도와 동정하여 에도의 도쿠가와 일족을 멸문시켰다. 외에도 기근으로 인해 국정을 안정시킬 수 없었던 다이묘가 대거 조선에 재정을 의탁했으며, 이를 대가로 각 다이묘는 자치권이 축소되면서 조선의 지방관과 비슷하게 변모했다. 고가쿠 천황과 협조하여 막부를 무너뜨리고 쇼군과 관백을 폐직하게 했다. 이에 따라 천황의 권한은 증대되었으나, 조선의 영향력 아래에 있게 되었다. 천황은 지방관을 직접 임명했으나, 이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동조가 있어야했고, 내각대학사에 봉해진 오우치와 고니키시 가문은 조선에 귀부하면서 일본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계미남정
여송도 영향력 확대
7년 전쟁이 발발하면서 영국군은 스페인이 장악한 마닐라 일대를 공격해 장악했는데, 이에 스페인 마닐라 주둔군이 조선에 출병을 요청하였다. 1763년에 조선 수군은 스페인군과 협력하여 마닐라를 공격해 탈환하였고, 그 대가로 조선은 마니라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마니라 기준 북쪽을 장악했다.
기묘남정
영국의 벵골 진출 저지
플라시 전투로 벵골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간섭과 폭정 아래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미르 자파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조선에 도움을 요청했고 이에 부응하여 순종은 함대를 파견했다. 친수라 전투에서 조선군이 가까스로 승리하면서 영국의 벵골 통제권을 와해시키고 벵골산 초석 독점 시도를 저지했다. 또한, 이를 통해 조선은 안정적으로 초석을 수입할 수 있는 활로를 개척했다.
융희조선국제
헌법 제정
1787년 미합중국 헌법이 지정되고 이에 영향을 받아 제정한 최상위법령으로 1790년부터 시작하여 익년에 제정되었다. 또한 삼권분립에 따라 판위부를 언론부에 속하게 하는 등, 복잡한 행정체계를 다소 간결하게 변경하였다. 삼부가 합심하면 왕권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도 계속 반영되었다. 융희조선국제의 하위법으로는 융희조선규례로 신경국대전에서 거의 변하지 않았다. 행정, 민사, 상사, 형사, 조세, 공법의 육례에 따라 정리되었다.
형평 운동
백정 권리 증대
선대 열왕이 백정의 처우를 개선하여 사회에 통합하려 힘썼으나, 백정이 이를 거부하고 백성도 이를 거부하니 진전이 없었다. 그러나, 사회가 계몽하여 천민도 양민이 되었음이 모름직이 백정에게도 길이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헌종 때에는 대다수 만주에서 새 터전을 찾아 번성했고, 순종에 이르러 형평 운동을 하여 권리를 찾으려 했다. 이에 순종은 법적으로 아무 걸림이 없다하니 관료들 또한 백정의 차별을 줄이도록 힘썼다.
당전 도입
복본위제 실시
경제 성장을 엽전의 주조량이 따라잡기 힘들자, 고종 이래로 구리 수입양은 꾸준히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화와 금화도 통용되었는데, 이를 법규화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당일전은 동화로 당십전은 은화로 당백전은 금화로 제작되었다. 이와 함께 저화도 1전, 5전, 10전, 50전의 네 종류로 바꾸어 유통되었다. 각 저화에는 순서대로 매란국죽이 그려져 있었다.
증륜 · 증력기
터빈 및 증기기관의 개발
증기기관의 연구는 대기압식 기관과 증로의 개발이후 계속해서 이루어져 왔고, 이미 상업용 증기기관을 이용해 움직이는 궤상차거와 선박, 천공기, 권양기등의 개념도 상당히 발전해 있었다. 이러한 지식인의 기대와 헌종의 학회 지원에 힘입어 융희 시대에 최초의 상업 증기기관인 증력기가 개발되면서 증력차거, 증기선등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수력으로 움직이는 상당수의 제조 공장을 변모시키고 조선의 생산력과 석탄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대시켰다.
철갑선
해상패권 장악
반사로법으로 산출되는 막대한 철강과 증기기관을 통해 철갑선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증기선에 철갑을 둘렀으나 이내 철재 골조를 개발되었다. 순종 붕어 이전에 최초의 완전 철갑선인 광무호가 건조되었다. 참고로 광무호는 회전식 포탑을 장비하였다.
경인철로
교통 확장
증력기의 발명으로 증력차거가 개발되자, 이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곳을 탐색하기로 했다. 그렇게 부설된 최초의 철로는 경인선으로 궤간은 3척으로 약 1400mm이다. 다만, 경인선 공사를 명령하고 얼마되지 않아 순종이 붕어했기에 순종은 경인선 개통을 보지는 못했다.
조선 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