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tiny634, 2024 - | CC-0


제3차 상하이 사변
第三次上海事変
타이완 해협에서 정비하는 일본 해군
기간 2011년 5월 6일 - 2011년 9월 15일
장소 중화민국 상하이시, 타이완 해협
원인 도호쿠 대지진에의 중국 언론의 반일 책동, 일본의 상하이 영향력 행사 야욕
결과 일본제국의 실질적 패배
  • 칭다오 강화조약 체결
  • 일본군 상하이 철퇴
영향 동아시아 내 일본 패권의 약화. 중국의 대(対)일본 도전
교전국 중화민국 대일본제국
대만주제국[1]
광동국[2]
지원국
타이 공화국
몽강연합국
지휘관 후진타오
시진핑
웨이펑허[3]
창완취안
아키히토
쓰키야마 아키히로
오리키 료이치
이와타 기요후미
야마자키 코우지[4]
병력 지역 방위군 210,532명
  중앙군 459,583명
75,118명
  10,435명
피해 8,658명 전사
13,203명 부상
747명 실종
1,216명 전사
2,538명 부상
143명 실종

개요

지나의 반일 선동과 조장이 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특히 도호쿠 진재에 대해 그러한 표현(아쉽게도)을 사용한 것은, 이는 국가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일본 국민 차원에서도 심각한 모멸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오늘 제가 군에 상해 공략을 명령한 것은 무력으로라도 이러한 지나의 작태를 중단하고 포악한 행위를 응징하기 위한 정당한 무력행사입니다.
쓰키야마 아키히로 총리. 선공격 후에 중국 응징을 선포하며.

제3차 상하이 사변(第三次上海事変)은 2011년 5월부터 2011년 8월, 산발적으로 2011년 9월까지 중국의 제1도시 상하이에서 벌어진 일본의 침공이었다.

일본의 쓰키야마 아키히로도호쿠 대지진에 대한 중국 언론의 보도 태도를 핑계삼아 구실을 만들고, 이를 통해 상하이를 빠르게 점거하여 중국과 협상을 해 중국의 재 괴뢰화, 그리고 상하이의 경제특구로서의 중국으로부터의 분리 등을 노렸다. 이는 도호쿠 대지진의 실패적 대응에 대한 여론 무마용이기도 했으며 또한 20년 전 잃은 아시아 패권을 다시 가져오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전과 확연히 달라진 중국의 육군력의 벽에 부딪히면서 일본군 창건이래 첫 패배라고 할 만한 결과를 낳았다. 이에 일본은 목표였던 중국 기선제압과 아시아 패권 회복은 커녕 본격적으로 아시아 내에서 일본 일극체제가 끝나는 계기를 제공했다. 다만 사상자 교환비로 볼때는 일본이 압승했다. 이 때문에 중국 역시도 일본이 국가총동원법을 선포하고 전면전으로 나올 경우 감당할 자신이 없어 9월 칭다오에서 강화협상이 맺어진다. 하지만 일본의 권위 실추는 변함이 없었다.

냉전 종식 이후 일본군이 직접 군사행동에 나선 현재까지 마지막 사례이다. 참고로 1932년의 1차 상하이 사변, 1937년의 상하이 전투에 이은 3번째 일본의 상하이 침공이라 하여 제3차 상하이 사변으로 명명됐다.

배경

상해분리공작

전개

공세 시작

중국의 패주와 반격

장기화 및 협상

반응

일본

중국

기타 국가

후일담

일본 내의 전면전론

  1. 중만국경에서 분쟁 획책
  2. 중국-광동 국경에서 분쟁 획책
  3. 상하이 방위군 사령관
  4. 상해파견군 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