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동방제국)

Enzo2015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2월 9일 (일) 13:43 판 (새 문서: {{옛 나라 정보 |나라이름=대청 |p1=후금 |flag_p1=Amaga aisin gurun1.png |p2=명나라 |flag_p2=Imperial seal of Ming dynasty.svg |p3=중가르 칸국 |p4=겔룩파 |p5=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다이칭 구룬 / 대청국
ᡩᠠᡳᠴᡳᠩ
ᡤᡠᡵᡠᠨ
/ 大淸國
1618년1924년
파일:Flag of the Qing Dynasty (1889-1912).svg
국기 국새
국가 공금구
1911년 ~1912년
파일:Gǒng Jīn'ōu.ogg

18세기 청 제국의 강역
수도 허투 알아(1583~1587)
퍼 알아(1587~1603)
허투 알아(1603~1619)
자이퍈(1619~1620)
사르훠(1620~1621)
랴오 양(1621~1625)
묵던(1625~1644)
거문 허천(1644~1912)
정치
공용어 만주어, 몽골어, 중국어, 티베트어
정부 형태 전제 군주제
황제 천명제 (1618~ 1626)
강희제 (1661 ~ 1722)
옹정제 (1722 ~ 1735)
건륭제 (1735 ~ 1796)
선통제 (1908 ~ 1912)
역사
 • 여진국 성립
•대금 성립
•국호 개칭
•중국 통일
신해혁명
황제 퇴위
•황실 해체
1616년
1618년
1636년
1644년
1911년
1912년
1924년
지리
면적 13,150,000km²
내수면 비율 2.8%
인구
1820년 어림 383,100,000명
기타
통화 위안 (1889년부터) ()
이전 국가
다음 국가
후금
파일:Imperial seal of Ming dynasty.svg 명나라
중가르 칸국
겔룩파
북원
파일:Flag of Ming Cheng.svg 정씨왕국
중화민국 임시 정부(동방제국) (1912년) 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 1912-1928.svg
청나라 소조정(동방제국) 파일:Flag of the Qing Dynasty (1889-1912).svg
러시아 제국(동방제국) 파일:Flag of the Russian Empire (black-yellow-white).svg
복드 칸국(동방제국) 파일:Flag of Mongolia (1911-1921).svg
티베트 왕국(동방제국) 파일:Flag of Tibet.svg
타이완 민주국(동방제국) 파일:Flag of Formosa 1895.svg
영국령 홍콩(동방제국) 파일: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인도 제국(동방제국) 파일:British Raj Red Ensign.svg
현재 국가 틀:ROC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틀:HKG
마카오 공화국 마카오
러시아 러시아
틀:AFG
틀:IND
틀:BTN
틀:MNG
틀:PAK
틀:나라자료 미얀마

대청국(大淸國, ᠮᠠᠨᠵᡠ ᡤᡳᠰᡠᠨ: ᡩᠠᡳᠴᡳᠩ
ᡤᡠᡵᡠᠨ
Daicing Gurun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또한, 월동(粵東)오문(澳門)(일설에는 광저우), 복건(福建)의 장주부(漳州府), 절강(浙江)의 영파부(寧波府), 강남(江南)의 운대산(雲台山)에 각각 월해관(粵海關), 민해관(閩海關), 절해관(浙海關), 강해관(江海關)을 설립하고 대외무역을 관리하고 관세를 징수하는 기관으로 삼았다. 강절민월 4대 해관은 각자 소재지 성(省)에 소속된 해관 항구를 다스렸으니, 통상적으로 10여개에서 수십개의 해관 항구를 직할로 두었다.

국제사회를 보는 시각에서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 아니라 중국도 세계의 일부라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일으킨 중국은 1876년 10월 영국에 처음으로 공사를 파견하는 새로운 중국 외교사를 썼다. 중국이 외국에 외교사절을 파견한 것은 중국의 대외관계에 중대 변혁이 일어난 것이며, 중국이 근대 서양 국제법을 인정하고 국제사회에 진입한 의미를 지니는 변화였다. 이후 청조는 30년 동안 모두 18개 국가에 연인원 68명의 공사 또는 부사(副使)를 파견했고, 1877년부터는 57개 지역에 영사를 파견했다.

경제

명 말에서 청 초에 이르는 시기에, 시장이 확대되고 상인들의 교역 규모가 커지면서 기존에 가족 중심으로 이뤄지던 회사들이 합자(合資) 형식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청 초기에는 극장, 광산, 연안 및 해외 운송, 상업 작물, 전당업 등의 사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합자회사들이 등장하였다.[1] 북경, 성도 등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인들이 모이는 회관(會館)들이 생겨났다. 회관은 숙박이나 창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상인과 기술자들이 교역을 조정하는 기구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명 말부터 등장한 이런 회관들은 18세기 무렵에는 청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외국 무역이 활발해져, 은의 유입도 크게 증가하였다. 청은 18세기 초에 인두세(정은)를 따로 거두지 않고, 토지세(지은) 속에 포함시켜, 세금 제도를 단순화한 지정은제를 시행하였다.

18세기 중엽에 선교사를 앞세운 서구열강이 교역을 원하자, 청나라는 교역항을 광저우로 한정하여 서양 상인들을 통제하고, '공행'이라는 특허 상인의 조합에 대외 무역의 독점권을 주었다. 공행무역 등으로 서양 상인들의 무역량이 적었을거라 생각하겠지만, 오히려 그 반대로 청나라의 차와 생사는 유럽에서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었기 때문에 서구 열강과 청의 무역량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이 시기는 유럽의 상인들 중에서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청나라와의 무역을 독점해 가고 있었을 무렵이었다. 무역량이 늘어남에 따라 영국은 청나라와 무역에서 '무역 역조 현상'이 두드러졌다. 막대한 양의 은을 청에 지불하게 된 영국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청나라에게 무역 제한조치의 철폐를 요구하였다.

19세기가 되자, 영국은 무역적자를 메우기 위해 동인도 회사를 앞세워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편을 중국에 수출하였다. 매년 급격히 영국 동인도 회사의 아편 수출양이 증가하자, 청나라는 국내의 아편중독자가 늘어나는가 하면, 막대한 양의 은이 빠져나가게 된다. 이무렵 청나라는 '은본위제'를 실시했었는데, 청나라는 영국과의 '아편 무역'으로 인해 은의 급격한 감소로 국가체제의 위기를 맞게된다. 1830년대에는 은의 가격이 두 배 이상 폭등하고, 그 결과 은으로 세금 납부하던 농민들과 상인들은 부담이 두 배로 늘어났고, 결국 세금이 제대로 징수되지 않아, 국가 재정이 곤란한 지경에 빠져 버린다.

1840년 제1차 아편전쟁 이후, 외세 열강세력들의 침탈이 본격적으로 심화되면서 청나라의 경제상황은 더욱 악화되게 된다.

청나라때에는 양자강 중류 지역이 최대의 쌀 재배 지역이 되고, 감자, 양파, 땅콩, 옥수수 등의 외래작물이 재배되었다. 이러한 농업에서의 상품 작물 재배와 함께 면, 제지, 제당 등의 분야에서 매뉴팩처가 발달하였다.

문화

만약 청 제국의 직성 지역에서만 시료를 채취해서 보면 청 제국 군주는 한화에 성공한 '중국'의 수명천자처럼 보이지만 직성 이외의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해서 보면 전혀 다른 모습이 떠오른다. 몽골 유목민의 초원 세계에서는 카간(몽골어: ᠬᠠᠭᠠᠨ Qaγan)의 이미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한 티베트 불교도의 세계에서는 불법의 수호자인 전륜성왕이자 '문수보살 황제'라는 이미지, 타림 분지의 위구르 무슬림 세계에서는 이슬람의 보호자라는 이미지를 각각 갖게 된다. 그리고 기인의 세계에서는 누르가치의 계승자인 한(汗, ᠮᠠᠨᠵᡠ ᡤᡳᠰᡠᠨ: 틀:ManchuSibeUnicode Han)으로 표상되었다.

청 제국은 중원의 방대한 한족 지배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때문에 중원에서 중국의 전통문화와 여러 제도를 답습하고, 한족의 협력을 얻어 지배체제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족의 지식인층을 회유하여 관심을 정치와 사회문제로부터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서 그들을 동원하여 대편찬 사업을 추진하였다. 강희 연간의 『강희자전(康煕字典)』, 옹정의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건륭의 『사고전서』는 그렇게 하여 생긴 것이다.

반면에 반청적(反淸的)이라 판단한 사상에는 용서 없는 탄압을 가하여 이른바 문자의 옥을 일으켰다. 실증주의(實證主義)에 투철한 실사구시(實事求是) 학풍인 고증학(考證學)은 이미 명대에 시작을 보았지만 청조의 사상 탄압은 한인 학자로 하여금 더욱더 고증학으로 나아가게 하여 정치 문제로부터 도피시켰다. 그러나 고증학은 그 자신 일종의 과학적 객관주의이며, 서양 과학문명의 영향도 더해져 학문의 전분야에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었다. 가령 실제의 측량으로 제작된 황여전람도(皇與全覽圖) 등은 이러한 학풍의 소산인 것이다.

또한 청대에는 소설과 희곡의 발달이 한층 더 현저하여 『홍루몽(紅樓夢)』 『유림외사(儒林外史)』 『요재지이(聊齊志異)』 등 걸작이 나왔고, 희곡도 풍성하게 연출되었다. 회화에서는 중국의 전통적 기법 외에 카스틸리오네에 의하여 서양의 화법(畵法)이 받아들여졌고, 건축은 원명원(圓明園)과 같이 베르사유 궁전에도 비길 만한 훌륭한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의복의 큰 특징은 단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속은 바지이고 옆으로 트어져 있는 형식인데 이때 전족이 몸에 나쁨에도 불구하고, 귀족은 물론 서민까지 퍼져있었다.

행정구역

파일:Map-Qing Dynasty 1820.jpg
가경 25년(1820년) 시기, 청나라의 행정구분도.
파일:청나라 최대영토.png
광서 34년(1908년) 시기, 청나라의 행정구분도.

청나라 초기 행정구역은 18개의 성(省)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각 성은 7~13개의 부(府)로 나뉘었고, 각 부는 다시 7~8개의 현(縣) 또는 주(州)로 분류되었다.

건륭제 말기인 18세기 말 청나라에는 1,281개의 현과 221개의 주가 있었다.

통치 행정 구역의 구분

통치 행정 구역의 구분은 성-부-주-현-청 (省-府-州-縣-廳)이었고, 성에는 민정과 감찰을 위해 포정사(布政使) ·안찰사(按察使)가 있었다. 또한, 1-3개 성에 총독 1명이, 1개 성에 순무 1명이 있었다. 그리고 각 성에는 장관급에 해당하는 제독 (군사), 총원 (교육), 학정사 (?), 도원이 있었다. 그리고 부 ·주 ·현에는 지부(知府) ·지주(知州) ·지현(知縣)이 수장이었다.

  1. 나퀸 (1998), 83쪽